리그오브레전드 인벤

이 공략에 대한 당신의 평가는?
  • 글만 읽었는데 다 해본 느낌! 완벽해요!
  • 좋네요. 조금 다듬으면 베스트 공략감!
  • 제 생각에 이건 좀 아닌거 같아요.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2명
50% (1표)
0% (0표)
50% (1표)
나르, 잃어버린 고리
Gnar, the Missing Link
0
0
0
1/2
[M1] 시즌13 천상계 나르 장인 공략! (꿀팁, 잡기술, 챔프 상대법 등)

- Levelly(2023-05-15, 조회수: 2552)

 













 안녕하세요. 레벨리 입니다.


시즌 4에 롤을 시작해서 시즌 5에 다이아 1티어를 찍고

나르 장인 랭킹 1위를 처음 찍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그 때는 나르가 막 나왔을 때였고 대회에서도 안 나오는 챔프였기에

나르를 하는 사람이 많이 없어서 찍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장인 랭킹 1위 찍으니 친추해서 질문하는 사람들이 엄청 많더라구요.

그 때 다른 사람에게 게임 알려주는 게 재밌다고 느껴서 언젠가 게임 유튜브를 한번 해봐야 겠다고 생각만 했었어요.


그리고 오랫동안 현생이 바빠서 LoL을 많이 못 즐겼는데

최근에 여유가 생기면서 하고 싶었던 것들을 하나하나 해나가려 합니다.

그 중 하나가 LoL을 재밌게 즐기면서 유튜브, 방송, 강의, 공략 작성 등을 하는 것이었는데

이 글을 시작으로 하나씩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공략을 작성하면서 제가 나르를 정말 애정하고 있다고 느꼈고 시간이 아깝지 않고 정말 재밌었어요.

제가 나르만 하는 건 아니지만 최고 애증하는 챔피언인 만큼 심혈을 기울여 작성했습니다.



 참고로 이 공략은 LoL이라는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수록 더 유용할 겁니다.

저는 첫 배치를 볼 때를 제외하고 골드 미만에서는 게임해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 공략은 제가 옛날에 실력을 늘리고 싶어서 이것저것 분석하고 찾아보고 질문했던 그 시절을 떠올리며

처음으로 더 잘해지고 싶다고 느낀 골드 ~ 플레티넘 구간에서

이것들을 누군가 알려줬다면 실력이 더 빨리 늘었을텐데.. 싶은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다뤘고

이미 잘하는데 더 잘해지고 싶은 분들을 위해 심화된 내용, 생각하는 방법, 개념에 대한 부분들도 충분히 담았습니다. 


약 다섯 시즌 동안 마스터 구간에서 게임하면서 얻은 노하우와 잡기술
대회 분석과 프로나 고티어 장인분들을 분석하며 얻은 정보 등을 제가 아는 범위에서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JB8ObZwYEH48fN0CBowalQ


★☆★☆★☆★☆★☆★☆★☆★☆★☆★☆★☆★☆★☆

 유튜브 주소입니다. 많이 놀러와 주세요!

방송은 하게 될 지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유튜브를 시작하면 그마까지 도전은 해보려고 하니 많이 찾아 와주세요.

서론이 참 길었는데 간단하게 전적 인증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시즌 11] 마스터



[시즌 12] 마스터


공략이 정말 깁니다.
아래로 쭉 내려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긴 공략에 반 이상은 챔피언 별 상대법입니다.
나르 유저라면 챔피언 별 상대법은 모를 때만 와서 보시고 나머지 부분들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공략을 실전에 적용할 수 있다면 반드시 티어는 오릅니다.

이 공략은 오로지 나르로 게임을 이기는 방법을 디테일 한 부분까지 알려드리는 공략입니다.
약팔이를 원하신다면 뒤로가기를 누르시기 바랍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목 차 -

 1. 룬 
- 각 룬을 드는 상황
- 각 룬의 장단점
- 하위룬
- 보조룬

 2. 스펠
- 생략

 3. 스킬
- 스킬 트리

4. 아이템
- 시작템
- 신화템
- 캐리력을 높여주는 아이템
- 안정감을 높여주는 아이템
- 상황 별 템트리

5. 카운터픽
- 카운터 픽
- 전체적인 상성 관계

6. 추가공략
- 나르의 조합
- 나르의 한타 포지션
- 나르에 대한 잘못된 개념
- 나르의 심화 학습 (잡기술, 팁, 툴팁에 없는 정보)

- 챔피언 별 상대법



- 업데이트 -
2023.01.24 공략 첫 업로드




나르, 잃어버린 고리
소환사 주문 순간이동 점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18레벨
최종 수치
구분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18레벨
최종 수치
체력 540 (+79) 1883 마나 100 (+0.0) 100
공격력 57 (+3) 108 공격 속도 0.625 (+0.5%) 0.678
5초당 체력회복 4.5 (+1.25) 25.75 5초당 마나회복 0 (+0) 0
방어력 32 (+3.7) 94.9 마법 저항력 30 (+1.3) 52.1
이동 속도 335.0 335 사정 거리 175.0 175.0

나르가 들만한 핵심 룬은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기발) PressTheAttack(집중 공격) (집공) Conqueror(정복자)(정복자)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착취) HailOfBlades(칼날비)(칼날비) 5가지 밖에 없습니다.

근데 사실상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기발)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착취) 2개 밖에 안 씁니다.
다른 분들 보면 꽤 고티어인데도 PressTheAttack(집중 공격) Conqueror(정복자)드는 사람 있던데 그냥 안 좋아요.
룬이 좋은 게 아니고 그냥 그 분들이 잘하는 겁니다!

현재 공략을 쓴 날짜 기준으로 프로 무대에서는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기발)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착취) 두 개만 쓰입니다.
저도 이게 정답이라고 생각하구요.
실제로 해보면서도 Conqueror(정복자)PressTheAttack(집중 공격)은 단점이 극명하게 보였습니다.
장점도 명확하긴 한데 나르가 들 만큼 룬 자체의 성능도 별로고 기발, 착취에 비해 메리트가 없다고 보여요.

그래서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기발)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착취) 이 두 가지 룬이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보조 룬은 어떻게 선택하는지 하나하나 짚어보도록 하죠.

1. 쓰는 상황
2. 장단점
3. 하위룬 찍는 방법
4. 보조룬 찍는 방법

순서로 설명하도록 할 건데 그냥 순서 상관없이 그냥 쭉 읽다 보면 이해되실 겁니다!



1. 착취의 손아귀


 1.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를 드는 상황과 상대 챔피언
 우선 라인전 단계에서 착취를 자주 터트릴 수 있는 구도면 착취는 무난하고 좋습니다.
라인전에서 나르에게 가장 효율이 좋은 게 체력과 체력 재생인데 둘 다 얻어갈 수 있는 룬 입니다.


 2. 장점 및 단점
 우선 착취는 미니 나르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것도 있긴 한데
결의의 하위 룬이 너무 좋습니다. 특히 BonePlating(뼈 방패)Unflinching(불굴의 의지)Overgrowth(과잉성장) 이 3개 룬이 나르와 정말 잘 맞습니다.
그리고 지배 보조 룬도 나르에게는 좋구요.
TasteOfBlood(피의 맛)Doran's Shield(도란의 방패)BonePlating(뼈 방패) 이 3개 쿨마다 딜교환 해주면 라인전 안정감이 확 올라갑니다.

 단점은 착취를 못 터트리는 상황이나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SecondWind(재생의 바람)TasteOfBlood(피의 맛) 쿨마다 싸워도 유지력에서 상대가 안되는 챔피언을 상대할 때는 오히려 착취를 터트릴 수록 손해보는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챔피언 상대법에 따른 룬 선택을 잘 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면 Rumble(럼블)Vladimir(블라디미르)Malphite(말파이트)Mordekaiser(모데카이저) 같은 챔프 상대로는 착취를 자주 터트릴 수 있지만 착취를 터트릴 때마다 역으로 손해를 보기 때문에 다른 룬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3. 하위룬
 첫째 줄은  Demolish(철거)(철거) 고정입니다. 철거가 좋기도 한데 다르게 찍을 룬이 없어요.
 둘째 줄은 BonePlating(뼈 방패)(뼈방패)와 SecondWind(재생의 바람)(재생의바람) 중에 선택인데
나르는 웬만한 챔프 상대로 거의 다 BonePlating(뼈 방패)들고 갑니다.

그러나 상대가 뼈방패를 너무 쉽게 빼거나 뼈방패 효율이 안 좋을 때는 재생의 바람 찍고 가시면 됩니다.

Jayce(제이스)Quinn(퀸)Teemo(티모)Vayne(베인)등 원거리 견제가 강력한 챔프 상대로는 SecondWind(재생의 바람)이 좋지 않나? 생각하실 수 있는데
무엇을 들던지 맞는 구도가 안 나오도록 라인 조절, 거리 조절 또는 정글을 잘 이용하셔야 합니다.
맞기 시작하면 SecondWind(재생의 바람) 들어도 나르의 유지력으로는 못 버팁니다.
그래서 킬각 대결이나 메가나르 딜교할 때 또는 견제를 맞더라도 짧은 맞딜교 시에 효율이 좋은 BonePlating(뼈 방패)가 더 좋습니다.

그렇다면 착취를 찍어야 하는데 BonePlating(뼈 방패)효율이 안 나오는 상대 챔프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든 챔피언 쭉 본 결과 Gangplank(갱플랭크)Nasus(나서스)Aatrox(아트록스) 이 3개 챔프들만 재생의 바람 효율이 더 좋습니다.
나머지 착취드는 상황에서는 무조건 BonePlating(뼈 방패)드는 게 더 효율 잘 나옵니다.

모든 챔프를 슥~ 보니까 Malphite(말파이트)Lulu(룰루)Kennen(케넨)Cassiopeia(카시오페아)Yorick(요릭)Gwen(그웬) 이 챔프들도 재생의 바람 효율이 더 좋네요.
그러나 이 챔프들 상대로는 핵심 룬을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을 들고 가기 때문에 보조 룬에서 SecondWind(재생의 바람)찍어주시면 됩니다.

 셋째 줄은 Overgrowth(과잉성장)Unflinching(불굴의 의지) 둘 중에 선택인데
Overgrowth(과잉성장)가 미니나르일 때는 티가 안 나는데 메가나르일 때 체감이 큽니다. 웬만하면 Overgrowth(과잉성장)위주로 들고
상대에 확정 CC나 장판CC가 많으면 무조건 Unflinching(불굴의 의지)드세요. 체력과 상관없이 메가나르 변신도 못하고 끔살 당하는 거 Unflinching(불굴의 의지)+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면 살려줍니다. 특히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가야 되는 판이면 같이 들어주시면 효율 좋습니다.
예를 들면, Fiddlesticks(피들스틱)Nautilus(노틸러스)Veigar(베이가)Vex(벡스)Sejuani(세주아니)Zyra(자이라)Kennen(케넨)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 등



 4. 보조룬
 착취를 들 때 보조룬은 지배 고정이고 TasteOfBlood(피의 맛)(피의 맛), 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보물 사냥꾼) 찍어주시면 됩니다.
라인전 내내 아애 1대도 안 맞고 일방적으로 때리는 상성인 가렌 등을 상대할 때 정밀을 고려해 볼만도 합니다.

간단하게 정밀은 후반 벨류, 지배는 라인전(초중반) 벨류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애초에 나르는 후반 벨류가 높고 라인전을 이기면 초중반에 게임을 끝낼 수 있기 때문에 라인전 효율이 좋은 지배드는 게 더 안정적입니다.


2. 기민한 발놀림


1. 기민한 발놀림을 드는 상황과 상대 챔피언
 간단하게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를 못 드는 모든 상황에서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을 든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 마디로 지금 메타에서 나르의 기본 룬은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인데 특정 조건에서만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등의 다른 룬을 고려한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기민한 발놀림의 장점 및 단점
 착취는 안정감이었다면 기발은 캐리력입니다.
특히 1코어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가 완성되면 나르를 막을 수 없을 만큼 캐리력이 높아집니다.
어차피 나르는 라인전 초반 단계에서 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에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의 이속과 유지력으로 스킬을 피하면서 버티고 나르가 강해지는 타이밍부터 정밀 룬의 벨류가 높아지기 때문에 나르랑 시너지가 좋은 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라인전 초중반 단계에서 압박을 강하게 넣을 수 없다는 점.
그러나 나르는 애초에 레벨이 낮을 때 압박을 할 수가 없는 챔피언이고
버티면서 안정적으로 레벨링 후에 템을 갖추고 나서 라인 주도권을 먼저 잡은 뒤에
킬각을 잡는 챔피언이기 때문에 현재 나르 입장에서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은 단점은 가장 적고
나르의 캐리력을 가장 잘 뒷받침할 수 있는 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하위룬
 솔직히 정밀의 하위룬은 후반 벨류는 높지만 라인전 벨류가 별로 안 좋습니다.
사실상 핵심룬만 보고 가는 겁니다. 근데 최근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이 너프먹고 유지력이 안 좋아진 게 체감이 좀 되더라구요.
너프 전에는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를 들어야 했던 챔프 상대로도 후반 벨류가 더 높은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을 들고 가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 경우는 없는 것 같습니다.

 첫째 줄은 Triumph(승전보)나 Overheal(과다치유)인데 몰왕검을 가는 게 아니면 과다치유 효율은 안 좋습니다. 그냥 Triumph(승전보) 찍으시면 됩니다.

 둘째 줄은 일반적으로는 LegendAlacrity(전설: 민첩함) 찍는데 한타에서 나르에게 확정cc기가 집중적으로 들어올 것 같으면 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 찍으셔야 합니다. 솔직히 둘째 줄은 라인전에선 없는 룬이에요.
LegendAlacrity(전설: 민첩함)을 찍으면 라인전 끝나고 스플릿이나 소규모 교전에서 딜과 카이팅이 수월해지고 타워링이 빨라서 스노우 볼 속도를 높이거나 캐리력을 높여주고.
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을 찍으면 한타 포지션이 수월하고 이니시나 5:5교전에서 메가나르의 존재감이 높아집니다.

 셋째 줄은 LastStand(최후의 저항)찍으시면 됩니다.
체력템을 가는 나르에게 CutDown(체력차 극복)은 의미없고 CoupDeGrace(최후의 일격)LastStand(최후의 저항) 둘 다 찍어봤는데 솔직히 큰 차이 없습니다.
근데 대부분의 게임에서 LastStand(최후의 저항)의 딜량이 더 높게 나오더라구요.
간단하게 라인전에서는 CoupDeGrace(최후의 일격)를 쓸 일이 더 많고, 라인전이 끝나면 LastStand(최후의 저항)를 쓸 일이 더 많습니다.


4. 보조룬
 위에 착취 하위룬 카테고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개만 찍어야 해서 Demolish(철거) 보다 라인전, 한타 기여도가 높은 SecondWind(재생의 바람)BonePlating(뼈 방패) + Overgrowth(과잉성장)Unflinching(불굴의 의지)를 상황에 맞게 찍으시면 됩니다.
텔, 점멸 고정
(설명 생략)
분노의 유전자 (Rage Gene)
나르는 전투 중 분노가 생성됩니다. 분노가 최고치에 도달한 후 4초가 지나거나 스킬을 사용하면 메가 나르로 변신하여 생존력이 커지고 스킬이 바뀝니다. 메가 나르 지속 시간은 15초이며, 다시 미니 나르로 돌아오면 13초 동안은 분노를 획득할 수 없습니다.
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
재사용 대기시간: 20/17.5/15/12.5/10초
부메랑을 던지면 25/70/115/160/205 (+1.15 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2초 동안 적들의 속도를 30/35/40/45/50% 늦춥니다. 부메랑은 적 하나를 맞힌 다음에는 나르에게 돌아오며, 이후 맞히는 적들은 50%의 피해를 입습니다. 적 하나 당 부메랑에 한 번만 맞습니다. 부메랑을 받으면 재사용 대기시간이 40% 감소합니다.

메가 나르: 돌덩이를 던져 맞은 대상과 주변 모든 적을 15/20/25/30/35% 둔화시키고 5/45/85/125/165 (+1.4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돌덩이를 집어들면 이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70% 감소합니다. (사정거리: 1100)
슝슝 / 쿵쾅 (Hyper / Wallop)
기본 지속 효과: 같은 대상에게 매 3번째 기본 공격이나 스킬 공격을 하면 추가로 0/10/20/30/40(+1.0AP)+ 대상의 최대 체력의 6/8/10/12/14%에 해당하는 마법 피해를 입히고 나르의 이동 속도가 20/40/60/80%(궁극기 스킬 레벨에 따라) 상승한 다음 3초에 걸쳐 서서히 감소합니다. (몬스터 상대로 300의 피해)

메가 나르: 1.25초 동안 일정 구역 안에 있는 적들을 기절시켜 25/55/85/115/145(+1.0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나르가 메가 형태에서 미니 형태로 돌아올 때는 슝슝의 이동 속도 상승 효과를 받습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7초
폴짝 / 우지끈 (Hop / Crunch)
재사용 대기시간: 22/19.5/17/14.5/12초
대상 지점으로 폴짝 뛰어 4초 동안 공격 속도가 40/45/50/55/60% 상승합니다. 유닛 위에 착지하면 튕겨서 더 멀리 날아가며, 착지한 유닛이 적일 경우 20/60/100/140/180 (+나르 최대 체력의 6%)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를 입히고 잠시 둔화시킵니다.

메가 나르: 대상 지점으로 훌쩍 뛰어 착지 위치에 있는 모든 적에게 80/115/150/185/220 (+나르 최대 체력의 6%)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나르에게 밟힌 적들은 잠시동안 둔화됩니다.

우지끈 스킬을 사용하여 변신하게 되면 메가 나르가 되어서도 튕겨 날아갈 수 있습니다. (사정거리: 475/600)
나르! (GNAR!)
재사용 대기시간: 90/60/30초
슝슝의 이동 속도 증가분이 45/60/75%로 상승합니다.

메가 나르: 근처 모든 적을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내서 200/300/400 (+0.5 추가AD)(+1.0AP) 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1.25/1.5/1.75초 동안 속도를 45% 늦춥니다. 벽에 부딪히는 적은 150%의 피해를 입고, 둔화되는 대신 기절합니다.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트리
 나르의 스킬 선마 순서는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 - Hyper / Wallop(슝슝 / 쿵쾅)(W) - Hop / Crunch(폴짝 / 우지끈)(E) 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고정인데 1, 2레벨 스킬 트리는 적 챔피언이나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1, 2레벨 스킬에 따라 라인전이 초반부터 터져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나르의 1레벨 스킬 찍는 방법은 Q와 E 2가지가 있습니다.

고작 1, 2레벨 스킬 트리지만 나르는 라인전이 정말 중요하고 특히 라인전 초반이 더 중요하기에 설명이 조금 깁니다.

일단 3줄 요약하고 시작하겠습니다. 그러나 깊은 이해도를 원하시면 아래 글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요약)

Gwen(그웬)Nocturne(녹턴)Jax(잭스)Camille(카밀)Wukong(오공)Olaf(올라프)Irelia(이렐리아)Fiora(피오라) 이렇게 8개 챔피언은
적 챔피언의 라인 운영 방법, 적 챔피언의 스킬 트리, 실력 차이 등에 따라 나르가 1, 2레벨에 찍는 스킬이 다릅니다.
그 외의 나머지 모든 챔피언들 상대로는 일반적인 1렙 구도에서 찍어야 하는 스킬이 정해져 있는데 대부분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를 찍습니다.


자! 그럼 설명 시작하겠습니다.

나르의 1레벨 사거리는 400으로 원거리 챔프가 맞나.. 싶을 정도로 형편없습니다.

웬만한 근접 챔프 스킬 사거리보다 짧지요.

그리고 나르의 유일한 공격 스킬인 1레벨 Q는 쿨타임이 무려 20초. 심지어 E(점프)는 22초입니다.

부메랑을 빠르게 받아도 10초가 넘습니다. 끔찍하죠..


그러나! 나르는 레벨이 올라갈 수록 다른 탑 챔피언은 없는

사거리 증가, 메가나르의 사기적인 능력치라는 강점이 있어요.

나르는 7레벨 이후 + 미니나르 상태로 원콤이 안 나고 메가나르로 변신이 가능한 템이 떴을 때부터 강해집니다.

즉, 나르의 초반 스킬 트리나 템트리는 '이득을 보기 위해 찍는' 게 아니고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한 쪽으로 찍는' 개념으로 접근하셔야 해요. (어쩔 수 없이 이득을 위해서가 아닌 망하지 않기 위해서)


 1레벨 스킬은 각 챔피언마다 다르고
심지어 상대 챔프가 1레벨 운영을 어떤 식으로 하느냐에 따라서도 다릅니다.

각 챔프마다 다른 건 당연한 문제이니
후자인 상대 챔프의 운영법에 따른 스킬 트리를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Jax(잭스)이 친구가
초반 탑 쪽 강가 인베 시야를 포기하고 탑 1번째 부쉬에서 대기타고 있다가 첫 미니언 웨이브가 6:6 맞 붙고 나서 갑자기 마법사 미니언 뒤로 걸어 나와서 반격을 돌리면서 딜교환을 하려고 한다?
(1레벨에 나르가 라인에 보이자마자 삼거리로 돌아와서 딜교환 하는 구도도 똑같습니다.)
 이 때는 Jax(잭스)가 반격을 돌리자마자 Hop / Crunch(폴짝 / 우지끈)를 찍고 잭스 머리를 타고 도망가면서 슬로우 걸린 Jax(잭스)를 패면서 다시 미니언 먹으러 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반격 쿨이 4~5초 정도 더 빨리 도니까 E쿨 돌기 5초 전부터는 앞 무빙 하시면 안 됩니다.
이런 상황은 잭스가 무조건 손해보고 시작하기 때문에 나르를 상대할 줄 아는 잭스는 1레벨에 반격을 찍긴 하지만 첫 부쉬에서 무지성 딜교환을 하러 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만약에 잭스가 첫 부쉬에서 대기하고 있는데 나르가 첫 미니언 오자마자 라인에 부메랑을 날려서 Q찍은 걸 보여줬다면 나르는 1레벨에 포션 빠지고 반 피 이상 깎이는 딜교를 당하게 되고 2레벨에 솔킬을 당하거나 텔쓰고 집 갔다 오지 않으면 적 정글이 3렙 다이브를 하러 올 겁니다. (이렇게 죽으면 그냥 100% 나르 실력탓입니다..)

이 외의 경우 Jax(잭스)가 1레벨에 Q를 찍고 나르에게 점프를 뛰면서 맞딜을 계속 걸면서 2레벨에 킬각을 보려고 하는 경우나 반격을 찍고 미니언을 받아먹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나르는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찍으면 됩니다.
(더 자세한 상대법은 아래에 "챔피언 상대법" 카테고리에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보통 Jayce(제이스)같은 챔피언도 전자처럼 첫 부쉬에서 이득보고 시작하려고 하죠. 그러나 Jayce(제이스)를 상대할 때는 제이스가 1번째 부쉬에서 튀어나오자 마자 와드를 박고 미니언 어그로가 끌리게 해야 해요.
왜냐? 제이스는 원거리 챔피언이라서 1레벨에 마법사 미니언 넘어서 까지 밀려버리면 나르가 경험치 파밍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러나 Jax(잭스)는 근거리라 오히려 반격이 빠진 상태로 마법사 미니언 넘어서 오면 나르한테 맞기만 하기 때문에 굳이 와드를 쓸 필요가 없죠.

이렇게 1, 2레벨 스킬 트리는 챔피언마다 그리고 적 챔피언의 라인 운영 방법에 따라 달라서 하나하나 설명해드리기에는 너~무 깁니다.

하지만! 나르는 탑에 오는 90% 이상의 챔피언 상대로 1레벨에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를 찍고
Jax(잭스)처럼 운영 방법에 따라 찍는 스킬이 다른 챔피언이 10% 정도 됩니다.
그런 챔피언로는 Gwen(그웬)Nocturne(녹턴)Jax(잭스)Camille(카밀) 이렇게 있고,

애매한 챔피언으로는 Wukong(오공)Olaf(올라프)Irelia(이렐리아)Fiora(피오라) 이렇게 있습니다.

Gwen(그웬)Nocturne(녹턴)Jax(잭스)이 3명은 위 예시와 비슷한 메커니즘이고 Camille(카밀) 얘는 첫 번째 부쉬에 숨어 있어도 1레벨에 살상력이 없는 챔프라 라인 운영 방법이 아닌 카밀의 스킬에 따라 맞춰서 찍으면 무조건 유리하게 갈 수 있기 때문에 포함됩니다. 카밀이 Precision Protocol(정확성 프로토콜)(Q) 또는 Tactical Sweep(전술적 휩쓸기)(W)를 찍었다면 부메랑(Q)을 찍으시고 Hookshot(갈고리 발사/돌진)(E)를 찍고 딜교환을 걸면 벽에 갈고리를 뻗는 게 보이자마자 빠르게 점프(E) 찍으셔서 피하셔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도 나르가 이득을 보지만 딱 1가지 카밀이 Tactical Sweep(전술적 휩쓸기)(W)에 유성을 찍고 미니언과 나르를 같이 맞출 경우 나르가 손해봅니다. 그 때는 나르만 맞고 착취를 뜯던지 아애 무빙으로 안 맞던지 하셔야 됩니다. 그러나 유성을 찍었다면 저레벨 구간에만 카밀이 유리하고 갈 수록 나르가 압도적으로 유리해지니 7레벨 전에 죽지만 않는 다는 마인드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만약 카밀이 1레벨에 아무런 스킬도 안 쓰고 있다면 나르가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 찍는 거 보자마자 Hookshot(갈고리 발사/돌진)(E) 찍고 딜교환 걸 생각인 겁니다. 이 때는 그냥 일방적으로 착취 뜯으면서 안정적으로 파밍하시면 되기 때문에 카밀 상대로 나르는 1:1만 보면 항상 유리합니다.

다음으로 Wukong(오공)Olaf(올라프)Irelia(이렐리아)Fiora(피오라)이 챔프들은 애매한 게 실력 차이에 따라 조금 갈려요.
이 4개 챔피언 상대로도 나르가 저 챔피언들을 완벽하게 상대할 줄 안다면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를 찍는 게 맞습니다.
Wukong(오공) 상대로는 오공이 1레벨에 대쉬기를 찍고 달려 들어서 딜교환을 걸 때 대처 방법을 알아야 하고,
Olaf(올라프) 상대로는 1레벨에 도끼 찍고 무지성 킬각 잡을 때 도끼를 다 피할 실력이 되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도끼를 1번이라도 못 맞추면 킬을 못 내고 역으로 라인전이 터져 버리기 때문에 올라프도 도끼 레벨이 올라가기 전까지 주도권만 잡고 있고 딜교환을 안 합니다.)
Irelia(이렐리아) 상대로는 1레벨에 전사 3마리 지우면서 대쉬기로 딜교환 걸 때 대처법을 알아야 하고, 선 2레벨을 당연히 주게 될 텐데 2레벨에 이렐리아 E를 점프를 쓰지 않고 무빙으로 피할 실력이 되어야 하고,
Fiora(피오라) 상대로는 1레벨에 첫 부쉬에서 이득보고 시작하려고 각 잡고 있을 텐데 그때 대처 방법과 착취+도란방패 쿨이 돌 때만 표식을 안 내주면서 딜교환 할 실력이 되어야

1레벨에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를 찍을 수 있어요. 물론 이 5개 챔프 상대로 1레벨에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를 안 찍고 Hop / Crunch(폴짝 / 우지끈)(E)를 찍었다는 걸 보여주는 순간 라인전 끝날 때까지 주도권을 잃기 때문에
혹시 대처법을 모르거나 상대보다 잘 할 자신이 없다면 최대한 어떤 스킬을 찍었는지 보여주지 말고 평타로 cs를 먹으셔야 합니다.

위 챔프를 제외한 다른 모든 챔피언들 상대로는 1레벨에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 찍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2레벨에는 1레벨에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를 찍었다면 Hop / Crunch(폴짝 / 우지끈)(E) 찍으시고
Hop / Crunch(폴짝 / 우지끈)(E)를 찍었다면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Q) 찍으시면 됩니다.
그러나 상대 정글이 탑에 올 가능성이 아애 없고 Nasus(나서스)Skarner(스카너)Garen(가렌) 등과 같이 초반 주도권이 압도적으로 나르에게 있는 경우는 2레벨에 W찍으셔도 되는데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어차피 상대방 챔프에 3타를 터트리는 건 불가능하고 라인을 평타 1~2대 정도 더 빨리 미는 정도니까요.
저는 주도권 있어도 웬만하면 2레벨에 Hop / Crunch(폴짝 / 우지끈)(E)찍고 안정적으로 하는 편인데
탑 초반 상성이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고 우리 정글이 반가르기 당해서 적 위쪽 정글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일 때만 2레벨 W찍고 라인 푸쉬합니다.


스킬 활용 팁
- 변신하면서 W R 쓰면서 변수 만들기
 이 부분은 영상으로 보는 게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제 방송을 보시거나 유튜브 영상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메커니즘을 설명해드리면 미니나르가 분노 풀 충전된 상태가 되면 점프하면서 W, R을 쓸 수가 없습니다.
 분노 97에서 평타를 때리고 100이 되기 전에 미니나르 상태로 점프를 써서 미니나르가 상대 머리를 밟기 전에

솔직히 나르가 실제 라인전에서 쓸만한 잡기술은 이거 하나 뿐입니다.
이 외에는 챔프 숙련도보다 동체시력, 롤 이해도, 맵리딩 같은 전체적인 게임 실력에 영향을 받는 요소가 더 많습니다.

그래도 이 외에 툴팁에도 없는 꿀Tip이나 벽궁, 점프가 가능한 물체 같은 잡기술 부분들은
아래에 추가 공략 카테고리에 적어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작 아이템
공템
방템
템 빌드
시작템
 Doran's Blade(도란의 검)Doran's Shield(도란의 방패)Cull(수확의 낫)나머지는 고려 안 하셔도 됩니다.
적 챔프마다 시작템 선택 방법은 챔피언 상대법에 적어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화템
 현재 나르의 신화템은 다른 장인들 보면 Trinity Force(삼위일체)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Stridebreaker(발걸음 분쇄기)Goredrinker(선혈포식자)정도가 있던데 공략 작성 시간을 기준으로 Trinity Force(삼위일체),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 말고 다른 템트리는 없습니다.

 저는 Stridebreaker(발걸음 분쇄기)가 짧은 대쉬기일 때는 Stridebreaker(발걸음 분쇄기)위주로 가면서 조합이나 라인전 상성에 맞춰서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를 선택했었는데 Stridebreaker(발걸음 분쇄기)에 대쉬기가 사라지고,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원거리가 너프 먹으면서 현재는 Trinity Force(삼위일체)를 가장 많이 선택하는 추세입니다.

 사실 저는 현재 Trinity Force(삼위일체)도 그닥 나르에게 잘 맞는 템이라고 생각하진 않아요.
스킬 가속을 없애고 체력, 공격력 쪽 스텟이 더 붙고 예전 얼어붙은 망치나 지금의 Stridebreaker(발걸음 분쇄기)처럼 슬로우 디버프가 있으면 가장 좋을텐데 말이죠.

여기서는 Trinity Force(삼위일체),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 선택지가 가장 대중적이고 이마저도 나르에게 완벽한 아이템은 아니라 라이엇의 패치 방향에 따라 나르 1티어 템트리는 변할 수 있다는 것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상황에 따른 Trinity Force(삼위일체),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 둘 중 선택하는 방법은 아래에 챔프 상대법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템트리가 변하게 된다면 다시 와서 공략을 수정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캐리력을 높여주는 아이템
 사실 아이템 카테고리에서는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만큼 자세하게 작성했어요.
위에서는 단순히 어떤 아이템이 좋습니다. 정도만 설명해드리는 게 깔끔할 것 같아서 간단하게 썼는데

 여기에서는 나르의 메커니즘과 그로 인해 상황에 따른 템트리 선택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부분을 완벽하게 이해하신다면 신챔프가 나오더라도 생전 처음보는 상황에서도 암살자가 잘 큰 상황, 원딜이 잘 큰 상황, 브루저가 잘 큰 상황, AP캐리가 많은 상황, 나르가 캐리해야 하는 상황, 팀에 앞 라인이 나르 밖에 없는 상황 등 LoL을 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상황들에서 일일이 템트리를 찾아보지 않아도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할 겁니다.

 우선 나르의 템트리를 이해하려면 나르에게 효율적인 스탯이 무엇 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간단하게 나르에게 중요한 스탯 순서는 이속 > 체력, 공격력 > 공속 > 방어, 마저 > 쿨감, 방깎 입니다.
이 외에 치명타, 피흡, 물관 등은 다른 스탯에 비해 좋지 않습니다.
근데 신발을 제외한 아이템에 이속이 붙는 아이템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속은 제외하고 체력, 공격력, 공격속도, 방어, 마저, 쿨감, 방깎 붙은 템 중에 효율이 가장 좋은 템을 선택해야 해요.

 다른 챔프들이라면 공템 vs 방템을 비교하며 설명했겠지만 나르는 조금 특이합니다.
분노라는 메커니즘 안에서 미니나르 일 때는 탱커도 아닌 브루저도 아닌 AD딜러도 아닌 애매한 챔프이고 
메가나르 일 때는 탱커, 이니시에이터, 브루저, AD딜러 등 모든 역할을 다 수행할 수 있죠.
즉, 나르는 선택지에 따라 캐리하는 브루저, 딜러가 될 수도 있고
팀에 안정감을 더 해주는 탱커, CC셔틀이 될 수도 있기에
이제부터 캐리력과 안정감에 따라 어떤 상황에서 어떤 아이템을 선택해야 하는 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캐리력을 높여주는 아이템을 먼저 설명해드릴텐데
그러려면 나르의 메커니즘을 조금은 알고 가셔야 합니다.
무작정 공격력, 공속템 만 올린다고 캐리력이 올라가진 않거든요.

 나르는 기본 스킬 딜은 매우 낮아요. 부메랑 25/70/115/160/205 (+1.15 AD), 돌덩이 5/45/85/125/165 (+1.4 AD)
보시면 기본 스킬 딜은 낮지만 AD계수가 말도 안 되게 높습니다. Q가 아닌 다른 스킬도 마찬가지죠.

나르가 캐리하려면 결국 앞 라인이 아닌 뒷 라인 딜러들을 때려 잡아야 해요.
그래서 공격력, 체력, 방마저가 같이 있는 템(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을 올려서 캐리력을 높여줍니다. 상대가 때려도 죽지 않는데 공격력은 높으니 돌덩이 1대 맞으면 피가 2~3칸 씩 나가니 캐리할 수 밖에 없죠.
이 상황은 한타와 교전에서 캐리하는 방법이고 나르는 사이드 운영도 꽤 강력한 편이라 운영으로 캐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운영으로 캐리하려면 적 탑과 1:1을 뚫어내고 타워링을 빠르게 하면서 상대가 나르를 끊으려고 하면 흘려내야겠죠.
그래서 공격력, 공속, 이속, 체력이 같이 있는 템(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Wit's End(마법사의 최후)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 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을 갖춰야 합니다.
여기서 보시면 중복되는 아이템인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는 나르가 캐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무조건 2코어로 가셔야 하고 그 외에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제 각각의 캐리력 아이템이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 지 체크하고 안정성 아이템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
1티어 캐리템 :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 

특수한 상황 : Wit's End(마법사의 최후) Chempunk Chainsword(화공 펑크 사슬검) Death's Dance(죽음의 무도) Hullbreaker(선체파괴자) Guardian Angel(수호 천사)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스테락의 도전)
 나르는 방마저보다 공격력 체력 효율이 좋은데 최적의 아이템입니다. 스테락이 너프먹기 전에는 2코어 고정으로 갔었는데 너프 이후에는 깡스텟 자체가 너무 별로에다 빠르게 게임이 끝나는 메타에서 골드에 비해 효율이 너무 안 좋아서 요즘은 잘 선택하지 않는 템입니다.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칠흑의 양날 도끼)
 안정감은 떨어져도 캐리력은 압도적인 템. 심지어 체력과 이속이 붙어있어서 안정감도 꽤 도움 됩니다.
적 팀에 탱커가 2명 이상이면 우리 팀 원딜의 캐리력을 높여주기 위해서 무조건 가주시고 원딜 옆에서 적 앞 라인부터 같이 때려주세요. 적 앞 라인을 정리하고 메가나르로 변신해서 같이 밀고 들어가는 그림이 베스트입니다.
그리고 나르가 잘 커서 캐리각이 나오거나 나르를 제외하고 앞 라인이 2명 이상이면 2코어에 필수적으로 가주세요.

 반면 라인전이 끝나고 계속해서 5:5 한타를 해야 하는 상황이나 앞 라인이 나르 하나 밖에 없는 경우에는 2코어부터 탱템만 올리지 않으면 적 5명에게 점사 당하고 변신도 못 하고 죽기 때문에 웬만하면 가시면 안 됩니다.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맬모셔스의 아귀)
 적 탑, 미드 챔프가 둘 다 AP챔프 이거나 적 조합이 3AP 이상일 때 가주시면 됩니다.
신화 템에 맬모가 뜨면 AP챔프로는 나르의 사이드 푸쉬를 막을 수 없습니다. 타워 안에서도 막기 힘들어요.


아칼리. 다이애나. 피즈. 등의 챔프가 점화를 들고오면 주문포식자까지 가시고 신파 올리시면 됩니다.
이후에 멜모까지 올리는건 비추천드리고 원콤이 무서우면 차라리 증오의 사슬가셔서 체력올리는걸 추천드립니다.
풀템전까지 가셨다면 주문포식자 팔고 스테락 + 대자연으로 바꾸셔야 합니다.
어차피 후반은 적 원딜의 압박이 훨씬 심하고 적 암살자가 나르에게 스킬을 투자할 일은 없습니다.
대자연으로 최소한이 마저를 갖추시고 체력템과 란두인 쪽을 보셔야 합니다.


Wit's End(마법사의 최후)(마법사의 최후)
 
 제 기준 잘 큰 상태로 이 템이 뜨면 웬만한 스킬은 다 피해짐. 나르에게 공속은 즉 이속버프나 다름없어요.
나르 상대로 사이드를 이길 수 있는 ap챔프는 블라디 하나 밖에 없습니다. 블라디도 동성장 기준이고 나르가 더 잘 컸으면 나르가 이깁니다.
사이드를 쌔게 압박하면서 한타에서 뒷 포지션을 잡을 수 있는 조합이라면 마법사의 최후가 캐리력 가장 좋은 공템입니다.


Chempunk Chainsword(화공 펑크 사슬검)(화공 펑크 사슬검)
 치감이 필요한데 Bramble Vest(덤불 조끼)나 Thornmail(가시 갑옷)으로는 치감 효과를 묻힐 수 없는 조합일 때 필수로 가줍니다.

그런 챔프들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평타보다 스킬로 피흡 하는 챔프 (Sylas(사일러스)Gwen(그웬)Vladimir(블라디미르), Aatrox(아트록스)Illaoi(일라오이)Zac(자크))
상대가 때리기 전에 먼저 치감을 묻혀야 하는 챔프 (Viego(비에고)Warwick(워윅)Tahm Kench(탐 켄치)Trundle(트런들)Nasus(나서스))
그냥 유지력이 좋은 챔프 (Cho'Gath(초가스)Dr. Mundo(문도 박사)Irelia(이렐리아))
이 챔프들 상대로는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를 최대한 빨리 올려주시고 6코어로 Chempunk Chainsword(화공 펑크 사슬검) 가시면 됩니다.
신발이나 중간 코어를 올리고 나서 갖추셔도 되는데 1코어보다는 무조건 먼저 가셔야 합니다.

 이 외에 특수한 케이스들이 있는데 Fiora(피오라), Lee Sin(리 신)Riven(리븐)Mordekaiser(모데카이저)Singed(신지드)Bel'Veth(벨베스)Swain(스웨인) 이 챔프들은 초반에는 유지력이 그렇게 좋지는 않은데 레벨이 높아지거나 템이 나오면 피흡이나 유지력이 갑자기 확 좋아집니다.
이 챔프 상대로는 나르가 라인전 상성이 유리해서 1~2코어 나온 뒤에 Blade of the Ruined King(몰락한 왕의 검)Goredrinker(선혈포식자)Ravenous Hydra(굶주린 히드라)Riftmaker(균열 생성기) 이런 템이 나올 때쯤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 하나 정도 올려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우리 팀이 치감을 안 올리면 마지막 코어로 Chempunk Chainsword(화공 펑크 사슬검) 올려주시면 되고 우리 팀이 치감 템을 충분히 갖춰졌다면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 파시고 다른 템 올리시는 게 좋습니다.
결국 풀템 전에서 나르는 앞 라인 CC셔틀이니 좀 더 버티면서 스킬 쿨 1번이라도 더 돌리는 게 좋습니다.

 Yuumi(유미)Seraphine(세라핀)Soraka(소라카)Sona(소나) 등의 힐 서포터가 많으면 1코어 이후 라인전이 끝나고 한타가 시작될 때쯤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를 갖춰주는 게 좋습니다. 명심하세요. 힐 서포터 상대로는 Bramble Vest(덤불 조끼)가 아닌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를 올리셔야 합니다.

 그리고 템 선택 난이도가 조금 높은 케이스가 있는데 Kalista(칼리스타)Samira(사미라)Draven(드레이븐)Kayn(케인) 이 챔프들은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우선 가닥이 아애 다른 Kayn(케인) 얘는 정복자 + 다르킨 + 선혈을 가면 라인전 끝나자 마자 1코어를 뽑았으면
바로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 사시고 우리 팀이 치감을 가더라도 마지막 코어로 Chempunk Chainsword(화공 펑크 사슬검) 올리시면 됩니다. 그림자 암살자라면 치감 템은 안 사셔도 됩니다.

Kalista(칼리스타)Samira(사미라)Draven(드레이븐) 이 3개 챔프는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가 아닌 Bramble Vest(덤불 조끼)의 효율이 훨씬 좋아서 상황을 잘 보시고 선택하셔야 해요.
나르가 우리 팀 딜러 옆에서 딜러를 지키면서 싸워야 하는 상황에서는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를 사셔야 하고
나르가 앞 라인을 해줘야 하는 상황에서는 Bramble Vest(덤불 조끼)를 사는 게 좋습니다. 이 판단은 경험치와 실력을 늘리셔야 해요.
만약에 딜러를 지키면서 싸워야 하는데 Bramble Vest(덤불 조끼)를 올리시면 Kalista(칼리스타)Samira(사미라), Draven(드레이븐)이 3명한테 나르의 치감이 묻는 일은 많지 않을 겁니다.
반대로 앞 라인을 해줘야 하는데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를 사면 어떻게든 치감은 묻겠지만 탱킹 차이 체감이 많이 되실 거에요.
잘못 선택했다면 되팔더라도 다시 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Chempunk Chainsword(화공 펑크 사슬검)은 올리더라도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까지만 최대한 빨리 올려주시고 Chempunk Chainsword(화공 펑크 사슬검) 반드시 5~6코어 쯤에 올려주세요.
치유 감소 옵션을 제외하면 다른 템에 비해 골드 대비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가장 아래에 있는 챔피언 상대법 카테고리에서 1코어 전까지 템 트리만 설명해드리기 때문에 그 이후 치감 템을 올리는 상황은 여기서 자세히 설명해야 해서 조금 길었네요.


Death's Dance(죽음의 무도)(죽음의 무도)
 아이템만 보면 잘 어울릴 거 같지만 체력이 안 붙어 있어서 나르한테는 별로 입니다.
전체 챔프 방마저 1위가 메가나르 이기 때문에 Death's Dance(죽음의 무도)의 "반항" 효과보다 체력을 높여서 미니나르가 변신할 시간을 벌어주고 변신 이후에는 메가나르의 방마저 효율을 높여주는 체력과 공격력이 붙은 템이 훨씬 좋습니다.
저는 나르가 하드캐리 해야 하는 판에서 신발 제외 5코어를 전부 공템을 가야 할 때 마지막 코어템 Guardian Angel(수호 천사)와 Death's Dance(죽음의 무도) 중에 선택해서 올리는 편입니다. 이 때도 Guardian Angel(수호 천사)를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Hullbreaker(선체파괴자)(선체파괴자)
 얼마 전까지 OP템이라 무조건 가야 하는 아이템이었는데 지금은 그냥 골드 대비 스텟이 그렇게 좋지는 않습니다.
정말 한타가 답이 없고 나르 혼자서 사이드를 뚫어서 이겨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가지 않습니다.


Guardian Angel(수호 천사)(수호 천사)
 Death's Dance(죽음의 무도)와 마찬가지로 올리더라도 5코어로 올리는 편입니다.
나르는 신발 팔고 6코어를 가는 경우가 우물 앞에서 5:5 하는 상황 밖에 없고
애초에 나르가 죽어서 부활하는 상황이면 한타가 끝나는 경우가 95% 이상 이거나 나르가 먼저 물려서 죽는 상황이면 95% 이상 이미 진 한타이기 때문에 부활로 데스를 줄이기 보다 탱템을 올려서 애초에 안 죽는 각을 보는 게 좋습니다.
나르가 수호 천사가 있다는 것 만으로도 적 뒷 라인에 큰 위협이 될 때만 가줍니다.


이 외에는 나르가 갈 캐리템은 없습니다.
나르가 공템을 올릴 수 있는 상황 자체가 게임이 비등하거나 유리하고 나르도 잘 큰 상황인데
어차피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 선에서 다 끝납니다.
이 후에 올리는 공템은 나르 캐리로 이미 게임이 끝난 상황인 경우 밖에 없습니다.
웬만한 상황에서 신화템 + 양날도끼 + 스테락(맬모) 이 후에는 탱템을 올리는게 캐리력이 오히려 더 좋습니다.



안정감을 높여주는 아이템
 안정감을 높여주는 템은 단순하게 나르에게 효율 좋은 템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리고 가야 하는 상황도 아주 쉽게 판단할 수 있구요.

메가나르는 롤에 있는 모든 챔피언 중에 방마저가 압도적 1등 이고, 체력은 클레드 다음으로 2등입니다.
즉, 탱킹을 높이려면 체력템 위주로 올리고 방마저는 메가나르 변신할 수 있을 정도로만 올려주는 게 효율이 좋습니다.

1티어 방템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 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 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

특수한 상황
Anathema's Chains(증오의 사슬) Spirit Visage(정령의 형상) Thornmail(가시 갑옷)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란두인의 예언)
 무조건 가야하는 템. 언제 올리느냐에 달렸음. 라인전 이겨서 공템으로 캐리하고 싶어도 적원딜이 잘 컸으면 무조건 2코어로 가세요.
적 원딜이 잘크면 메가나르 변신 못합니다.. 미니나르 상태에서 평타로만 죽어요.

Thornmail(가시 갑옷)(가시 갑옷)
 란두인과 스테락을 띄웠는데도 적 원딜 데미지가 너무 아프면 가는 템.
나르에게는 효율이 별로라 그냥 방어력이 필요할 때 가는 템입니다. 나르는 맞는 구도에서 버티기보다 내가 압박을 줘서 상대가 나를 못 때리게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란두인 + 스테락 + 양날도끼 체력 + 메가나르로 버틸 수 있다면 펑크사슬검 올리는 게 더 좋습니다.

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망자의 갑옷)
 캐리력이 가장 높은 방템.
한타를 해야 한다면 란두인인데 사이드를 해야 한다면 망자의 갑옷입니다.
조합이 상대가 나르를 포커싱하지 않는 조합이라면 망자의 갑옷은 무난하게 좋은 방템입니다.
그러나 나르가 진입했을 때 같이 들어와주는 아군 챔프가 없고 상대 딜러가 미니 나르를 녹일 딜이 나온다면
란두인을 먼저 고려하셔야 합니다.

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대자연의 힘)
 마저 붙은 방템 중 유일하게 갈 수 있는 템인데 템 자체가 나르 전용템이라 해도 될 만큼 나르랑 잘 맞습니다.
나르가 갈 수 있는 유일한 마법 방템. 이 외에는 맬모셔스, 마법사의 최후로 마저를 채우셔야 합니다.



 나르는 메인 탱커가 아니고 서브 탱커이자 서브 브루저 입니다. 사실상 방템은 이 4개 빼고 없습니다. 
한 게임 안에서 이 4개 다 가는 경우는 정말 극히 드뭅니다.
보통 원딜이 없는 조합은 없으니 풀템 안에 (신화템), (Ninja Tabi(판금 장화) OR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 정도가 고정으로 포함되고
나머지 2개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가셔야 합니다.
대부분 Thornmail(가시 갑옷)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Chempunk Chainsword(화공 펑크 사슬검) 중에 추가 됩니다.


Spirit Visage(정령의 형상)(정령의 형상)
 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만 올려도 적 AP챔프는 나르를 포커싱하지 않습니다. 포커싱하면 이미 이긴 한타구요.
더 효율 좋은 템이 있고 템 칸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애 안 갑니다.

Gargoyle Stoneplate(가고일 돌갑옷)(가고일 돌갑옷)
 이거가면 딜은 포기하는 거고 탱효율도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나르는 방마저 효율보다 체력 효율이 좋습니다.
메가나르로 변신하면 기본적으로 방마저를 잔뜩 주거든요. 가고일보다 스테락 + 란두인이 훨씬 효율 좋습니다.

Silvermere Dawn(은빛 여명)(은빛 여명)
 Sejuani(세주아니) Fiddlesticks(피들스틱) Malzahar(말자하) Ashe(애쉬) Annie(애니) 처럼 확정 CC나 장판 CC가 너무 많아서 도저히 진입이 불가능하고
나르가 변신 못 하고 한번에 터지지만 않으면 이기는 상황일 때 가는데 
이런 조합은 어차피 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강인함) + Unflinching(불굴의 의지)(불굴의 의지) 들고 가기 때문에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헤르메스) 선에서 다 커버됩니다.
차라리 다른 방템 올리는 게 더 좋습니다.

이 외에 절대 안 가는 방템으로 Knight's Vow(기사의 맹세) Warmog's Armor(워모그의 갑옷) Frozen Heart(얼어붙은 심장) Abyssal Mask(심연의 가면) Anathema's Chains(증오의 사슬)가 있는데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신발 선택은 적 조합에 따라 정해져 있긴 한데 설명하긴 너무 기니까 나르는 간단하게Ninja Tabi(판금 장화)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이 2개 말고 다른 선택지는 없습니다.
올AD, 3AP이상 등의 극단적인 상황을 제외하고 판단하기 애매한 상황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신발 판단의 기준은 AP딜 보다는 AD딜을, AD딜 보다는 CC면역을 우선 시 해야 하고
그 보다도 라인전 상성을 최우선으로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나르는 쿨감이 딱히 필요없는 챔프라 Ionian Boots of Lucidity(명석함의 아이오니아 장화)는 가격 효율이 좋아도 별로이고, Boots of Swiftness(신속의 장화)보다 판금이나 헤르메스가 성능이 더 좋습니다.
올리는 타이밍은 라인전 구도나 적 챔피언마다 달라서 아래에 챔피언 상대법에서 각 챔프마다 신발 타이밍을 설명하겠습니다.



상황 별 템트리
 여기에서는 애매한 상황말고 약간 극단적이고(?) 확실한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인 템 빌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누구나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이라 크게 도움은 안 될 텐데 이 카테고리는 어떤 빌드가 가장 "효율적인가" 에 중점을 두고 보시기 바랍니다.

 - 적이 올 AD인 경우
Ninja Tabi(판금 장화) - (신화템) -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or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 (Thornmail(가시 갑옷) or 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이후 유동적으로 

 미니 나르는 AP챔프 상대로는 딱히 위협적이지 않은데
AD 암살자 챔피언이나 잘 큰 원딜 상대로 분노가 차기도 전에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반드시 공템보다 방템을 우선 갖춰야 합니다.
특히 올AD일 때는 Ninja Tabi(판금 장화) +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 뜨면 점사 당해도 변신해서 스킬쿨 1번은 돌릴 수 있습니다.

 저는 올 AD상대로 마인드를 3~4코어 타이밍이 오면 상대가 나르를 감당할 수 없다는 마인드로 하기 때문에 
저는 올AD 조합 상대로 양날을 먼저 가기보다는 란두인으로 앞 라인을 확실히 잡아서 우리 팀이 안정적으로 한타를 하고 성장을 할 수 있게 시간을 벌어주면서 나르도 3코어까지 안정적으로 갈 수 있게 시간을 벌어주는 역할을 중점적으로 합니다.

어차피 올 AD상대로 신파 - 란두 - 스테락이 뜨면 나르는 웬만해선 안 죽습니다. 시간이 갈 수록 나르가 있는 팀이 유리해진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그리고 AP챔프의 스킬은 미니나르의 빠른 이속으로 피할 수 있는데
AD챔프의 평타는 피할 수가 없습니다.



 - 4AP or 적 메인 딜러가 다 AP인 경우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Hexdrinker(주문포식자) - (신화템) -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 - (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 or Wit's End(마법사의 최후)) 이후 유동적으로

 보통 AP챔프는 논타겟 스킬이 대부분인 경우가 많고 나르는 이속이 빠르고 이동기가 있기 때문에 스킬 피하기가 수월합니다. 그래서 헤르메스를 빨리 올려주면 효율이 굉장히 좋습니다.
그리고 일단 메가나르로 변신만 할 수 있으면 웬만하면 이깁니다. 상대 AP딜러가 메가나르한테 스킬을 다 쓰면 우리 팀은 프리딜이라 상대는 메가나르가 대놓고 들어와도 CC로 밀어내려고 하지 풀 딜을 꽂아 넣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까지는 고정이고 나르가 사이드를 강하게 하면서 2:1, 3:1을 유도하면서 운영을 해야 하는 경우는 Wit's End(마법사의 최후)
5:5 한타를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을 가주시면 됩니다.
이 후에 공템이 필요하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고정으로 가주시고 방어력 템이 필요하면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 중에 선택해서 가시고 마저템이 필요하면 Wit's End(마법사의 최후)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 중 안 갔던 템을 올려주시면 됩니다.

AP조합 상대로는 나르가 한방에 터지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나르 말고 이니시나 진입해서 나르 옆에서 어그로를 빼줄 수 있는 챔프가 있다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를 올리고
이 외의 상황에서는 방마저템 위주로 올려주는 게 좋습니다.

만약에 상대팀 4AP + 원딜 조합에서 적 원딜이 잘 큰 상황이면 신발 + 신화템 + Hexdrinker(주문포식자)에서 Warden's Mail(파수꾼의 갑옷)을 올린 다음 AP가 아프면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 원딜이 아프면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 올려주시면 됩니다.



 - 앞 라인이 나르 밖에 없는 경우
(신화템) - (Ninja Tabi(판금 장화) or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 - 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 - 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 이후 유동적으로

신화템과 2티어 신발의 순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냥 상황에 따라 적 탑 챔프에 따라 판단하시면 됩니다.
중요한 건 2코어 이후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를 올리지 않고 방템만 가야 합니다.
방템을 갈 때 AP딜보다 AD딜에 먼저 신경을 써주셔야 하고 AP스킬은 최대한 무빙으로 피한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러나 적 원딜의 평타는 피할 수가 없기 때문에 AP가 잘 커서 마저를 올려야 하는 상황이여도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이후에 Warden's Mail(파수꾼의 갑옷) 정도는 올리고 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가셔야 합니다.
이 경우는 적 조합이 AP, AD 벨런스가 갖춰졌다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4코어 안에 반드시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상대 AP가 너무 망해서 마저 템이 딱히 필요없다면 Ninja Tabi(판금 장화) - (신화템) -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 - Negatron Cloak(음전자 망토) - 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 - 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 이런식으로 가는 게 가장 효율이 좋습니다.

그냥 단순하게! 방템 위주로 가지만 AP보다 AD에 더 신경을 쓰고 딜보다는 CC에 더 신경쓰셔야 한다는 것만 명심하시면 됩니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이렐리아
대회에서도 나르 하드 카운터로 종종 나오는 챔프죠.
저는 이렐리아가 탑에 자주 나오는 메타면 고정 벤 합니다.
개인적으로 탑에 오는 원딜 챔프보다 훨씬 상대하기 힘들다고 생각해요.

이렐리아 상대법은 존재합니다.
1~3렙 딜교환 안 당하고, 미니나르 분노 70이하에서는 딜교환 안 당하고
E를 다 피하고 부메랑 다 맞추면 이깁니다.
참고로 6이후에 미니나르 상태로 E, W 다 피하고 궁만 맞아도 죽습니다.
근데 궁 맞으면 E랑 W는 플래쉬 안 쓰고는 절대 피할 수 없습니다..
심지어 스플릿 구도에서는 미니언없이 타워 다이브로 죽습니다.
블라디미르
나르는 AP챔프 상대로 대부분 초반에 불리하다가 헤르메스 or 주문도둑검을 기점으로 점점 유리해집니다.

그러나 블라디는 라인전 내내 불리한데 갱으로 잡기도 힘들고, 메가나르로 킬각 잡기도 까다롭습니다.
심지어 시간이 지날 수록 더 불리해지고, 한타도 블라디가 더 좋아요.

못 버텨서 솔킬 따일 정도는 아닌데 나르가 유리한 면이 하나도 없습니다.
팀운에 의존해야 해서 나르 입장에서 굉장히 불편한 구도입니다.
1레벨 사거리 400인 나르에게 원딜 챔프는 다 힘들지만
베인, 트리스타나, 루시안, 칼리스타, 드레이븐 등 탑에 올 확률이 있는 원딜류 챔피언 중에서 가장 힘든 챔피언입니다.
베인과 트리스타나는 손싸움으로 솔로킬이 가능하고 드레이븐은 갱 부르세요.

루시안, 칼리, 퀸이 가장 힘든데
칼리스타는 나르가 슬로우가 많아서 방어템이 뜨고 스킬샷만 정교하게 사용하면 버티면서 솔로킬까지 노려볼만 하고
루시안은 라인 손해보더라도 죽지만 않으면 한타는 나르가 훨씬 좋습니다.
1코어만 뜨면 파밍하는데에 무리 없어서 편합니다.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가렌
가렌 외에도 원거리 견제 스킬이 없는 모든 뚜벅이들은 쉽습니다.

신지드, 워윅, 트런들, 헤카림 정도가 있네요.
나머지 뚜벅이들은 원거리 견제 스킬이 하나씩은 다 있네요.

라인전에서 원거리 견제 스킬이 있다면 기본적으로 손싸움이 어느 정도 들어갑니다.
내 스킬 못 맞추고 상대 스킬 다 맞으면 못 이기는데
나르는 대쉬기나 이동기가 없는 챔피언들 상대로는 피하기도 쉽고 맞추기도 쉬워서 대부분 유리하긴 합니다.
레넥톤
레넥톤 외에도 짧은 대쉬기나 이동기가 있고 거리 재기 싸움하는 근접 브루저들은 대부분 나르가 유리합니다.

리븐, 카밀, 피오라, 녹턴, 다리우스, 볼리베어, 오공, 우르곳, 잭스 정도가 있겠네요.


이렐리아도 비슷한 브루저인데 왜 다른가?
위 챔피언들은 대쉬기를 1번 사용하면 쿨타임이라는 게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렐리아는 대쉬기가 조건부 무한입니다.. 그리고 위 챔프들보다 딜이 2배 이상 강력해서 메가나르도 원콤날 정도입니다. 야스오도 비슷한 맥락으로 매우 힘듭니다.
위 챔프중에 메가나르를 원콤낼 수 있는 챔프는 잘 큰 피오라빼고 없어요.
대쉬기가 있고 갱호응이 좋은 탱커들도 다른 칼챔 상대로는 버티면서 한타를 볼 수 있지만
나르 상대로는 상성이 불리합니다.

쉔 이외에도 마오카이, 오른, 말파이트, 사이온, 탐켄치가 있겠네요.

나르는 탱커를 상대할 때 핵심 개념이나 피해야 할 스킬 같은 개념적인 부분만 이해하고 해도 절대 질 수가 없습니다.
즉 상대가 아무리 잘해도 나르가 잘하면 솔킬따면서 뚫지는 못해도 절대 지지는 않습니다.
정글이 서로 개입했을 때에도 나르가 더 유리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나르는 라인전이 진~짜!! 중요한 챔프입니다.
상대법을 모르면 미니나르 때 킬각이 쉽게 잡히고 나르는 라인전에서 망해버리면 분노관리를 주도적으로 할 수 없기에 0.5인분도 하기 힘든 챔프입니다.

 여기 "카운터픽" 카테고리에서는 나르의 전체적인 상성 관계에 대해서만 적었는데
이 글 가장 아래로 내려보시면 각 챔피언 별 상대법이 적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너무 길어서 읽는데에 방해가 될 것 같아서 가장 아래로 내렸습니다!
Ctrl + F 누르시고 [챔피언명] 입력하시면 편하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각 챔피언 별 난이도, 상성, 시작 아이템, 템트리, 룬 찍는 방법, 상세한 상대법 위주로 작성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거! 이렇게 챔피언 상대 법을 알고 시작하시면 라인전 실력이 빨리 늡니다!
상위 티어에서 통용되는 개념을 남들보다 먼저 알고 플레이하면서 몸에 익히고 이해만 하시면 되거든요!


1. 나르의 조합
 나르는 어떤 조합에도 어울리지만 나르가 캐리하려면 팀 조합과 상대 조합에 영향을 정말 많이 받습니다.
여기서는 나르가 게임하기 쉬운(또는 어려운) 팀 조합, 상대 조합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1. 팀 조합
 우선 라인전 단계부터.
나르는 라인전 단계가 가장 중요한 만큼
라인 개입이 좋고 정글 주도권이 있는 정글 챔프가 좋습니다. Rek'Sai(렉사이)Lee Sin(리 신)Elise(엘리스)Jarvan IV(자르반 4세) 이런 정글러와 잘 맞습니다.
하지만 Graves(그레이브즈)Nidalee(니달리) 이런 정글과 안 맞는 것은 아닙니다. 그브, 니달리, 킨드 같은 정글이 무지성 카정을 가지 않고 라인 상황을 정확히 보고 드리블 할 줄 안다면 오히려 길게 볼 때 더 좋아요.
그러나 나르 팀 정글이 Graves(그레이브즈)Nidalee(니달리)면 적 정글이 나르가 주도권을 잡을 때쯤 계속 탑에 개입해주기 때문에 나르가 라인전을 상대보다 잘하더라도 캐리는 불가능합니다.

 전체적인 조합을 보면
팀에 먼저 들어가주는 챔프가 있으면 굉장히 좋습니다.
Leona(레오나)Alistar(알리스타)Nautilus(노틸러스) Gragas(그라가스)Rek'Sai(렉사이)Jarvan IV(자르반 4세)Skarner(스카너)Hecarim(헤카림)Sejuani(세주아니)같은 이니시 챔프와 매우 잘 맞는데 이니시를 걸어주는 의미가 아니라 메가나르 변신할 시간을 벌어줄 챔프가 필요해요. 보통 3~5초면 변신하는데 탱템만 가도 미니나르 상태로 같은 코어뜬 원딜한테 3~5초만 맞아도 변신 못 하고 죽습니다. 그래서 Thresh(쓰레쉬)Blitzcrank(블리츠크랭크)이런 챔프보다 몸이 들어가서 어그로를 끌어주는 챔피언과 잘 맞습니다.

반대로 Gnar(나르)Nidalee(니달리)Viktor(빅토르)Jinx(징크스)Lulu(룰루) 이런식으로 CC가 메가나르 밖에 없고 앞라인도 나르 밖에 없고,
심지어 이니시도 없는 조합은 나르가 라인전에서 게임을 터트리고 상대 5명한테 다 맞으면서 전진해도 메가나르 변신해서 1:5로 밀어내는 그림이 아니라면 나르가 할 수 있는 게 없는 조합입니다.

이 경우는 양날도끼 생략하시고 2코어부터 방템만 올리셔서 메가나르 변신해서 스킬 1콤 넣고 피 1칸으로 살아가면 우리 팀이 딜로 찍어 눌러준다. 라는 마인드로 게임하셔야 합니다.
저는 조합이 저런식으로 나오고 라인전 마저 나르가 불리한 상성이면 닷지합니다.
상대가 의식할 게 메가나르 분노 밖에 없으니 게임 수준이 어느 정도 높으면 그 게임에서 메가나르 2인궁 이상 할 기회가 단 1번도 주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3. 상대 조합
 우선 라인전 단계부터. 
위에서 말씀 드렸듯이 나르는 라인전이 중요한 만큼 라인 개입이 좋은 챔프들인 Rek'Sai(렉사이)Lee Sin(리 신)Elise(엘리스)Jarvan IV(자르반 4세) 같은 챔프가 상대 편에 있으면 힘들고 특히 힘든 챔프는 Rek'Sai(렉사이)Fiddlesticks(피들스틱) 이 두 챔프인데 피들은 잘 안 나오니 혹시 정글 챔프를 밴하시는 분들은 렉사이 밴 하시기 바랍니다.
보통 근접 챔프는 갱이 강력해도 CC기를 피하고 상대 머리 밟고 살아 나가는 그림이 많은데 나르가 점프 뛰는 걸 보고 점멸 - 돌출쓰면서 끊고 미니나르 상태라면 렉사이 풀콤포에 원콤나서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심지어 갱 루트도 예측이 안 돼서 가장 까다로운 정글입니다.
Fiddlesticks(피들스틱)은 얘가 나르를 마킹하기 시작하면 나르는 한타에서 할 수 있는 게 아무 것도 없어요.



2. 한타 포지션
 솔직히 한타 포지션은 경험해보는 게 정답입니다.
그러나 개념을 이해하고 방법을 생각하면서 실전에 임하시면 훨씬 빠른 속도로 실력이 늘 겁니다.

LoL에서 한타 상황은 변수가 너무 많고 조합도 다양해서 말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깁니다.
그래서 대표적인 상황들을 예로 들어서 각 상황에서 어떤 마인드로 해야 하고, 핵심이 무엇인지 같은 거시적인 측면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3. 나르에 대한 잘못된 개념
★ 나르의 분노관리는 나르가 조절할 수 있다?
 네. 어느 정도는 가능합니다.
 나르가 주도권을 잡고 있거나 팀이 유리하다면 10개의 상황중에 8가지 이상의 상황에서 분노관리가 자유자제로 가능합니다. 

흔히 있는 상황들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라인전) 우리 팀 정글러가 상체 주도권이 있으니 전령을 치자고 하고 전령을 치러가는 상황
- (라인전) 적 정글이 갱킹 갈 곳이 탑 밖에 없고 나르도 어느 정도 눈치를 채고 있는 상황
- (라인전) 용 한타가 일어날 거 같아서 텔각을 봐야 하는 상황
- (운영) 바론, 적정글 시야싸움, 합류전 등에서 우리 팀이 나르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상황
- (운영) 나르가 사이드를 강하게 압박해야 이길 수 있는 스플릿 구도

 등의 상황에서는 주도권이 있고 우리 팀이 나르에 대한 이해도가 있다면 나르가 원하는 대로 분노관리가 가능합니다.
물론 이 경우는 나르에 대한 이해도보다도 게임을 보는 눈이 필요합니다.
라인전 하면서 정글러의 움직임을 보고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떤 곳 위주로 게임하겠구나 등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고
오브젝트 시간에 맞춰서 라인을 조율하고 관리하는 능력, 한타 구도를 보는 능력 등이 필요하겠죠.

위의 예시중에 하나로 설명해드리면
(운영) 나르가 사이드를 강하게 압박해야 이길 수 있는 스플릿 구도인 경우에 
다른 상황과 다르게 미니 나르여야 더 좋은 구도입니다. 메가나르에서 분노가 풀린 직후가 가장 좋아요.
 그래서 먼저 웨이브한테 맞으면서 분노를 30~40 채우고 선 푸쉬를 하면서 웨이브 하나로 바로 메가나르로 변신한 뒤,
메가나르 상태로 시야를 잡고 분노가 차지 않는 15초 중에 10초 정도는 적 정글을 빼 먹고 다시 분노가 차기 시작할 때쯤 라인을 밀면서 타워를 칠 때부터 분노가 차게 끔 만드는 식으로 하는 게 스플릿 구도에서 이상적인 분노 관리 방법입니다.
이렇게 타워를 압박하면 상대 입장에서 나르가 정글을 빼 먹고 라인에 보이기 시작할 때부터 나르 분노를 체크할 텐데 그 때 나르가 분노가 차고 있으면 본대 쪽에서도 쉽게 싸움을 못 열고
나르 입장에서도 텔을 탔을 때 분노가 반쯤 차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한타에서 영향력도 더 커지죠.



그렇다면 주도권을 잡아도, 팀이 유리해도, 나르가 인지하고 있어도, 
불가피하게 분노관리를 하는 게 좋지만 할 수 없는 상황을 몇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경우들은 왜 불가능한지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라인전) 첫 윗바위게 싸움





★ 나르는 앞라인 탱커 챔피언이다?
 이렇게 말하는 팀원이 같은 팀으로 잡혔다면 일단 핑과 채팅을 다 차단하고 시작하는 게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메가 나르는 앞라인 탱커 + 이니시에이터가 맞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미니나르 상태에서 분노를 채워놓고 시작하죠

메가나르는 진입했을 때 어느 탱커보다 딜링, 탱킹력이 높지만 강제 이니시를 거는 능력은 한참 부족합니다.
그래서 메가나르 상태로 한타를 시작하려 한다면 상대는 일단 빠져서 나르 변신이 풀리고 싸우려 하죠.




4. 나르 심화학습 (팁, 잡기술, 각종 숙련도)
 이 카테고리는 툴 팁에도 안 나와 있고 나르 숙련자가 아니면 알 수 없는 정보들을 적었습니다.
저는 누구한테 배운 적도 없고 다 혼자 알아낸 정보이지만 이 공략을 보시는 분들은 미리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 나르는 7레벨(Q4렙)부터 Q평에 마법사 미니언이 죽습니다.
  6레벨(Q3렙)에 Q평 하면 마법사 미니언 피 1 남아서 미니언한테 막타 뺏깁니다.

 메가나르는 9레벨(Q5렙)부터 마법사 미니언이 Q 한 방에 죽습니다.
  그러나 집을 가서 롱소드나 롱소드 상위템을 뽑아왔다면 7레벨(Q4렙)부터 한 방에 죽습니다.
  갱호응 이후 라인을 밀어야 하는 상황에서 cs를 깔끔하게 챙길 때 매우 유용하니 반드시 외우세요.

 나르 궁은 툴팁상 1.75초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해보면 생각보다 벽궁 시간이 짧습니다.
  벽궁 끝 거리에서 벽에 밀착시키면 약 0.5초 정도 시간이 날아갑니다.
  그 이유는 궁에 끌려오는 시간 + 벽에 박혀있는 시간 합쳐서 1.75초 이기 때문에
  상대 챔프가 궁 끝거리에서 벽 궁이 되고 Q평W 콤보를 쓰게 되면 점멸로 W스턴을 피합니다.
  그래서 끝거리 벽궁은 벽에 닿기 전에 벽 궁이 될 지 예측해서 벽궁 되는 자리에 미리 돌덩이를 던져야 평타를 섞을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부분은 영상으로 보는 게 더 쉽지만 이 꿀 팁을 설명하는 유튜버는 본 적이 없습니다..

 초반에 W를 찍지 않은 미니나르 상태에서 풀분노로 W를 찍으면 변신하면서 메가나르 W가 안 써집니다.
  버그 인지 원래 그런 건지 모르겠는데 저는 버그라고 생각해요. 왜 안 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미니나르는 원거리 챔피언으로 분류됩니다.
 1레벨에는 기본 사거리가 175이고 + 225로 사거리 400으로 시작해서
 레벨당 사거리가 6씩 증가해서 18레벨에는 500이 됩니다.

 메가나르는 근거리 챔피언으로 분류됩니다.
  메가나르의 기본 사거리는 175 고정입니다.

 미니나르의 능력치는 모든 챔피언 중 압도적 꼴등입니다.
  체력은 모든 원딜 챔프보다 낮으며 심지어 유미, 소나보다 낮습니다.
  18레벨 기준 2000이 안 되는 챔피언은 많지 않은데 그 중 하나가 나르입니다. 그 중에서도 나르는 꼴등입니다.
  심지어 체력 재생은 0이고 레벨이 올라도 오르지 않습니다. 성장 방어는 3, 성장 마저는 1 입니다.

 메가나르의 능력치는 모든 챔피언 중 압도적 1등입니다.
  체력은 18레벨 기준 템 없이 3000에 가깝기 때문에 클레드(스칼 포함) 다음으로 2등이고
  방어마저는 비교 불가능 압도적 1위 입니다. 체력 재생도 사기적으로 좋고, 공격력도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메가나르 분노가 풀릴 때 미니나르의 체력은 미니나르의 전체 체력 비율에 따라 정해집니다.
  메가나르 체력이 1000이었다고 미니나르도 1000이 되진 않고
  메가나르 체력이 50% 였다면 미니나르 기준 전체 체력에서 50%가 주어집니다.

 나르의 분노는 1레벨, 7레벨, 13레벨에서 오르는 양이 달라 집니다.
  오르는 양도 증가하는데 속도도 증가합니다.

 나르의 분노가 오르는 양은 평타로 때릴 때, 스킬로 때릴 때, 맞을 때 각각 다릅니다.
  평타 > 스킬 > 맞을 때 순서로 많이 오릅니다.

 나르의 분노는 초 당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맞을 때나 때릴 때나
  1초 안에 5방을 때리거나 맞았다고 5배로 오르지 않고 1초 때린 걸로 적용됩니다.
  그러나 때리면서 동시에 맞으면 때린 분노와 맞은 분노가 각각 초 당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분노가 더 빠르게 찹니다.

 어떤 레벨에서든 메가 나르가 풀리고 15초 동안은 분노가 차지 않습니다.
  쿨감, 레벨에 영향을 안 받고 15초 고정입니다.

 미니나르 2단 점프가 가능한 물체(?)
엘리스 새끼거미, 자르반 깃창, 자이라 식물, 말자하 공허충, 아이번 데이지, 요릭 구울, 자크 죽었을 때 젤리-스킬쓰면 나오는 젤리에는 안됨, 피들 패시브 와드, 딩거 포탑, 애니 티버
이 외에 니코분신, 샤코분신, 르블랑분신,애니비아 알 등의 쉔궁처럼 글로벌 궁이 들어오는 챔피언 판정 받는 것들은 당연히 됩니다.

 미니나르 2단 점프가 불가능한 물체
쓰레쉬 랜턴, 갱플 술통, 쉔 패시브 단검, 일라오이 촉수, 코그모 패시브

 나르 벽궁이 가능한 물체
아지르 벽, 애니비아 벽, 탈리야 벽, 트런들 기둥, 요릭 감옥

 나르 벽궁이 불가능한 물체
야스오 장막, 모데카이저 진실의 방 벽


 공략을 작성하면서 생각 난 심화 정보들은 이 정도인데
제가 무의식 중에 쓰고 있는 잡기술도 많다고 생각해요.
이 외에도 생각나면 간간히 와서 추가하겠습니다.

(+추가할 거)
메가나르 점프 스킬 모션 안 보이게 하는 법
점프 챔피언 머리 밟는 범위 팁



5. 챔피언 별 상대법
 이 카테고리에서는 "나르의 탑 라인전 단계"를 중점적으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나르로 탑에 올 가능성이 1%라도 있는 챔피언들은 모두 상대법을 알고 있습니다.
나르의 메커니즘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해보지 않은 챔프도 상대법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제가 탑에서 만나본 적이 있거나 대회에서 나온 적 있는 매치업은 다 적었습니다.

대회나 솔랭에서 자주 등장하거나 까다로운 챔피언들은 세세하게 짚어가면서 적었고
이게 탑에 올 수 있나?? 싶을 정도로 잘 안 나오는 챔피언들은 간단하게 메커니즘이나 핵심 개념만 적었습니다.

이 부분은 나르를 하시면서 상대법을 잘 모르는 챔피언을 만났을 때나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상대법이 있다면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너무 많아서 아마 다 정독하고 게임 들어가면 다 기억이 안 나실 거에요.
그때그때 찾아보시고 플레이하면서 이해하고 습득하는 게 더 효율적일 겁니다!




순서는 가나다 순인데 Ctrl + F 하시고 "[챔피언이름]" 으로 검색하셔서 찾는 게 편합니다!
난이도는 카운터 - 어려움 - 보통 - 유리함 정도로 분류했는데
얼마나 유리한 지는 옆에 비율로 적어 두겠습니다. ex) 어려움(3:7), 유리함(8:2)

룬, 시작 아이템, 템트리, 라인전 상대법까지 딱 라인전 단계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적었습니다.

변수가 많아서 상황에 맞게 판단하셔야 할 부분은 적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면, 하위 룬 선택 / 2티어 신발 선택 / 3코어 이후 아이템 선택 / 한타 포지션 / 합류 판단 / 우리 팀의 실력에 따른 변수 등이 있겠네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카테고리는 "탑 라인전 단계"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카테고리입니다.


참고로 "헬" 단계의 챔피언들은 상대법이 정말 극단적입니다..
동실력으로는 이길 방법이 아애 존재하지 않거든요. (정글 시팅을 노골적으로 받아도 힘듭니다.)
1픽 걸려서 나르 선픽을 했는데 "헬" 단계의 챔피언이 적에서 나오면
아래에서 하드 캐리 못해줄 것 같거나 조합이 내가 잘 버티고 한타가도 못 이길 조합이면 무조건 닷지하는 편입니다.
만약 후픽이라면 나르말고 다른 챔피언 합니다!


그럼 챔피언 상대법! 시작하겠습니다.
★ 상대법은 시간 날 때마다 꾸준히 추가해나갈 예정입니다! 


Garen(가렌)[가렌] - 유리함 (9:1)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상대 조합에 하드 탱커가 둘 이상이면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 그 외에는 Trinity Force(삼위일체)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2코어) - 이후 유동적으로

 보통 가렌이 2티어 신발을 빨리 올리는 편인데 나르를 솔킬 따려고 하면 Berserker's Greaves(광전사의 군화)올리고 공격적으로 할 것이고.
맞으면서 한타가려고 하면 Ninja Tabi(판금 장화)올릴 겁니다.

 하나만 지키시면 쉽습니다. 가렌이 1티어 신발사면 똑같이 사주시고, 2티어 신발사면 맞춰서 사주시면 됩니다.
이속만 맞춰주시면 나르는 맞을 일이 없어요.
어차피 가렌이 뒤 없이 목숨걸고 게임하는 거 아니면 갱이든 솔킬이든 잡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맞을 일은 없으니 체력붙은 Doran's Blade(도란의 검)보다 2코어를 최대한 빨리 뽑을 수 있도록 Cull(수확의 낫)사는 겁니다.

 가렌은 어차피 1레벨부터 게임 끝날 때까지 나르에게 주도권이 있습니다.
푸쉬 주도권, 솔킬 주도권, 갱호응 주도권, 합류 주도권, 이니시 주도권, 텔 주도권 등 모든 게 나르가 유리합니다.
굳이 급하게 하지 않아도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가 뜨면 눈 마주치면 솔로킬입니다.
Ignite(점화)Flash(점멸)들고 와서 원콤 각보는 가렌이 많은데 원콤 안 당하게 거리조절 조심하시면서
천천히 1코어 뽑고 솔킬 딴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차피 가렌이 마음먹고 수비적으로 파밍만 하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전에 킬각은 절대 못 잡습니다.
가렌이 공격적으로 해주면 킬각 잡을 수 있긴 한데 
라인 밀어 넣고 타워 채굴 or 정글 백업하면 가렌이 오히려 급해져서 공격적으로 할 겁니다.
그때 기회 잡으시면 됩니다.


Gangplank(갱플랭크)[갱플랭크] - 불리함 (4:6 ~ 2:8)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 이후 유동적으로

 다른 원거리에 비해 화약통 부수기 싸움에서 사거리가 400인 나르가 극도로 불리하기 때문에
잘하는 갱플랭크는 정말 힘듭니다. 동실력이면 갱 없이는 주도권 없습니다.
갱플 상대로는 착취가 있어도 견제 대결에서 집니다.
 그래서 미니나르 상태에서는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다 있을 때만 딜교환 해주는 게 좋습니다.
딜교환 할 때에도 미니나르로는 평q평으로 짧게 교환하고 빼주시고 메가나르 때 풀콤 딜교환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가 있을 때는 반드시 딜교환을 해서 쿨타임을 돌려주세요.
메가나르는 룬에 있는 패시브를 빼는 거고 갱플은 마나와 체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유리한 소모전입니다.

 이렇게 갱플의 체력과 마나가 반 이하로 떨어졌을 때부터 라인을 계속 푸쉬해서 집을 못 가게 하면서 정글과 같이 다이브 각을 봐주시면 됩니다.
라인을 밀어 넣는 순간부터 화약통 싸움을 이기기도 편해지고 멀리서 부메랑 견제하기에도 용이해집니다.
(갱플은 라인도 먹고 나르도 맞춰야 하기 때문에 나르가 더 유리해집니다.)

그리고 갱플랭크와는 Powder Keg(화약통)(E 화약통) 싸움을 반드시 해야 하는데 이건 연습 말고 없습니다..
소리를 듣고 하시거나 화약통 쿨타임 돌아가는 걸 보고 예측해서 부숴야합니다.
화약통을 싸움을 이기지 않으면 모든 스킬을 다 쓰고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쿨 때만 딜교환해도 주도권 못 잡습니다.

화약통 싸움을 피하면서 갱플을 이기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아서 반드시 연습하셔야 해요.
화약통 싸움을 계속 피하면 결국 무난하게 갱플이 주도권 잡고 13렙도 무난하게 찍고 코어템도 무난하게 나옵니다.
13렙까지 반반 성장하면 그 때는 메가 나르여도 져서 그 전에 주도권 잡고 성장 차이를 벌려야 합니다.
근데 상성상 13렙 전에 주도권 잡는 것도 힘들어서 프로씬에서는 나르 카운터로 갱플랭크 많이 뽑습니다.
화약통 싸움 자체가 갱플이 유리한 싸움인데 그 화약통 싸움을 갱플이 한 번도 안 지면 나르가 아무리 잘해도 절대 이길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솔랭에서 갱플 만나면 웬만하면 반반 이상 갑니다.
스킬을 다 맞추고 화약통 싸움을 이기면 솔 킬도 노려볼 만 하더라구요.
많이 만나보면 화약통 싸움 이기는 법이 눈에 보일 겁니다!


Gragas(그라가스)[그라가스] - 보통(5.5 : 4.5)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그라가스가 탱가면(신성한 파괴자) - 이후 유동적으로
                               딜가면Trinity Force(삼위일체)

 2코어는 그라가스와 1:1만 본다면 Wit's End(마법사의 최후)가 가장 좋고 한타나 교전을 본다면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이나 방마저템이 좋습니다.
상대 조합의 AP비율이 높으면 Wit's End(마법사의 최후) 가셔도 되고 나머지 상황에서는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먼저 가시면 됩니다.
만약에 2코어로 Wit's End(마법사의 최후)를 올렸다면 그라가스랑 눈 마주치면 솔킬 가능합니다.
 그라가스가 Barrel Roll(술통 굴리기)(그라가스 Q) 마나 너프 전에도 라인전은 유리했는데 Barrel Roll(술통 굴리기) 1레벨 마나 80이 된 이후로 매우 유리해졌습니다.

 그라가스 vs 나르는 시간은 나르 편입니다. 정비할 때마다 더 유리해진다고 생각하시고 천천히 하세요.
첫 집 전에는 최대한 딜교 피하면서 파밍 위주로 해주시고 배치기만 안 맞게 미니언끼고 조심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가 뜨고 난 뒤부터 나르 W3타 이속 활용해서 스킬 피하기 싸움 걸어주시면 나르가 유리한 싸움 계속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라인에 오래 서서 메가나르 쿨 돌려주면 자연스럽게 주도권 잡을 수 있습니다.

심화 과정을 더 알려드리면
 그라가스는 나르 상대로 무조건 Barrel Roll(술통 굴리기)(Q) 선마입니다. Barrel Roll(술통 굴리기)의 쿨타임을 어느정도 숙지해두시고
미니언과 나르가 동시에 Barrel Roll(술통 굴리기) 견제를 맞는 일만 안 일어나게 해주시면 됩니다.
그라가스가 미니언만 맞추면 라인이 프리징 당해서 cs를 못 먹고, 나르만 맞추면 푸쉬주도권이 없어서 결국 주도권은 나르가 가지고 안전하게 집을 갔다오기 때문에 킬각도 못 잡고 템이 계속 나오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템이 뜨면 뜰 수록 그라가스 입장에선 답이 없기 때문에
잘하는 그라가스는 무조건 미니언과 나르를 동시에 맞추려고 Barrel Roll(술통 굴리기)를 날립니다.

 이 개념을 이용해서!
그라가스가 Barrel Roll(술통 굴리기)를 쓰면 쿨타임을 생각하면서 미니언끼고 견제해주시고 Barrel Roll(술통 굴리기)쿨이 돌 때쯤에
미니언 옆에 붙을까 말까~ 심리전을 하면서 Barrel Roll(술통 굴리기)를 쓰기 전부터 예측을 해서 피하시면 훨씬 수월하게 피하실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딱 2~3번 연속으로 피하시면 그 라인전은 집을 가기 전까지 나르가 쭉 유리해지고 이렇게 집을 2번 갔다오면 그라가스에게 1:1로 희망은 없습니다.

그래도 그라가스는 갱호응이 사기적이고 무리하게 타워치다 죽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항상 Flash(점멸)Body Slam(몸통 박치기)(점멸-E) - Explosive Cask(술통 폭발)(R)로 연계하는 강력한 필살기를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평지에서 1:1로 저 콤보로는 그라가스로 나르 절대 못 잡습니다.
갱호응이나 타워데미지를 조심하라는 말 입니다!


Gwen(그웬)[그웬] - 보통 (5.5 : 4.5)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유동적입니다. Trinity Force(삼위일체)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2코어 순서인데
        적 정글이 Elise(엘리스) 같은 다이브가 강한 AP라면 Hexdrinker(주문포식자) 이후에 Trinity Force(삼위일체) 가셔도 됩니다.
        상대팀에 CC가 많으면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를 먼저 올리셔도 됩니다. 무난하게 성장했다면 Trinity Force(삼위일체)-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이 가장 좋습니다.

 그웬과는 결국 거리재기 싸움이고 Snip Snip!(싹둑싹둑!)(그웬 Q) 가운데 부분을 안 맞는 게 관건이라 2티어 신발을 고민없이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를 올려도 된다면 빨리 올리는 게 좋습니다. 
그웬은 나르가 유리한 딜교환 할 기회가 굉장히 많은데 그렇다고 무리하게 킬을 내려고 하시면 절대 안 됩니다.

어차피 마저템이 뜨면 사이드는 무조건 나르가 주도권 잡고, 5:5 한타도 나르가 더 좋습니다.
서로 공격적으로 하면 그웬쪽 정글이 웃는 상황이 더 많이 나옵니다.
나르 vs 그웬 매치업에서 나르팀 정글이 그웬한테 갱가기 쉽지 않거든요..

최근에 그웬의 딜너프가 있기 전까진 서로 할만했는데 딜 너프 후에 나르가 확실히 6:4 정도로 꽤 유리합니다.
항상 라인 푸쉬 먼저 하고 멀리서 부메랑 견제 먼저!
상대가 Snip Snip!(싹둑싹둑!)(그웬 Q)Skip 'n Slash(돌격가위)(그웬 E) 콤보로 딜교환하러 들어오면 옆무빙으로 Q가운데 부분 고정데미지 피하면서
부메랑 슬로우 묻히고 따라가면서 3타 딜교환하면 야금야금 그웬 체력을 갉아먹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딜교환해서 주도권 잡아두고 정비, 시야, 타워링 등 상대가 급하게 야금야금 이득보시면 됩니다.
어차피 시간은 나르편이니까요.


Nasus(나서스)[나서스] - 유리함 (7:3)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or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or Doran's Blade(도란의 검) or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Boots of Speed(장화) -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 - (신성한 파괴자)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 유동적으로

 나서스 상대로 룬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한 대도 안 맞고 때리는 구도만 나오고 맞기 시작하면 나르가 무슨 짓을 해도 못 이기거든요.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뭘 들던 압박하는 타이밍, 지는 타이밍 다 똑같습니다.
저는 우리 정글이 다이브가 강력하면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들고 라인전 쌔게 해서 다이브각 계속 만들고 정글러 킬 주는 편입니다. 
우리 정글이 탑 다이브를 못 오는 챔프나 조합이면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들고 똑같이 라인전 쌔게 하지만 한타를 조금 더 신경 써줍니다.

보통 나서스를 상대할 때 후반에 왕귀할 까봐 급하게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전혀 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템이 뜨면 뜰 수록 나르가 더 유리해집니다.
나서스가 스택을 쌓아도 다른 챔프는 상관있을 지 몰라도 나르는 크게 상관없어요.

시작 아이템이 다양하죠?
나서스는 상대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상대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나서스가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들고오면 Cull(수확의 낫)
          UnsealedSpellbook(봉인 풀린 주문서) 들고오면 Doran's Blade(도란의 검)
          SummonAery(콩콩이 소환) 들고오면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사시면 됩니다.

근데 10판 중 8~9판은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들고와서 버티면서 6렙 이후에 한방 킬각 노리려고 할 거라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위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나서스가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을 들었다는 것은 가드 세우고 버티면서 6렙 이후에 각을 보겠다는 겁니다.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를 들고 오면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없이는 나르의 딜로 절대 못 잡습니다.
첫 집 전에도 주도권은 나르에게 있지만 결국 반반 파밍이에요.
나르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선택지는 CS 디나이 조금 시키면서 먼저 밀어넣고 집 갔다 올 수 있다는 점.

 결국 나서스하고 라인전은 나서스 1코어 전까지 얼마나 잘 압박해서 타워링, 디나이, 정글 키우기 등의 스노우 볼을 얼마나 잘 굴리냐 싸움이에요.
나서스하고 라인전은 딱히 상대법? 이랄 게 없고 그냥 나르의 라인전 압박, 스노우볼 굴리는 실력에 달렸어요.
상대가 cs칠 때마다 부메랑 던져서 슬로우 걸고 따라가면서 3타 터트리고
라인 당길 때 디나이하고, 푸쉬할 때는 슬로우 푸쉬해서 빅웨이브 밀어 넣고 시야이득 or 집타이밍 or 타워링 등으로 스노우볼 굴리고 이런 라인전 실력이 갖춰지면 나서스 입장에서 숨도 못 쉽니다.

 보통 제 기준으로 14분 전에 타워 2~3칸 내외, cs 1.5배 차이, 집 타이밍 때마다 이득, 위쪽 정글 시야 다 먹기, 전령 주도권 이 정도는 나서스 상대할 때 14분까지는 항상 가져갔던 것 같네요.
그리고 우리 정글이 Rek'Sai(렉사이)Elise(엘리스)Lee Sin(리 신)Kindred(킨드레드) 이렇게 다이브가 강력하다면 웬만해선 나서스랑 2렙차 납니다.
저보다 나르를 잘 하시는 분은 더 이득보고 시작하겠죠?

 나서스 1코어 전에 솔킬을 많이 내서 나서스 1코어일 때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신성한 파괴자)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이렇게 4개 템이 나오면 그 때부터는 게임 끝날 때까지 눈 마주치면 솔킬입니다.
그러나 보통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신성한 파괴자) + Kindlegem(점화석) 정도까지 밖에 안 나와요.
이렇게 압박하고 차이가 많이 나도 1코어뜨거나 11렙 되면 풀피 싸움에서 선빵 + 분노완벽 이여도 나르가 집니다.
그래도 나르가 먼저 싸워주지 않는 이상 나서스가 나르를 잡을 순 없어요.
그래서 나서스 1코어가 뜨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뜰 때까지 라인만 먼저 미시고 절대 무리하게 견제각 잡으시면 안 됩니다.
그리고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가 떠도 1:1보다는 정글 불러서 잡으시면 살살 녹습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한타 유도를 하세요. 나서스는 한타가 정말 안 좋은 챔프라 점사 당하면 아무 것도 못하고 죽습니다.


Nocturne(녹턴)[녹턴] - 불리함 (4:6 ~ 3:7)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Phage(탐식의 망치) - (신성한 파괴자) - 이후 유동적으로
 Phage(탐식의 망치)를 넣은 이유는 신파자 하위템을 갖출 때 무조건 탐식의 망치부터 갖춰서 유지력에 신경 써주셔야 합니다.

대회에서 녹턴이 처음 탑에 나왔을 때 나르 카운터로 나왔는데 상대법만 알면 다른 카운터 챔프만큼 어렵진 않습니다.




Neeko(니코)[니코] - 카운터 (0:10)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니코는 1년 전쯤? 몰왕검 니코 유행할 때 자주 만나봤는데 베인, 루시안, 트타 같은 일반적인 원딜 챔프보다 더 힘 듦
닷지 추천합니다. 상대법은 없습니다. 무슨 수를 써도 못 이겨요.
 12시즌에 Nashor's Tooth(내셔의 이빨)가는 니코도 1번 만나봤는데 절대 못 이깁니다.
니코 W 때문에 미니 나르는 니코를 1대도 때릴 수가 없어요.
근데 6렙 이후에는 니코 궁 때문에 메가나르로 진입도 불가능 합니다. 그리고 템이 뜨면 뜰 수록 더 못 이깁니다.
사거리 차이에 이속 차이까지 나서 2렙부터 무한 디나이 당하기 때문에 우리 정글이 와도 못 풀어줍니다.
닷지하는 게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Darius(다리우스)[다리우스] - 보통 (4.5 : 5.5)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 유동적으로

 다리우스는 마스터 이상 극천상계가 아닌 이상 정말 자주 나오는 챔프이고 다들 상대하기 까다로워 하는 챔프라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얘 상대로 힘들어 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기려고 하니까 힘든 겁니다.
애초에 나르로 다리우스를 솔킬 내거나 타워링을 하거나 주도권을 잡고 스노우 볼을 굴리는 게 불가능해요. 그리고 그렇게 되면 하드카운터 입니다.
애초에 한타가 나르 쪽이 압도적으로 좋고 후반을 가면 갈수록 나르는 벨류가 높고 다리우스는 벨류가 낮거든요.

 라인전에서 다리우스와 나르는 반반만 가도 나르가 더 잘하고 있는 겁니다.
마인드를 반반가면서 한타보겠다 + 다리우스가 실수하면 주도권 정도는 뺏어와야지 라는 생각으로 하셔야 합니다.


 다리우스와 나르는 서로 못 잡는 상성입니다. 이기려고 하는 쪽에서 손해를 보게 되는 구도에요.
다리우스가 나르를 잡으려면 앞무빙 쳐서 끌거나 Q를 맞춰야 하는데 그러면 보통 나르가 거리 조절하면서 피하고 부메랑 각만 주죠. 다리우스는 라인을 밀면서 딜교환을 손해 보는 그림이라 프리징 당하기 딱 좋죠. 타워 앞 프리징 당하면 그냥 나르랑 반반가게 되니 다리우스는 굉장히 기분이 나쁩니다.

나르 입장에서도 그냥 멀리서 부메랑만 쏘면 유리한 구도긴 하지만 킬각을 잡으려면 다리우스 E거리를 미세하게 재면서 평타까지 쳐야 해요. 그러면 끌릴 각을 줄 수 있고 끌리면 더 불리해집니다.

 근데 푸쉬 주도권은 다리우스한테 있고, 킬각 주도권도 다리우스한테 있습니다.
그래서 다리우스 입장에서는 라인을 먼저 밀고 시야 이득이나 정글 백업으로 스노우 볼을 굴리거나
부쉬 시야 플레이로 깜짝 킬각을 잡는 등 이득보려는 시도를 계속 할 거에요. 그냥 흘러가는 거 자체가 다리우스가 라인전을 진 거니까요.
근데 나르 입장에서 대부분 뻔하기 때문에 쉽게 흘릴 수 있어요.

 대처법은 간단합니다.
cs 위주로, 성장 위주로 하시고 부메랑은 웬만하면 다리우스한테 맞추시고
항상 킬 각이나 딜 교환보다는 라인을 먼저 밀어서 라인 주도권을 먼저 가져오려고 하세요.
그러면 부메랑 각이 좁혀져서 부메랑을 더 잘 맞출 수 있고 자연스럽게 딜교환 우위에 서게 됩니다.

다리우스가 주도권을 잃으면 텔을 안 드는 다리우스는 집을 갔다 올 때마다 솔킬 따이고 텔타는 것 만큼 손해를 봅니다.
하지만 다리우스는 Q한번에 라인 클리어가 돼서 보통 다리우스가 먼저 밀 수 있어요.
그래서 나르가 선 푸쉬하려면 라인이 만나기 전부터 라인을 쳐야 합니다.
그러려면 반반 라인 일 때 부메랑을 잘 맞춰서 피를 빼놔야 하죠. 근데 다리우스는 피가 빠질 때쯤 먼저 밀고 집을 갔다오면 됩니다.. 재미없는 라인전이죠.
사실 다리우스한테 몇 번 끌려도 점프를 1단이 아닌 머리 밟고 2단으로 쓸 수 있으면 크게 상관없어요.
그리고 신발 티어만 맞춰주면 애초에 끌릴 수도 없긴 합니다.
다리우스가 2티어 신발 사면 똑같이 2티어 신발 사오시면 됩니다.

 그렇게 어쩔 수 없이 반반 가면서 전령 때 분노관리 해주면 전령 싸움도 나르가 더 좋고, 후반가면 탑 벨류 차이가 어마어마하게 나죠.
하지만 라인전 자체가 재미없는 매치업 입니다.. 대충 15분? 까지는 서로 아무 것도 못 하고 라인만 먹는 경우가 많아요.
한 쪽이 라인전을 이기려고 하면 오히려 지게 되는 이상한 매치업 이니까요. 한마디로 다리우스 vs 나르 구도는 게임 승패에 탑은 크게 관여하지 못해요.
아래가 이기면 이기고 지면 지는 겁니다. 서로 아래에 영향을 주려고 하거나 탑을 이기려 하면 오히려 주도권을 잃게 되니 그냥 흘러가는 대로 둘 수 밖에 없죠.

 그래서 다리우스 상대법을 완벽하게 숙지하시고 나면 팀 조합이 좋은지. 미드, 바텀 라인전 구도가 유리한 지를 보고 플레이 방식을 정하세요.
아래가 터지고 있으면 어차피 탑은 무기력하게 서렌쳐야 하니 솔킬 따이더라도 공격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공격적으로 해서 죽는 건 나르 탓이 아니에요. 나르는 시간 지나면 충분히 유리하게 갈 수 있는데 아래가 터져서 각을 일부러 주면서 공격적으로 하고 있는 거니까요.

 근데 이걸 알고 솔킬을 주면 그 판은 질지 몰라도 티어는 안 떨어져요. 탑 실력 차이로 지는 게 아니니까요.
하지만 상대법을 모르고 그냥 솔킬 당하면 다리우스 만날 때마다 집니다.
킬이 날 수 없는 구도에서 구도가 무너지면 한 쪽이 스노우 볼을 막을 수가 없어요.


Diana(다이애나)[다이애나] - 쉬움(7:3)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Hexdrinker(주문포식자) - (신성한 파괴자) - 유동적으로

 다이아 상위 구간에서 몇 번 만나본 적이 있어서 간단하게 적겠습니다.
얘 상대로 룬은 뭘 찍든 취향입니다. 결국 원콤각만 조심하면 매우 쉬워요.
그런데 Hexdrinker(주문포식자)만 뜨면 원콤은 절대 안 나서 첫 템으로 올려주시고
원콤 안 나고 메가나르 변신하면 바로 솔킬 입니다.

 다이애나는 6레벨 전에 강하게 압박해서 cs차이 많이 벌려 놓으면 6렙 이후에도 나르가 계속 이깁니다.
견제하다가 다이애나가 대쉬기로 들어오면 점프로 다이애나 머리 밟고 빼면서 슬로우 걸린 다이애나 패시면 됩니다.
그렇게 분노 채우면 메가나르 동안에는 경험치도 못 먹게 디나이가 가능해요.

사실 1코어까지 반반가면 나르가 지는데 반반이 불가능한 매치업이라 엄~청 쉽습니다.


Draven(드레이븐)[드레이븐] - 카운터 (1:9)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Bramble Vest(덤불 조끼) - Kindlegem(점화석)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드레이븐 상대로는 조금만 실수해도 솔로킬 당합니다.
만약에 솔로킬을 당하셨다면 Q 파밍만 해도 죽으니 경험치를 버리더라도 첫 데스를 안 하는 걸 목표로 하시고
정글이 오는 게 아닌 이상 딜교 자체를 하지 말고 타워 안에서 CS 먹을 때도 마법사 미니언 먹을 때 조심하셔서 먹으셔야 합니다. CS먹다가 피가 70% 이하로 내려갈 것 같으면 그냥 CS를 포기하고 경험치만 먹으세요.

만약에 나르 분노가 80 이상인데 드레이븐이 타워 안에서도 견제하려 한다면 점프 말고 플래쉬 + 궁 + W연계로 타워 안에서 킬 각 잡으셔도 됩니다. 미니언이 지워지는 타이밍이나 드레이븐이 나르를 때리는 순간을 노리세요.
점프를 쓰면 드레이븐 E에 끊기고 손해만 보니 반드시 점멸로 킬각 잡으셔야 합니다.

드레이븐이 갱 당하든 솔킬이든 1데스 하거나 플래쉬가 빠지면 무조건 정글 불러서 탑 터트리세요.
15분 만에 게임 끝낼 수 있습니다. 드레이븐이 1:1로 이길 수 있는 챔프가 없어지면 드레이븐은 0.1인분도 불가능해 집니다.


Ryze(라이즈)[라이즈] - 불리함 (4:6)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신성한 파괴자) - Wit's End(마법사의 최후) - 유동적으로

라이즈는 스킬 + 평타 사거리가 둘다 550이라 동실력이면 매우 힘듭니다.
그러나 상대 법을 알면 충분히 할만합니다.

제가 AP상대로 하는 공통적인 말이 있습니다. 미니나르 때는 수동적으로 딜교환하면서 메가나르 때 쇼부봐라.
메가나르를 이길 수 있는 탑AP 챔피언은 현재 협곡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AD챔프 중에는 이길 수 있는 챔프가 몇 개 있는데 AP챔피언은 없어요.

라이즈는 벽궁만 되면 풀피여도 솔킬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걸 라이즈도 알기 때문에 이상하게 각을 주는 것 같으면 뒤에 적 정글이 있는 겁니다. 적 정글 위치가 확실하지 않으면 들어가시면 안 됩니다.

어차피 메가나르 때 킬각 잡을 것 처럼 하면서 푸쉬주도권 잡으면 미니나르 때 딜교환 안 당하고
다시 다음 메가나르 볼 수 있습니다. 급하게 안 하셔도 되긴 한데






Rammus(람머스)[람머스] - 유리함 (9:1)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신성한 파괴자)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 유동적으로

람머스 상대로는 나르가 잘 컸을 확률이 매우! 매우! 높아요. 저는 탑 2레벨 차이 이상 못 내본 적이 없습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상대법 대로 하시면 솔로킬을 못 따더라도 cs가 최소 50개 이상 차이 날 거에요.
적당히 잘 컷다면 3코어로는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가시고, 적 원딜이 너무 잘 커서 감당이 안될 정도면 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가시면 됩니다.



Rumble(럼블)[럼블] - 불리함 ~ 보통 (3:7 ~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Hexdrinker(주문포식자)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럼블하고 라인전은 첫템 무조건 Hexdrinker(주문포식자) 고정입니다.
Hexdrinker(주문포식자)까지 최대한 수비적으로 반반 파밍만 하면 됩니다.
럼블은 미니 나르가 메가나르로 변신 못하고 원콤에 죽는 단계에서는 3:7 정도로 많이 불리하지만
메가나르로 변신 전에 죽지 않을 방템만 갖춰지면 나르가 7:3 정도로 유리해집니다.

근데 나르 vs 럼블 일대일 구도에서 럼블이 나르를 솔킬 내기는 쉽지 않아요.
그래서 대부분 럼블은 주도권 활용해서 밀고 로밍갈 겁니다.
그 시간을 팀이 흘려서 Hexdrinker(주문포식자)뜨기 전에 럼블한테 킬이 안 들어가면 유리하고 아니면 계속 불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럼블이 사라지면 미드한테 빽핑을 계속 찍으세요. 만약 Hexdrinker(주문포식자) 전에 럼블이 킬 먹으면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떠야 이깁니다.
그 때도 킬 먹고오면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Force of Nature(대자연의 힘)까지 띄워야 할 수도 있어요.
근데 보통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Trinity Force(삼위일체)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 정도 뜨고 렙 차가 안 난다면 1코어 타이밍부터 나르 vs 럼블 1:1 구도는 어디서 만나든 먼저 맞고 싸우든 나르가 다 이깁니다.


Renekton(레넥톤)[레넥톤] - 유리함 (6:4)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 유동적으로



Rengar(렝가)[렝가] - 카운터 (0:10 ~ 1:9)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Doran's Blade(도란의 검) - Ninja Tabi(판금 장화) -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 - (신성한 파괴자) - 유동적으로
일단 도란검, 방패 둘다 갖추시는 걸 추천합니다. 2도란 + Ninja Tabi(판금 장화)까지 버티셨으면 미니나르 상태로 원콤은 안 납니다.
이 때부터는 정글이 시팅해주면 킬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렝가는 갱킹을 매우 잘 당하는 챔피언이고 딱 2번만 죽이면 상성이 역으로 바뀝니다.

절대 1~2레벨 구간에 렝가에게 점프 거리를 주시면 안 됩니다. cs 다 버리더라도 경험치만 먹고 계세요.
1~2레벨에 딜교환 당하면 경험치를 버리지 않으면 첫 집 가기 전에 솔로킬 안 당하기 힘들어요.



Lucian(루시안)[루시안] - 카운터 (2:8 ~ 1:9)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Doran's Blade(도란의 검)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웬만하면 방템)

일단! 루시안이 나르를 압박할 줄 아는 것 같다면 2도란 가세요.
적 정글이 다이브가 강력하다면 2도란 없이는 다이브 각이 너무 잘 나옵니다.

루시안 상대는 상대법이랄 게 딱히 없습니다.
무조건 피해야 하는 스킬이나 맞춰야 하는 스킬이 없고 최대한 다 피하고 다 맞춰야 합니다.

엄청 힘들긴 한데 나르가 실수 안 하면 죽진 않습니다.
왜냐? 제이스, 퀸, 이렐리아, 트린다미어 등의 하드 카운터와는 다르게 루시안은 흔한 CC기인 둔화조차 없습니다.
나르가 자신이 죽을 각을 정확하게 본다면 죽진 않아요.

단, 주의할 점이 몇 가지 있는데
1. 첫 집 가기전에는 수비적으로 당겨서 파밍하시고 최소 판금장화가 뜨고 나서 딜교환 하세요.
그리고 미니나르 상태로는 BonePlating(뼈 방패)와 TasteOfBlood(피의 맛)의 쿨타임을 보시고 BonePlating(뼈 방패)TasteOfBlood(피의 맛)둘 다 있을 때만 딜교환 하세요.
솔직히 상성이 너무 불리하기도 하고 티어가 높은 루시안은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BonePlating(뼈 방패)TasteOfBlood(피의 맛)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이거 4개 활성화되어 있는지 아닌지
항상 체크하면서 라인전 하기 때문에 둘 다 있을 때만 딜 교환하는 것은 불가능 하긴 한데
만약 둘 다 있을 때만 딜교환 한다면 나르가 주도권 잡습니다.

나르가 주도권을 잡는 다는 것은 미니나르 때 푸쉬 하면서 일방적인 견제와 cs손실 시키고
메가나르 때 원하는 딜교환과 킬각을 잡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잘하는 루시안은 죽진 않겠지만 나르랑 반반 가는 것 만해도 나르가 압도적으로 잘하는 겁니다.

2. 보통의 다른 챔피언들을 상대할 때는 미니나르 분노 70이상 이면 딜교해도 된다고 합니다.
근데 루시안은 딜교환 시작을 메가나르 풀분노 상태로 시작하셔야 합니다.
미니나르로 들어가면 루시안이 풀콤 넣고 E로 빠져버립니다. 딜 교환 손해 봐요.
그러나 메가나르 때 싸우시면 10이면 9번은 이깁니다.

3. 루시안은 신발을 가지 않고 돌풍을 바로 갑니다.
나르가 Doran's Blade(도란의 검)Doran's Shield(도란의 방패)Ninja Tabi(판금 장화)Hearthbound Axe(온기가 필요한 자의 도끼) 정도가 갖춰지면 루시안은 돌풍이 나올 겁니다.
루시안이 돌풍이 떴다면 Trinity Force(삼위일체) + Warden's Mail(파수꾼의 갑옷)가 뜨기 전까지 메가나르 여도 못 이긴다는 것을 항상 염두 해두세요.
물론 메가나르로 스킬 다 맞추면 이기긴 한데 돌풍 + 루시안E + 점멸 중에 2개만 있어도 메가나르 스킬 반 이상 피합니다. 리스크가 너무 높으니 그냥 사리는 게 좋아요.


Lulu(룰루)[룰루] - 보통 (5.5 : 4.5)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룰루는 극 초반 첫 집 가기전까지만 힘듭니다.
그 이후에는 나르한테 한끼 식사입니다. 메가나르 쿨 마다 킬각 잡을 수 있어요.

첫 집 전에는 딜교환 웬만하면 피해주시고 어쩔 수 없이 딜교환 해야 할 때는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SecondWind(재생의 바람) 있을 때만 해서 최대한 돈 많이 모아서 첫 정비하세요.
첫 정비에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Hearthbound Axe(온기가 필요한 자의 도끼) 이 정도만 떠도 메가 나르로 풀피 룰루 원콤낼 수 있습니다.
첫 정비 이후에는 미니 나르로는 라인 먼저 밀어서 주도권 유지해주시고
분노 60 이상부터 프리징 + 킬각 잡을 준비해서 메가나르 때마다 적 정글 체크하고 앞 점프해서 킬 따주시면 됩니다.


Riven(리븐)[리븐] - 보통 ~ 유리함 (5.5 : 4.5)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or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 유동적으로

 리븐 상대로는 거리재기 싸움인데 나르가 우위에 있어서 동실력이면 6:4 정도로 유리합니다.
거리재기 싸움은 말로 설명하기 힘들어서 영상으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한가지만 명심하세요. 대쉬기 1번으로 붙을 거리만 안 주시면 손해 보는 일은 없습니다.
쿨은 짧지만 한방 데미지는 조금 더 약한 레넥톤 상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Lissandra(리산드라)[리산드라] - 쉬움 (7:3)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리산드라는 극 초반 첫 집 가기전까지만 조심하시면 됩니다.
그 이후에는 나르한테 한끼 식사입니다. 메가나르 쿨 마다 킬각 잡을 수 있어요.

첫 집 전에는 딜교환 웬만하면 피해주시고 어쩔 수 없이 딜교환 해야 할 때는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SecondWind(재생의 바람) 있을 때만 해서 최대한 돈 많이 모아서 첫 정비하세요.
첫 정비에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Hearthbound Axe(온기가 필요한 자의 도끼) 이 정도만 떠도 메가 나르로 풀피 룰루 원콤낼 수 있습니다.
첫 정비 이후에는 미니 나르로는 라인 먼저 밀어서 주도권 유지해주시고
분노 60 이상부터 프리징 + 킬각 잡을 준비해서 메가나르 때마다 적 정글 체크하고 앞 점프해서 킬 따주시면 됩니다.

가장 중요 시 해야할 건 갱호응!
근데 첫 집 이후에는 리산드라가 주도권이 아애 없어서 메가나르 쿨마다 체력이 반피 이하로 깎여 나갈 거에요.
적 정글 입장에서 탑 오는 건 도박에 가깝습니다


Lee Sin(리 신)[리 신] - 보통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리신은 음파만 안 맞으면 질 일은 없습니다. 템이 뜨면 뜰 수록 나르가 더 유리해집니다.
Hearthbound Axe(온기가 필요한 자의 도끼)전에는 나르로 리신의 유지력을 절대 뚫을 수 없기에 초반 라인전은 음파를 안 맞는데에 초점을 두고 파밍 위주로 해주세요.





Lillia(릴리아)[릴리아] - 보통?

얜 천상계에선 1번도 못 만나봤어요.
만나보게 된다면 추가하겠습니다.


Master Yi(마스터 이)[마스터 이] - 카운터 (1:9)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Bramble Vest(덤불 조끼) - Kindlegem(점화석) - 유동적으로

 거의 본 적 없긴 한데 가끔 다이아 구간에서 라인 마이하는 장인들이 몇명 있더라구요.
 마스터 이는 트린다미어에서 CC가 없어지고 딜이 더 쌔진 챔프라고 보시면 됩니다.
첫 집가기 전에 풀피 메가나르 상태여도 1:1 타워다이브 당할 수 있습니다.
절대 스턴을 미니언 먹는데 사용하시면 안 됩니다. 빠지는 거 보자마자 미니언 없이도 1:1 생다이브 들어옵니다.

 미니 나르 상태로는 마이 q거리 절대 주시면 안 됩니다. Q거리만 안주면 죽진 않습니다. Q로 들어오면 e로 빠지고
점멸로 따라오면 같이 점멸 쓰면 되니까요. 서로 점멸이 빠지면 갱 압박을 받는 쪽은 마스터 이 쪽이라
Q거리만 안주면 딜교환은 안 하려고 할 겁니다.

 거리에 상관없이 파밍이 가능한 경우가 딱 2가지 있습니다.
1. 미니나르 분노 95 이상 (마이가 다가오는 걸 보고 미니언쳐서 바로 변신이 가능한 정도)
2. 메가나르 상태로 R W 점멸이 다 있는 경우.
2가지를 제외하면 거리주면 풀피 메가나르여도 타워안에서 원콤납니다. 3초 안에 죽습니다..
그리고 메가나르 궁은 없는 스킬이라고 봐도 됩니다. 잘하는 마이는 무조건 피하니까요.

진짜 단 1번도 실수하시면 안 돼요.
미니나르 때만 조심하면 파밍하는 데에 문제는 없는데 실수 1번 해서 죽으면 정글이 오면 정글도 같이 죽기 때문에 지옥 시작입니다. 정글이 옆에 있어도 타워 안에서 경험치도 못 먹습니다.
같은 레벨, 같은 템으로 풀피 메가나르 + 아군 정글러가 타워에 있는데 미니언 없이 혼자 생다이브 치고 살아 나가는 걸 보고 소름 끼쳤습니다.. 마이가 몰왕검이 뜨면 이게 가능해 집니다.

그러나 라인전 단계를 무난하게 넘겼다면 나르가 최소 10배 이상 좋으니. 계속 합류해서 교전을 유도하세요.
교전이 벌어지면 들어오는 마이한테 CC기 넣고 딜러를 지키면서 같이 전진하시면 쉽습니다.
그렇게 마이가 교전에서 1~2번 죽으면 정말 이도저도 아닌 쓰레기 챔프가 되니까
"시간은 나르 편이다." 생각하시고 신중하게 라인전 하시면 되겠습니다!


Maokai(마오카이)[마오카이] - 쉬움 (6:4 ~ 7:3)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 유동적으로
마오카이 상대로는 라인전을 이기고 싶으시다면 나중에 신발을 Ninja Tabi(판금 장화)으로 바꿔야 하는 조합이여도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를 먼저 가는 게 좋습니다.
마오카이 상대할 때는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가 있고 없고 차이는 체감상 어마어마합니다. 마오카이는 스킬로 딜하는 챔프가 아닌 닌 달라 붙어서 평타로 딜교환 하는 챔프입니다. 슬로우, 에어본, 속박이 빨리 풀리면 평타 2~3대 덜 맞게 되는데 엄청 커요.
물론 저는 마오카이 Twisted Advande(뒤틀린 전진)(마오카이 W) 사거리를 안 보고 잴 수 있고 이기는 방법을 알고 있기 때문에 마오카이 제외 올AD라면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보다 1코어를 먼저 올립니다.


첫 번째 코어템은 적 상체가 올 AP라면 Wit's End(마법사의 최후) 이후 (신성한 파괴자) 가시고
적 조합이 AD 비중이 높으면 (신성한 파괴자) 이후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가주시거나 적 딜러가 잘 컸다면 2코어로 방마저템을 가주시면 됩니다.
적 팀에서 마오카이가 든든하게 앞 라인을 맡아주기 때문에 나르도 딜보다 탱 위주로 올려서 같이 앞 라인을 잡으며 마오카이를 몰아내면서 우리 팀이 딜 내가 맞는 동안 딜하기 편한 구도를 형성해주는 게 좋습니다.
마오카이는 나르 상대로 사이드에서 안 하고 계속 합류해서 한타를 보려고 할 겁니다. 이 때 나르도 마오카이 만큼 한타가 좋은 챔프이기 때문에 유리한 라인전을 바탕으로 아이템을 더 잘 뽑아서 같이 앞 라인을 맡아 주는 선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오카이 상대로는 몇가지만 주의하시면 쉽습니다.
1. 마오카이가 라인에 서 있을 때는 라인을 미는 데에 스킬을 사용하시면 안 되고
반드시 견제나 딜교환 용으로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마오카이는 적이 스킬을 사용하면 체력을 회복하는 패시브를 가지고 있습니다.
라인을 밀고 합류나 교전을 통해 이득을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부메랑은 견제에만 사용하세요.

사실 마오카이 상대는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고 이 부분이 라인전 승패를 결정합니다.
그러나 이 걸 나르가 완벽하게 해버리면 마오카이는 이길 방법이 없기에 나르가 유리합니다.
잘하는 마오카이라면 나르가 라인에 부메랑을 사용하지 않고 자신에게만 사용하는 것을 본다면
"얘 마오카이 상대할 줄 아는 구나.. 힘드네. 정글이 갱 오는 거 아니면 딜교환 안 해야겠다." 라고 생각할 겁니다.

2. 어차피 아이템이 뜨면 뜰 수록 나르가 점점 더 유리해 지고 착취도 나르가 더 빠르게. 많이 쌓을 수 있으니
갱 생각하면서 천천히 하셔야 합니다.

3. 마오카이가 착취라면 1번에서 말한 것만 잘 지키면서 라인전 하시면 되고.
 여진이라면 보통 점화를 들고 올 텐데 1,2 레벨에 착취 안 터트려도 되니까 딜교환 하지 마시고 3렙부터 딜교환 하세요. 그리고 여진이 쿨타임일 때는 공격적으로 하셔도 딜교환 무조건 이깁니다.
여진일 때는 헤르메스 이후에 싸우시면 착취보다 훨씬 쉽습니다. 마오카이가 못 버티고 대부분 솔로킬 당합니다.
봉풀주라면 1번 주의사항만 지키면서 하면 메가나르 때 마오카이 풀피여도 킬각 잡을 수 있습니다.


Malzahar(말자하)[말자하] - 쉬움 (7:3)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Trinity Force(삼위일체)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유동적으로

 말자하 상대로 착각하는 게 있는데 헤르메스가 별로 안 중요합니다.
수은이 중요한 거지 헤르메스 하나로는 궁이 빨리 풀리냐 안 풀리냐로 죽냐 안 죽냐가 결정되지 않아요.
거리 자체를 안 주거나 메가나르 상태에서 궁이 걸리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적 정글이 갱을 왔는데 미니나르 상태로 말자하 궁 맞고 헤르메스 때문에 살아갈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차라리 체력템이나 마저템 올려서 딜을 상쇄시키는 게 생존 확률이 더 높아요.





Malphite(말파이트)[말파이트] - 보통 ~ 쉬움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말파가 극딜가면 Hexdrinker(주문포식자)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탱가면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 유동적으로

(+ 유성 피하는 잡기술 추가해야 함)

 얘 상대로는 다이아 이상급 말파라면 상대법 모르면 무조건 솔킬 당합니다.
나르로 유성 말파 못 이기시는 분들이 많던데 상대법을 알고 하셔야 해요.
말파는 라인전 약캐가 아닙니다. 카운터가 확실한 뿐 오히려 강한 편에 속해요. 얕잡아 보시면 큰 일 납니다.

말파 상대로는 무조건 마저템 1개는 올리시고 Trinity Force(삼위일체) 가셔야 합니다. 안 올리면 굴렁쇠 딜을 버틸 수가 없습니다. 
헤르메스를 올려야 하는 조합이면 헤르메스가 가장 좋습니다. 만약 적 상체가 이블린 르블랑 아칼리 엘리스 등의 3ap조합이라면 Hexdrinker(주문포식자)도 좋습니다.
말파 제외 올ad라면 좀 까다로운데 음전자 1개 가시고 Hearthbound Axe(온기가 필요한 자의 도끼) 올리면서 유지력에 신경써주셔야 합니다.

마나 코스트 ap챔프를 상대할 때는 적마나 vs 나르체력 싸움입니다.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Doran's Shield(도란의 방패)SecondWind(재생의 바람) 이 3가지가 핵심입니다.
도란 쿨마다 평Q평 딜교환 해주면 굴렁쇠 맞아도 딜교환 이깁니다. 그러나 말파가 바보가 아닌 이상 3타는 절대 안 맞아요.
그래서 딜교환 메커니즘을 말파가 굴렁쇠 날리러 앞무빙치면 부메랑 맞추고 쉴드를 먼저 빼시고 미리 쳐둔 미니언 3타 이속 이용해서 추격해서 3타 터트리거나 3타 터르릴 각이 안 나오면 부메랑 맞춰놓고 뒷무빙치면서 부메랑을 다시 받고
다음 부메랑 쿨까지 수비적으로 받아 먹으세요. 그리고 다음 쿨이 돌 때 다시 부메랑 맞추면서 말파 패시브 쉴드 쿨을 못 돌리게 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부메랑 2~3쿨 돌 동안 말파가 쉴드 쿨을 못 돌리면서 굴렁쇠를 못 꽂아 넣고 부메랑을 계속 맞으면 나르가 주도권 잡는 겁니다.
그리고 메가나르 때 킬각 잡으면 최소 궁 빠집니다.

그런데 다이아 이상 말파라면 이렇게 당해주진 않아요. 사실 이 구도보다 말파가 굴렁쇠 맞추고 이속 활용해서 부메랑 피하는 게 훨씬 난이도가 쉬워서 1:1 딜교환에서는 초반 부메랑 스킬 쿨타임 때문에 말파가 주도권 잡아요.
근데 나르가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나 Hexdrinker(주문포식자)가 뜨면 맞으면서 딜교환해도 나르는 피가 차고 분노까지 차기 때문에 말파 스킬을 맞더라도 부메랑만 잘 맞추면 주도권 잡아요.
결국 조심해야 하는 건 갱호응과 점화 들고와서 깜짝 킬각 잡는 건데 이건 롤을 잘해야 하는 거라 상대 법보다는 경험을 많이 쌓으셔야 합니다!

한타는 서로 하기 나름인데 조합에 따라 기여도가 갈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둘 다 한타가 좋습니다.


Mordekaiser(모데카이저)[모데카이저] - 보통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Sheen(광휘의 검) - (신성한 파괴자) - 유동적으로

 모데는 나르의 실력에 따라 난이도가 천차만별입니다.
모데 상대로는 모데 E스킬을 무빙으로 피하는 연습을 하셔야 해요. 제가 느끼기에 모데가 아무리 완벽하게 해도
나르가 7:3 정도로 유리한 스킬샷 싸움입니다.

 모데가 푸쉬력이 굉장히 좋기 때문에 라인을 밀면 나르 입장에서는 초반 주도권은 잃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라인이 타워에 박히지 않게 만 유지하면서 받아 먹으시면 됩니다.
라인에 오래 있을 수록. 메가나르 쿨을 많이 돌릴 수록. 템이 나오면 나올 수록. 레벨이 오르면 오를 수록.
나르가 훨씬 유리해져요. 모든 측면에서 시간은 나르 편입니다.
심지어 한타도 사이드 스플릿도 나르에게 주도권이 있습니다.
모데 자체가 라인전이 쌔서 잘 뚫리지 않아서 그렇지 나르가 게임하기는 굉장히 편합니다.

초반에는 cs위주로 먹으면서 부메랑 맞추기 보다 모데 스킬을 피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라인전하시고
딜교는 메가나르 때만 스턴+돌덩이로 짧게 딜교환하고 빠지는 식으로 하세요.
(모데 패시브 켜졌는데 딜교환하면 손해 많이 봅니다. 킬각이 아니라면 짧게 딜교환)

그리고 부메랑 5레벨 찍히는 9레벨부터 적극적으로 하시면 됩니다.
이 때도 모데궁 거리조절 하면서 부메랑 견제만 하다가 모데E 스킬이 빠지고 딜교환 하는 게 좋습니다.
그렇게 레벨이 높아지고 부메랑 쿨이 짧아지면 라인에 오래 있을 수록 기발+도란방패의 유지력 때문에
모데W + 도란방패가 있더라도 모데 체력이 먼저 빠집니다.
그렇게 첫 집을 라인을 밀어 넣고 갔다오면 그 때부터는 적 정글이 와도 못 풉니다.
그래서 무조건 첫 집 전에 적 정글이 오거나 모데가 솔킬을 내려고 적극적으로 라인전 할 거에요.
그 타이밍을 위에서 설명해드린 대로 잘 넘기셔야 합니다.
만약 9레벨이 지났는데 모데의 유지력이 나르보다 더 좋은 거 같다고 느껴지시면 스킬샷 실력이 많이 부족한 겁니다.. 연습하셔야 해요!

일반적으로 나르는 모데 Q,E스킬을 피하는 게 쉬워서 천상겨에서는 모데로 나르를 1:1로는 절대 이길 수 없습니다.
나르는 모데랑 1:1이 위협적인게 아니고 진실의 방에서 나왔을 때 대기하고 있는 적 정글러가 무서운 겁니다.

갱호응이 이보다 더 확실한 챔프가 없어서 적 정글을 항상 의식하고 적 정글의 위치 정보가 아애 없을 때는
최소 플래쉬 궁 했을 때만 궁 걸리게 끔 거리 유지해주셔야 합니다.
점멸 + 궁으로 죽고 적 정글 턴까지 빼면 죽더도 다음 턴에는 나르가 압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점멸 + 궁으로 오면 나르는 점프와 점멸로 적 모데 Q를 2번이나 확정적으로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진실에 방에서 나왔을 때 메가나르 + 반피 이상 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높은 확률로 살아요.

1:1만 놓고 보면 그냥 9레벨 + 헤르메스 뜨면 나르가 압도합니다.
그러나 사기적인 갱호응 때문에 보통은 주도권은 있지만 솔킬을 내거나 탑을 뚫지는 못해요.
그래도 조급해 하지 않아도 되는 게 한타, 사이드 등 시간이 지나면 나르가 더 좋아져서 급하게 굳이 안 하셔도 됩니다.


Dr. Mundo(문도 박사)[문도 박사] - 유리함 (6:4 ~ 7:3)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or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Boots of Speed(장화) -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신성한 파괴자) - 유동적으로


 원래 문도의 대표적인 카운터가 나르였는데
문도가 리워크와 함께 버프를 많이 먹으면서 나르가 약간 유리한 정도로 바뀌었습니다.
예전 문도는 라인전이 약했지만 지금 문도는 라인전이 약하지 않아요. 그래서 탱커 상대로 중후반 벨류가 높은 나르, 카밀 같은 챔프로 천천히 하는 게 좋습니다.

문도가 어느 정도 할 줄 알면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 + (신성한 파괴자) 뜨기 전에 절대 못 잡습니다. 나르의 딜로 문도의 유지력을 뚫을 수가 없어요.
그냥 착취만 쌓는다고 생각하시고 신파까지 천천히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첫 집 전에는 라인 주도권이 문도한테 있어서 스킬샷에 따라 솔킬 따일 수도 있어요.
미니언 뒤에서 도끼 피하시고 상대 미니언이 막타 체력이라면 문도 E스킬이 날아오니 미리 의식하시고 무빙하세요.

그렇게 첫 집 전에는 견제보다 cs를 하나도 안 놓치고 먹겠다는 마인드로 하시고
딜교환은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를 뽑아온 뒤부터 하셔야 합니다.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없이는 내 스킬을 다 맞추고 상대 스킬 1개만 맞아도 손해봅니다.
그리고 문도가 궁이 있을 때는 피 2칸 이하여도 웬만하면 정글 불러서 잡으세요.
그리고 킬 각은 미니나르 상태로 죽일 수 있는 킬각이 아니면 웬만하면 안 죽습니다. 메가나르로 한방 킬각 잡으려고 하면 오히려 역관광 당해요.
 문도 패시브가 없어서 벽궁이 무조건 되는 상황이면 킬각을 못 잡더라도 R-W-Q-평 넣었을 때 안 죽으면 이미 CC가 걸린 상태라 점프로 나오면 돼서 아무 지장이 없지만
미니 나르는 문도 패시브를 뺄 스킬이 없어서 메가나르 깜짝 킬 각보다 미니나르로 꾸준히 압박하면서 솔킬보다 타워 뜯고 정글 불러서 킬각 잡는 식으로 하는 게 좋습니다.

물론 솔킬 안 내셔도 템이 뜰 수록 더 좋고 한타도 나르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천천히 템 띄우고 팬다는 마인드로 하시면 편합니다.


Veigar(베이가)[베이가] - 유리함 (8:2 ~ 9:1)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Hexdrinker(주문포식자)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무조건 선 헤르메스에 룬도 강인함 찍으세요.
일반적으로 초반 주도권이 없는 미드나 서폿을 가는 메이지 챔프 상대로는 필승 공식이 존재합니다. 상대의 실력에 상관없이 무조건 이길 수 있습니다.
애니비아. 질리언. 말자하.  등이 있는데 라인관리 하나만으로 2렙차 솔로킬 따면서 게임 끝낼 수 있습니다.

예외. 블라디. 카시. 룰루.
얘들은 애초에 탑을 종종 오는 애들이라 개인적으로 미드만 가는 전통메이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상대 챔프들의 심리와 초반 운영 방향이 초반에 주도권도 없으니 라인 당기면서 싸움이 안 일어나길 바라고 있을 겁니다.
근데 나르는 부메랑 데미지가 점차 올라가는 4레벨부터 강해지면서 6이후 메가나르의 궁이 있을 때 킬각을 노려볼 수 있죠.



Vayne(베인)[베인] - 카운터 ~ 불리함 (2:8)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탑에 오는 원딜 중에 그나마 가장 쉬운 게 베인입니다.
얘는 상대법만 정확히 알면 정글 개입없이 솔킬도 딸 수 있어요.



Volibear(볼리베어)[볼리베어] - 유리함 (8:2)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or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 유동적으로

 얜 일반적인 뚜벅이랑 상대법이 똑같습니다. 그러나 솔킬은 쉽게 못 따요.
초반부터 라인을 푸쉬하면서 게임 끝날 때까지 주도권 잡으면 되는데
볼베는 라인 푸쉬가 매우 좋아요. 그래서 볼베가 마음먹고 밀면 나르가 푸쉬력에서 상대가 안 되니까 
그냥 첫 라인은 당기시고 타워 앞에 프리징하면서 디나이하고 슬로우 푸쉬하면서 빅웨이브 만들어서 밀어넣으세요.
그리고 집타이밍 먼저 잡으시면 첫 집 갔다 온 뒤로는 나르 Q쿨이 매우 짧아지기 때문에 라인 운영 주도권은 나르가 하고 싶은대로 할 수 있습니다.

라인전 내내 조심해야 할 점은 딱 1가지.
볼베 E스킬을 라인과 나르가 같이 맞으면 안 됩니다. 자주 상대하다 보면 E를 언제 쓰겠구나 감이 잡히는데 그 때 라인 옆이나 부쉬에서 견제하면 볼베가 어디로 E를 써야 할 지 2지선다에 걸리게 됩니다.
첫 집 갔다 온 뒤부터는 볼베가 라인에 E를 쓰면 다음 E 쿨까지 라인을 아애 못 치게 견제하시면 절대 라인푸쉬 안 당하고 나르한테 E쓰고 달려오면 점프로 빼시고 다음 쿨까지 또 견제하시면 됩니다.
그렇게 타워 안에서 견제 + 푸쉬하면서 조금씩 디나이하시면 CS차이 계속 나게 되고 타워도 14분안에 3~4칸 이상 깔 수 있습니다.
거기다 탑 주도권 이용해서 시야 잡거나 정글 도와주면 게임 쉬워져요.

솔직히 볼베가 나르 상대할 줄 알면 솔킬 따기는 힘듭니다. 챔프 자체가 단단하고 뚜벅이긴 하지만 라인전이 쌔서 메가나르로 억지로 킬각 잡으려고 하면 역으로 죽을 수도 있어서 그냥 CS차이, 타워링, 시야, 백업 등으로 굴려가는 게 안정적이고 이기기 쉽습니다!
심지어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나르가 더 좋아지고, 한타는 미니나르 여도 나르가 더 좋고 메가나르라면 성능이 5배 이상 차이 납니다. 급하게 안 하면 탑 차이로 질 일은 없어요.


Vladimir(블라디미르)[블라디미르] - 불리함 (3:7)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보통 원거리 AP챔프는 



Viego(비에고)[비에고] - 보통 (6:4)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Viktor(빅토르)[빅토르] - 보통 (5.5 : 4.5)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빅토르는 정글이 서로 개입하면 할 수록 나르가 좋습니다.
그냥 1:1구도만 놓고 봐도 나르가 지진 않는데 정글이 서로 개입하면 7:3 정도까지 유리해집니다.



Poppy(뽀삐)[뽀삐] - 보통 (5.5 : 4.5)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 - 뽀삐가 딜가면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 유동적으로
                                   탱가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뽀삐는 생각보다 라인전이 굉장히 강한 챔프에요.
뽀삐 상대는 초반에 불리하다가 첫 집에 Ninja Tabi(판금 장화)를 뽑고 나면 그 때부터 할만 해집니다.
그리고 템보다 레벨이 높아질 수록 나르가 더 좋아집니다.
뽀삐는 첫 라인부터 라인을 당기면서 타워 앞에 라인을 걸쳐 두는 게 가장 좋고, 첫 집 전에는 뽀삐가 들어오면 착취만 터트리고 라인푸쉬나 공격적인 라인전을 하시면 안돼요. 계속 수비적으로 하면 대쉬기를 나르한테 쓰거나 걸어와서 Q맞추고 미니언타고 나가는 식으로 하는데 뽀삐 Q를 맞을 때는 반드시 평-부메랑-평으로 3타 터트리시고 뽀삐 2번째 Q만 안 맞으면 버티는데 무리는 없습니다.
뽀삐는 첫 템을 무조건 Corrupting Potion(부패 물약)사오는데 부패 3개가 다 빠질 때까지 나르가 반피 이하로 안 떨어지면 나르가 주도권 잡아요.
첫 집을 갔다 오고 부패가 1개 남을 때부터 주도권이 넘어오는 식이라 라인에 오래 있으면서 메가나르 변신 쿨을 계속 돌려줄 때마다 나르가 서서히 유리해집니다.
그렇게 1코어가 넘어가면 나르가 계속 이겨요.

핵심은 최대한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TasteOfBlood(피의 맛)쿨마다 딜 교환하고 뽀삐 Q 2타 안 맞으면서 부패만 야금야금 뽑아먹고 부패 다 빠지면 공격적으로 하시면 됩니다.
사실상 라인전 자체는 4.5 : 5.5 정도로 실력 싸움인데 둘 다 완벽하게 한다고 가정하면 10분 쯤까지는 뽀삐가 유리하기 때문에 라인전 자체는 뽀삐가 유리해요.
그러나 나르 입장에서 대처하기가 그렇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나르가 뽀삐 대처법을 아냐 모르냐 싸움이라고 봅니다.

그렇게 흘러가면서 나르가 킬을 먹거나 선 푸쉬하고 먼저 정비하는 구도가 만들어지면 그 때부터는 나르가 게임 끝날 때까지 이깁니다.


Sion(사이온)[사이온] - 보통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Sylas(사일러스)[사일러스] - 보통 ~ 불리함 (4:6)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사일러스는 AP근접 챔프 중 유일하게 나르를 카운터 칠 수 있는 챔프입니다.
 사일러스 상대로는 라인전에서 1번이라도 실수해서 죽으면 그 판에서 나르는 존재감이 삭제됩니다..
1:1 라인전만 놓고보면 나르가 5.5 : 4.5 정도로 약간 유리한데 정글 개입이 있다고 가정하면 사일러스가 미세하게 유리합니다.
그리고 라인전이 끝나는 순간 5:5 한타건 소규모 교전이건 사일러스가 훨씬 좋습니다.
그래서 나르는 라인전에서 공격적으로 하면서 사일러스를 솔킬 낸다고 마인드로 하되 갱도 안 당해야 해서 굉장히 까다로워요

우선 사일러스는 웬만하면 Q선마 하면서 라인만 받아먹고 6렙 이후에 킬각을 보려고 할 거에요.
그래서 6렙 전에 라인 컨트롤로 이득 본 걸 바탕으로 6렙 이후에도 주도권을 쭉 잡는 식으로 해야 합니다.
우리 팀 정글이 정버프로 윗동선이거나 적 정글이 역버프라면 초반부터 라인을 푸쉬해서 주도권 잡으셔야 하고
메가나르 때는 적극적으로 딜교하시고 메가나르 빠지고 분노가 30 이하라면 파밍만 하세요.

메가나르 든 미니나르 든 사일러스 E는 무조건 무빙으로 피하셔야 합니다.
만약 못 피하면 실력차 나는 거고 절대 못 이깁니다. 점프로 피하면 다음 점프 쿨까지 사려야 해서 사일이 더 편해져요
혹시 사일러스가 W선마를 한다면 무조건 첫 집에 치감칼 사셔서 사일러스가 EW로 붙을 거리 안 주면서
평타 견제보다는 Q로만 견제하면서 메가나르 때만 딜교환하는 식으로 하시면 이깁니다.

결국 사일러스는 사일Q 2타, E사슬을 얼마나 무빙으로 잘 피하고 나르 스킬은 얼마나 잘 맞추냐 싸움이에요.
근데 나르가 유리한 부분은 그저 1~2레벨 라인관리 주도권이 있다는 점과 스킬 맞추기가 더 쉽다. 2개인데
1~2레벨부터 라인전 끝날 때까지 어떻게 라인을 운영해 나갈 지 그림이 쭉~ 세워져 있어야 유리하지 방법을 모르면 오히려 라인전부터 카운터입니다.



Shaco(샤코)[샤코] - 유리함 (8:2)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많이 안 만나보긴 했는데 아주 가~끔 AP샤코 장인들이 탑으로 쓰더라구요.
얘 만나서 탑 3렙차 이하로 낸 적이 단 1번도 없어요. 샤코는 적 정글이 탑만 파도 이깁니다.
그냥 1레벨에 탑으로 달려서 부쉬만 먹으면 무조건 이깁니다.

박스가 어디 깔려 있는 지만 체크하시고 헤르메스 뜨고 킬각 잡으시면 편합니다.
메가나르로는 풀피 샤코도 벽궁만 맞추면 스턴 풀리기 전에 원콤으로 잡습니다.

핵심은 1레벨에 탑 2번째 부쉬로 달려서 박스 어디에 설치하는 지 체크해서 1~2레벨 쇼부 당하지 말고
라인은 막타만 치면서 천천히 밀면 샤코는 CS먹을 때마다 피 1칸씩 나가고 천천히 밀면 3~4렙 쯤에 빅웨이브 쌓여서 라인에 박혀요.
 그 때 시야 잡고 정글 도와주다가 다시 라인이 오면 천천히 밀고 1100원 모이면 빅웨이브 박아 넣고 헤르메스 뽑아 온 뒤에 똑같이 슬로우 푸쉬하면 이 때부터는 메가나르 때마다 킬각 잡혀서 아애 파밍이 불가능해져서 탑이 터집니다.

혹시 은신 쓰고 와서 샤코가 나르 퇴로에 박스 깔고 딜교환하거나 깜짝 킬각 잡으려 하면 박스 깔자마자 박스 머리통 밟고 도망가세요. 공포가 안 걸립니다. 샤코가 선 은신쓰고 와서는 나르를 절대 잡을 수 없어요.


Sejuani(세주아니)[세주아니] - 보통 (4.5 : 5.5)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Sett(세트)[세트] - 유리함 (6:4 ~ 7:3)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Shen(쉔)[쉔] - 유리함 (8:2 ~ 9:1)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Shyvana(쉬바나)[쉬바나] - 보통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Swain(스웨인)[스웨인]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Singed(신지드)[신지드] - 유리함 (8:2)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or Demolish(철거)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Azir(아지르)[아지르] - 불리함 (4:6 ~ 3:7)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Akali(아칼리)[아칼리] - 불리함 (4:6)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Akshan(아크샨)[아크샨] - 카운터 (1:9)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Aatrox(아트록스)[아트록스] - 보통 ~ 불리함 (4:6)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Anivia(애니비아)[애니비아] - 유리함 (7:3)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보통의 원거리 AP상대로는 기민한 발놀림을 드는데 왜 애니비아만 착취를 드느냐?
애니비아의 원거리 견제는 나르 입장에서 당하기 힘들어요.
동실력 기준 애니비아가 나르를 맘 놓고 견제하는 상황 자체가 아애 안 나옵니다.
당하더라도 Q스턴 후 E-평타로 이어지는 폭딜 우겨넣기 딜교환이라 뼈방패가 매우 유용하고

딜교 1~2번 당하면 메가나르 변신해서 나르가 다시 주도권잡고 이런 식입니다.
적 조합이 헤르메스를 갈 수 있는 조합이면 선 헤르메스 올리시면 되고
6 이후 적 정글 위치파악이 되면 마음껏 킬각 잡으셔도 됩니다.
탑 애니비아는 블루를 못 먹어서 마나수급이 힘듭니다. 미니나르 때에는 무한 푸쉬하면서 마나 빼주고 메가나르 때 킬각 잡는 식으로 하시면 애니비아는 죽거나 라인버리고 집가거나 둘중 하나라 포탑골드 뜯거나 전령챙기거나 할 수 있습니다. 무난하게 한타가면 나르가 훨씬 좋아서 애니비아는 쉬워요.


Yasuo(야스오)[야스오] - 카운터 (0:10 ~ 3:7)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Wukong(오공)[오공] - 보통 (4.5 : 5.5)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or 
템트리 : 



Ornn(오른)[오른] - 보통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or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오른이 착취 들고 오면 도란 방패, 봉풀주 들고 오면 도란 검



Olaf(올라프)[올라프] - 불리함 (4:6)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Yone(요네)[요네] - 불리함 (4:6)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Yorick(요릭)[요릭] - 보통 (6:4 ~ 3:7)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요릭E 맞추기 실력 vs 나르 무빙
요릭이 E를 3번 쏴서 1번 이상 맞추면 요릭이 유리합니다.
이보다 더 잘 피하면 나르가 유리합니다. 



Udyr(우디르)[우디르] - 유리함 (7:3 ~ 8:2)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많이 유리하지만 솔킬 따면서 뚫을 정도는 아닙니다.
우디르가 작정하고 버티면 결국 반반 파밍인데 우디르는 라인전 올인 챔피언이라 15분까지 반반가면 나르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Urgot(우르곳)[우르곳] - 유리함 (6:4 ~ 7:3)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Warwick(워윅)[워윅] - 유리함 (7:3 ~ 8:2)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Irelia(이렐리아)[이렐리아] - 카운터 (0:10 ~ 2:8)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이렐리아의 약점은 초반이 약하다는 거라
이렐리아의 카운터 조건이 1레벨에 전사 미니언으로 q3스택 쌓고 적 챔피언에 바로 붙어서 4스택으로 깡딜교 하는 이렐을 상대로 1레벨에 이길 수 있냐 없냐가 진짜!!! 진짜~~ 어마어마하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그 맞딜교환을 이기는 세트, 피오라가 카운터고 원거리로 초반에 제이스, 케넨이 이기니까 초반에는 할만하다는 겁니다.

그러나.. 나르는 1레벨부터 지는 수준을 넘어서 그냥 개털립니다.. 전사로 q3개 쌓으면 1렙부터 디나이 당해야 됩니다.
4스택 유지하면서 최대한 슬로우 푸쉬하면 그냥 3레벨까지 반반가면서 사려야 되요.

딱 한가지! 이걸 이길 수 있는게 칼날비 - 뼈방패 - 도란방패 이 3가지 갖추면 1레벨에 이깁니다.
그래서 프로들이 칼날비 드는 겁니다. 이렐 상대로 이점이 딱 1개 생기니까요. 이 마저도 6렙전에 솔킬 따거나 경험치 버리면서 집가게 못 만들면 6렙 이후에는 오히려 착취보다 안 좋은 룬이라 답도 없긴합니다.



Illaoi(일라오이)[일라오이] - 보통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일라오이 E 맞추기 실력 vs 나르 무빙
일라오이가 E를 3번 써서 1번 이상 맞추면 나르가 집니다.
이보다 더 잘 피하면 나르가 이깁니다.

위에 요릭과 상대법이 유사한데
일라오이가 조금 더 쉽습니다. 요릭 E는 미니언이 막아주지 않고, 일라오이는 막아주거든요.

1렙부터 인베 방어는 팀한테 해달라 하고 탑으로 달려서 촉수까는 거 지워주세요.
1~2렙 단계에 일라오이는 할 수 있는 게 없는 챔프라 최대한 압박해주시고
3렙부터는 라인 푸쉬 주도권을 최우선으로 신경 써주시고 일라E가 빠지면 공격적으로 해주세요.
만약에 푸쉬를 뺏기면 갱 불러도 답 없고 E각을 계속 주게 되니까 무조건 라인부터 미세요.




Jarvan IV(자르반 4세)[자르반 4세]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Zac(자크)[자크] - 유리함 (6:4 ~ 7:3)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Jax(잭스)[잭스] - 보통 (5.5 : 4.5)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원래 리븐과 비슷하게 나르가 약간 유리한 매치업이었는데 최근 패치되고 초반은 잭스가 더 유리한 거 같아요. 데미지가 너무 쌥니다. 나르가 약한 것도 있어요. 그래도 초반만 넘기면 5.5 : 4.5 약간 유리한 손싸움이라고 봅니다.


(스킬 트리 쪽에 있던 거 그대로 가져 왔는데 수정해야 함)

초반 탑 쪽 인베 시야를 포기하고 나르 기준 탑 1번째 부쉬에서 대기타고 있다가 미니언이 6:6 맞 붙고 나서 갑자기 나르 뒤에서 걸어 나와서 반격을 돌리면서 딜교환을 하려고 한다?
 이 때는 Jax(잭스)가 반격을 돌리자마자 Hop / Crunch(폴짝 / 우지끈)를 찍고 잭스 머리를 타고 도망가면서 슬로우 걸린 Jax(잭스)를 패면서 다시 미니언 먹으러 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반격 쿨이 4~5초 정도 더 빨리 도니까 E쿨 돌기 5초 전쯤부터는 앞무빙 하시면 안되구요
이런 상황은 잭스가 무조건 손해보고 시작하기 때문에 나르를 상대할 줄 아는 잭스는 1레벨에 반격을 찍긴 하지만 첫 부쉬에서 무지성 딜교환을 하러 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만약에 나르가 첫 미니언 오자마자 라인에 부메랑을 날려서 Q찍은 걸 보여줬다면 나르는 1레벨에 포션 빠지고 반 피 이상 깎이는 딜교를 당하게 되고 2레벨에 솔킬을 당하거나 텔쓰고 집 갔다 오지 않으면 적 정글이 3렙 다이브를 하러 올 겁니다.

이 외의 경우 Jax(잭스)가 1레벨에 Q를 찍고 나르에게 점프를 뛰면서 맞딜을 계속 걸면서 2레벨에 킬각을 보려고 하는 경우나 반격을 찍고 미니언을 받아먹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나르는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찍으면 됩니다.
잭스가 나르한테 점프 뛰는 순간 Q평 하시고 뒤로 빼시고 잭스가 다시 빼면 평타 1대 더 때리시면 나르가 딜교 이득봅니다. 이 때 반드시 부메랑을 다시 받으셔야 하고 잭스 Q가 나르 Q보다 쿨타임이 3~4초는 빨리 돌아요. 그 시간 차 때만 사려주면서 포기할 미니언 포기하면서 경험치만 챙겨가셔도 무방합니다.
이미 잭스가 나르한테 점프한 순간 손해보는 딜교를 한 것이기 때문에 적 정글이 잭스의 턴을 벌어주는 게 아닌 이상 첫 귀환 전에 1레벨에 손해 본 cs를 2배 이상 디나이 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나르를 상대할 줄 아는 잭스는 90% 이상 1레벨에 반격 찍고 나르가 착취 터트리러 올 때 반격 돌려서 미니언 정리를 먼저 하려고 할 거에요. 그 때는 그냥 반격 끝나는 타이밍 예측해서 끝날 거 같을 때 쯤 Boomerang Throw / Boulder Throw(부메랑 던지기 / 돌덩이 던지기)던져서 슬로우 묻히고 따라가면서 착취 1대 때리는 식으로 견제하시면 됩니다.


Jayce(제이스)[제이스] - 카운터 ~ 불리함 (8:2 ~ 6:4)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Zilean(질리언)[질리언] - 유리함 (10:0 ~ 9:1)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Conditioning(사전 준비)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Cho'Gath(초가스)[초가스] - 유리함 (7:3 ~ 8:2)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or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Karma(카르마)[카르마] - 보통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Camille(카밀)[카밀] - 유리함 (6:4)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카밀이 점화 들고오면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점멸 들고오면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Divine Sunderer(신성한 파괴자) -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 유동적으로

 Camille(카밀)Fiora(피오라)Jax(잭스)Riven(리븐)Renekton(레넥톤)Aatrox(아트록스)Irelia(이렐리아) 같은 근접 브루저류 중에 가장 쉬운 게 카밀입니다.
브루저 vs 나르 구도는 기본적으로 손싸움에 영향을 심하게 받습니다.
실력 차이가 나면 상성에 관계없이 구도가 무너지죠.

나르로 브루저 상대 연습할 때 카밀 상대법을 가장 먼저 익혀보세요.
카밀 상대로 주도권을 못 잡겠으면 나르로 다른 브루저는 아애 못 이깁니다..





Karthus(카서스)[카서스] - 보통 ~ 유리함 (4:6 ~ 8:2)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카서스 Q 맞추기 실력 vs 나르 무빙
카서스가 Exhaust(탈진)들고 와서 1~2레벨에 쇼부치는 것만 조심하시면 그렇게 어렵진 않습니다.
제 기준으로 카서스 Q는 맞추는 것 보다 피하는 게 더 쉬운 스킬이라 동실력이면 나르가 유리하다고 생각해요.



Cassiopeia(카시오페아)[카시오페아] - 보통 (5.5 : 4.5)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카시를 1:1로 이길 순 없습니다. 라인전이 워낙 강한 챔피언이라서..
그러나 정글이 서로 개입하면 할 수록 나르가 훨씬 좋아집니다.
카시는 갱을 버틸 수 없는 챔프인데 나르는 갱을 정말 잘 흘리는 챔프거든요.

딜교를 하려고 하면 할 수록 나르가 손해볼 겁니다. 앞 무빙하면 카시 Q맞출 각만 내주는 꼴이 되거든요.
서로 라인부터 밀고 타워에 몰아 넣고 cs 받아먹을 때 스킬 맞추는 식으로 흘러가다가 메가나르 때 갱호응하는 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카시쪽 정글은 나르한테 웬만하면 갱 안 옵니다. 카시의 갱호응으로 나르를 잡을 가능성이 없거든요.
그래서 다이브 당할 정도로 피관리가 안되는 게 아니면 카시가 조금씩 불편한 구도로 라인전이 진행될 겁니다.



Kalista(칼리스타)[칼리스타] - 카운터 (1:9)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Warden's Mail(파수꾼의 갑옷)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갱 당하든 솔킬이든 1데스라도 했으면 Ninja Tabi(판금 장화), Warden's Mail(파수꾼의 갑옷)부터 올리고 1코어 가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 타워 안에 있어도 또 죽어요.




Kennen(케넨)[케넨] - 불리함 (3:7 ~ 4:6)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Kayle(케일)[케일] - 유리함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케일 상대로는 1레벨부터 빡빡하게 압박하셔야 합니다.
케일이 11레벨이 되기 전까지는 나르가 꽤 유리한 편인데

케일 11렙 전까지 나르가 압박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Cull(수확의 낫)사와서 1코어 당길 생각하시면 케일이 성장할 시간만 벌어주는 상황이 생기니까
내가 cs를 놓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견제해서 케일의 왕귀 시간을 늦추세요.

왕귀하면 나르는 케일의 존재감을 절대 따라갈 수 없으니 계속 합류해서 5:5 한타를 유도하시고,
웬만하면 케일 11렙 전에 굴려놨던 이득으로 실수하지 말고 게임 끝낼 생각하시는 게 편합니다.



Quinn(퀸)[퀸] - 카운터 (0:10 ~ 1:9)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Kindlegem(점화석)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1:1로 놓고보면 나르가 마음먹고 파밍만 하려고하면 cs 10~20개 정도 차이나면서 파밍이나 레벨 안 밀리면서 따라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팀이 퀸 로밍에 죽는 건 못 막아줘요. 시야조차 못 잡아줍니다.
그리고 우리 팀이 퀸한테 죽어서 코어가 빨리 나오면 반반 파밍 조차 힘들어져서 여러모로 상대하기 피곤해집니다.




Kled(클레드)[클레드] - 유리함 (6:4 ~ 7:3)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Sterak's Gage(스테락의 도전) - 유동적으로



Talon(탈론)[탈론] - 유리함 (7:3)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탑 탈론은 굉장히 쉬워요.
탈론 스킬을 아시는 분은 왜 도란방패 드는지 이해하실 겁니다.
탈론은 결국 w 2타 안 맞고 한방 원콤만 안 당하도록 피관리만 잘하면 메가나르 때마다 점점 유리해지면서
집을 갔다 올 때마다 성장차이가 나서
탈론은 로밍가서 킬을 먹지 못하면 결국 솔로킬 당하는 구도로 흘러갑니다.

라인푸쉬와 딜교를 같이하는 w 짤짤이에 피가 2칸 이상 안 달면 메가나르 턴마다 나르가 유리해지니
이 부분만 확실하게 기억하시고 도란 방패로 피 관리하면서 탈론이 안 보이면 우리팀한테 핑 계속 찍어주세요.



Tahm Kench(탐 켄치)[탐 켄치] - 유리함 (7:3 ~ 8:2)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or Cull(수확의 낫) or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Cull(수확의 낫) 시작하면 탐켄치가 무조건 공격적으로 하는데 혓바닥 1~2대만 맞아도 주도권 반반됩니다.
주도권을 잃지는 않는데 유리한 상태로 초반부터 우리 팀 정글에 힘을 실어주진 못해요.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시작하면 탐켄치가 수비적으로 합니다.
탐켄치가 공격적으로 해도 나르를 못 잡고 오히려 갱킹에 노출 된다는 것을 잘 알거든요.
안정적으로 탑 주도권 꽉 잡을 수 있는데 절대 킬은 못 냅니다.. 노잼 라인전이 될 거에요.
하지만 확실하게 한타페이지로 넘어갈 수 있고 한타로 가면 나르가 훨씬 좋습니다.
Doran's Blade(도란의 검)을 가면 혓바닥 피하고 에어본 피하면 초반부터 주도권 꽉 잡고 킬각까지 노려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킬샷 손싸움에서 지면 갱킹을 당할 가능성이 높고 갱 한번 당하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뜰 때까지 탐켄치는 안 죽습니다..
우리 정글이 와도 못 잡는 경우 생길 수 있어요.
그래도 저는 손싸움에서 나르가 더 유리하다고 생각해서 Doran's Blade(도란의 검)들고 주도권 쌔게 잡고 압박하는 편입니다.
쌔게 압박해서 대부분 주도권 잡기도 하구요.

사실 얜 어떤 템트리로 시작하던 탐켄치가 하기에 달렸어요.
나르가 유리하긴 한데 결국 나르로 탐켄치 못 뚫고 탐켄치로 나르 못 뚫습니다.
탐켄치가 Ninja Tabi(판금 장화) - Bramble Vest(덤불 조끼) - (증오의 사슬) 이 템트리로 맘 먹고 버티면 뚫을 수 있는 챔프가 없습니다.
하지만! 반반 성장하면서 한타가면 나르가 3배 이상 좋습니다. 존재감 차이가 압도적이에요.

적 탑이 탐켄치를 하면 라인전 노잼은 각오하셔야 하고 한타 때 내가 더 잘해야겠다. 생각하시고 게임하시면 됩니다.

탐켄치 상대법은 탐켄치의 Devour/Regurgitate(집어삼키기/역류)(W) 쿨타임만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결국 스킬 피하고 맞추는 싸움인데 애초에 푸쉬 주도권이 나르한테 있어서 나르가 유리합니다.
미니언 뒤에서 미니언 앞으로 나가는 척 하면서 혓바닥 쓰게 만들고 예측해서 피하고.
이런식으로 하면서 마나를 빼주시면 압박하기 더 수월합니다.


Trundle(트런들)[트런들] - 유리함 (7:3 ~ 8:2)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Cull(수확의 낫)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 유동적으로



Tristana(트리스타나)[트리스타나] - 카운터 ~ 불리함 (1:9 ~ 3:7)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Tryndamere(트린다미어)[트린다미어] - 불리함 (3:7)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얘는 일단 6렙 전에 이득을 많이 보는 게 아니면 6렙부터 지옥입니다.
절대 1레벨에 부메랑 찍으시면 안 됩니다. 무조건 점프 찍으셔야 하고 실수로 부메랑을 찍으셨으면 절대 부메랑 찍은 걸 보여주지 마시고 2렙까지 가세요.

1레벨에 부메랑 찍으시면 미니언 6마리 다 맞으면서 들어와서 때립니다. 그래도 나르가 져요.
1렙 딜교환 당하면 적 정글이 100% 3캠프 다이브 옵니다. 그러면 5분에 탑 강제오픈 해야합니다..

메커니즘은 간단해요.
절대 트린 대쉬기 1번으로 붙을 거리를 주시면 안 되고
거리줘서 들어오면 제자리 점프써서 트린 머리 밟고 빼시고 다시 쫒아가면서 때리시면 됩니다.
그러다 트린 대쉬기 쿨 돌기 2~3초 전까지 때리다가 빼시고
다음 점프 쿨 돌 때까지 부메랑 파밍만 하세요.
그러면 점프 쿨이 20초 정도 되기 때문에 트린 대쉬기와 쿨 차이가 10초 넘게 납니다 그래서 쓸 때마다 디나이 당하면서 야금야금 손해 볼 겁니다.
반반 커도 6이후에 매우 불리해지고 풀피 생다이브 당하는데 손해보면서 흘러가면 그 시간이 더 당겨집니다.



Teemo(티모)[티모] - 카운터 ~ 불리함 (2:8 ~ 3:7)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Hexdrinker(주문포식자)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티모가 SummonAery(콩콩이 소환)들고 오면 그나마 할만 한데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들고 오면 아애 이길 각 없습니다.
최대한 타워 늦게 밀리고 정글이 와서 풀어주길 바래야 합니다.
너무 불리한 매치업이라 갱 타이밍 맞춰서 분노관리는 불가능하고, 정글 동선보고 라인 조절해서 갱으로 따야 합니다.

미니나르로는 견제보다 미니언을 먼저 드시고 평타로 미니언을 먹을 수 있을 때만 부메랑으로 견제하시면 하세요.
미니나르 3타는 평생 못 터트리니까 아애 생각도 하지마시고..
메가나르 일 때 평타 딜교보다는 스킬로 짧게 딜교하고 빠진다는 마인드로 하셔야 합니다.
지속 딜교에서는 상대가 안 돼요. 

하나 희망적인 건 티모 상대로 정글러들이 갱을 잘 와준다는 겁니다.ㅎㅎ
정글 동선에 맞춰서 라인 관리만 잘 하시면 그렇게 어렵진 않습니다.



Pantheon(판테온)[판테온] - 불리함 (4:6)
룬 :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 TasteOfBlood(피의 맛)TreasureHunter(굶주린 사냥꾼)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Fiora(피오라)[피오라] - 보통 (4:6 ~ 6:4)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Ninja Tabi(판금 장화) - Trinity Force(삼위일체) - Executioner's Calling(처형인의 대검) - 유동적으로

 나르 vs 브루저 중에 손을 가장 많이 타는 매치업입니다.
프로 무대처럼 갱의식 다하고 완벽한 수준으로 게임하면 나르가 6:4 정도로 유리한 매치업인데

일반인 중에 이렇게 게임하는 사람이 어딨겠어요.. 저처럼 솔랭이나 돌리는 사람이 느끼기에
라인전 초반은 피오라가 유리하고 Ninja Tabi(판금 장화)가 뜨면 그 때부터 진짜 5:5 손싸움인 것 같아요.
그리고 템이 뜨면 뜰 수록 나르가 유리해지다가 2코어가 넘어가면 피오라가 벨류는 더 높은데
그 때부터는 5:5 한타 유도 계속하면 한타에서는 나르가 훨씬 좋습니다.


Fizz(피즈)[피즈] - 보통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Hexdrinker(주문포식자)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Heimerdinger(하이머딩거)[하이머딩거] - 불리함 (4:6 ~ 3:7)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SecondWind(재생의 바람)Unflinching(불굴의 의지)    시작 아이템 :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템트리 :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 Trinity Force(삼위일체) - 유동적으로

 딩거는 우리 팀이 1레벨에 탑가서 포탑 3개를 지워주면 6:4로 유리합니다.
근데 포탑 안 지워주면 4:6으로 불리합니다. 그렇게 딩거가 1코어가 뜨면 3:7으로 불리해집니다.




Hecarim(헤카림)[헤카림] - 유리함 (7:3 ~ 9:1)
룬 :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 BonePlating(뼈 방패)Overgrowth(과잉성장)    시작 아이템 : Doran's Blade(도란의 검)
템트리 : 

 공략을 작성하는 현 시즌을 기준으로는 헤카림은 탑보다 정글에 훨씬 많이 등장하는데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탑에 많이 등장 했었습니다. 그때 기억을 바탕으로 작성해보면








마치며
 아직 다 완성하지 못 했는데 종종 생각날 때마다 와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공략'이라는 카테고리에 맞게 최대한 자세히 작성했는데 가독성이 좋을 지는 잘 모르겠네요..



이 공략에 대한 당신의 평가는?
  • 글만 읽었는데 다 해본 느낌! 완벽해요!
  • 좋네요. 조금 다듬으면 베스트 공략감!
  • 제 생각에 이건 좀 아닌거 같아요.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2명
50% (1표)
0% (0표)
50% (1표)
 

코멘트

코멘트(0)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서형준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isms 인벤 온라인 서비스 운영
바로가기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