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44.4 (+94) | 2242.4 | 마나 | 272.2 (+40.0) | 952.2 |
공격력 | 69 (+4.2) | 140.4 | 공격 속도 | 0.625 (+1.44%) | 0.778 |
5초당 체력회복 | 8.93 (+0.85) | 23.38 | 5초당 마나회복 | 7.21 (+0.45) | 14.86 |
방어력 | 38 (+5) | 123 | 마법 저항력 | 32.1 (+2.05) | 66.95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125.0 | 125.0 |
- 마법 관통력 +0.87x9
- 방어 +1x9
- 레벨당 주문력 +0.17x9
- 주문 흡혈 +2%x1
- 주문력 +4.95x2
- 마법 관통력+7.83
- 방어+9
- 주문력+37.44
- 주문 흡혈+2%

제 6번 룬페이지입니다.
이 룬페이지 외에도 2,3,12번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90%는 이 룬페이지로 간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총 13325 IP를 준비하시면 만들 수 있는 룬페이지 입니다.
Q. 왜 문양에 마법 방어력을 사용하지 않는가?
A. 라인전 시작 초반에는 스킬 데미지보다 평타가 더 아픈 경우가 많고
한타중 적 AP딜러에게 포커싱을 당할 확률이 매우 적으며 중반에 승부봐야 하는 초가스에게 성장AP는 꿀입니다.
Q. 주문 흡혈룬?
A. 초가스에게는 라인전 꿀 패시브가 있지만 체력이 모자란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 데미지, 계수도 좋은데 이걸 그냥 데미지로만 쓰기에는 아깝죠.
주문흡혈 아이템을 뽑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 2%로 체력을 충당합니다.
+2014.11.26/ 패치 전 도란검에 흡혈룬 하나를 박아서 흡혈을 조금이라도 더 하는것과 비슷합니다.
2014.11.24
궁금하신게 있으시면 덧글이나 친추로 질문해주시면 됩니다.
2014.11.26
Q. 문양에 마법관통 하나?
A. 표식에 마법관통을 전부 끼우면 7.8로 반올림해서 8이 적용되는데 문양에 마법 관통룬을 하나 추가하면 8.5로
반올림해서 9가 적용됩니다. 적이 기본 마법방어력인 초반에는 관통력 1 차이가 크죠.
2014.12.1
룬페이지 수정했습니다.

특성은 다른 AP딜러들과 별로 다를게 없습니다.
미드, 탑으로 갈 때 사용하는 특성이며 어느 상대가 오든 이 특성으로 상대합니다.
2015.10.23
인벤 특성 고장나서 새로 캡쳐했습니다.
==========================================================================================================
OFFENCE


1. 분노vs마술
전에는 마술을 사용했지만 지금은 분노를 사용합니다.
초가스에게는 강력한

공속이 부족해서 아쉬운 점은 있었으나 쿨타임이 느려서 아쉬운 점은 없었습니다.
쿨타임은 항상 아이템으로 40%를 채워놓기 때문에 분노을 사용합니다.


2.포식vs약점 노출
체력3마나1, 피해량1% 여기서 항상 고민하게 되는데 저는 포식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초가스의 스킬들은 궁극기를 제외하고 전부 광역 스킬인데
주문 흡혈은 광역 스킬에 1/3만 효과를 받을 뿐더러 라인에서 싸우다보면 미니언이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를 위해서 포식을 찍고 최대한 미니언 사이에서 딜교하며 회복으로 이득을 챙김으로써 라인전 격차를 벌립니다.
또 약점 노출은 초가스의 E스킬에도 효과를 받지만 다른 스킬들의 쿨타임이 길어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습니다.




3.연성vs처형인,위험한 게임
초가스는 평타, 스킬을 자주 사용하며 다이브, 역전에도 능한 챔피언입니다.
하지만 포식vs약점 노출에서와 비슷한 이유입니다.
데미지를 조금 더 입힐 바에는 생존력에 투자하는 편이 낫다고 보기 때문이죠.
심지어 위험한 게임에 투자하면 처형인 3포인트를 기본으로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데미지까지 올라가죠.
개꿀..
==========================================================================================================
DEFENCE


1.회복력vs마법의 갑옷
초가스는 기본 스텟이 굉장히 우수합니다.
체력이며 기본 방어력이며 체력 회복. 거기에 궁극기 스택까지 쌓으면 추가 체력까지!
회복력을 찍으면 극초반 라인전에서는 효과를 볼 수 있겠지만 초가스의 체력을 채우기에는 무리가 조금 있습니다.
고로 5%지만 마법의 갑옷에 투자해서 추가 방어력을 얻읍시다.
2015.10.23


2.회복력vs신속
초가스는 뚜벅이 입니다.
==========================================================================================================
UTILITY

1.재빠른 발놀림
3포인트까지 투자하면 이속 왕룬 하나의 효과를 볼 수 있죠.
근접 공격 챔피언이며 궁극기로 인해 이동속도가 필요한 초가스에게는 좋은 특성이지만
효과가 미미하고 디펜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2.명상
마나 소모가 심한 초가스에게는 으앙! 마나가 부족해! 하는 상황이 많이 일어날텐데요.
제 공략의 초가스는 그럴 일이 없다고 보셔야 합니다.

3.소환사의 통찰력
유틸리티 특성을 찍는 이유죠!
점멸과 점화를 쿨타임마다 사용하는 저로써는 굉장히 탐나는 특성이지만..
제 템트리에는 초반 생존력이 더 중요하다 생각되어 포기한 특성입니다.
조금 더 연구해서 사용하기 위해 보류중입니다.
초반의 초가스는 딜이 부족하고 순간이동을 사용해도 이동스킬이 없으므로 갱을 성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순간이동은 역시 마오카이, 헤카림, 나서스, 나르같은 챔피언들이나 쓰는거죠.











재사용 대기시간: 6초

재사용 대기시간: 11/10.5/10/9.5/9초

재사용 대기시간: 8/7/6/5/4초
몬스터 대상 최대 피해량: 200 (사정거리: 500)

재사용 대기시간: 80/70/60초
- 미니언과 에픽 몬스터가 아닌 일반 몬스터 처치로는 최대 6중첩까지만 얻을 수 있습니다.
초가스가 10중첩 시 최대 크기에 도달하고 공격 범위 보너스도 최대가 됩니다. (사정거리: 20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제 초가스는 Q,
E가 아닌
W를 먼저 마스터합니다.
물론 데미지는 Q가 가장 우수하지만 적중에 실패했을때의 리스크가 너무 크고
쿨타임이 짧아 난발하면 순식간에 마나가 0이 되고 적의 쉬운 타겟이 됩니다.
또 W스킬은 레벨을 올릴수록 침묵 시간이 늘어나는데에 비해
Q스킬은 데미지만 증가하기 때문에
W를 먼저 올립니다.
적중률이 낮지만 데미지가 높은 스킬 vs 적중률이 높으며 활용도가 높으며 데미지까지 우수한 스킬.
누가 봐도 후자가 더 좋아보입니다.
또 스킬마다 판정이 있어서
Q스킬은 초가스가 보고있는 방향의 반대쪽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가스가 한바퀴를 뱅글 돌고
W스킬은 캐스팅중에 초가스 앞에만 있으면 어디를 가도 스킬을 맞고
E스킬은 데미지 판정이 애매해서 맞지 않는 경우도 있고 사거리 밖이지만 맞는 경우도 있습니다.
궁극기는 0.25초동안 초가스 바로 앞에 있지 않으면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으며
포식을 위해 잠시 머리를 숙이는중 시야가 사라지면 스킬이 취소되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스킬 콤보는 ' 적에게 스킬을 적중시킬수 있는가 ' 에 달렸습니다.
기본적인 콤보는 누구나 아는 이지만 적 챔피언에 따라 바뀝니다.
예를 들어 탈출 스킬이 있는 라이너. 같은 챔피언들은
WQR을 사용하고
탈출 스킬이 없으며 이동 방해 스킬이 있는 챔피언.같은 챔피언들은
QRW,
QWR.
여기서 쓰면 끝도없이 길어지니 나머지 챔피언 상대법은 카운터픽에서 쓰겠습니다.
하지만 말로는 쉬운 스킬 적중. 맞춰보려면 많이 힘들죠.
만약 적이 타워 옆에 있으며 체력이 반 이하라 QWR이면 충분히 잡는다. 라는 상황인데
Q스킬을 적중시키지 못했을 경우에는
점멸-
W-
R-
점화 킬!
하지만 CC로 반격 준비가 되어있거나 적의 이동속도가 매우 빠르거나 적이 지원을 할것 같다. 한다면
점멸-
R-
W-
점화 로 순서를 바꿔주셔야 합니다.
궁 스택을 쌓지 못하지만 신경쓰면 지는겁니다. 다이브하다 죽거나 궁을 못써서 못잡을수도 있습니다.
초가스의 스킬 자체가 단순하고 판정도 구식이니 콤보는 이정도면 충분할거라 생각합니다.
위에서 얘기했듯 초가스의 스킬 판정은 구식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사기적인 판정을 만들수도 있고 분명 맞을 각인데 맞지 않는 스킬이 될 수도 있습니다.
사기적인 판정이 가능한건 W뿐이지만 이것으로도 아주 큰 효과를 발휘할수 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궁점멸같은 경우는 챔피언 바로 앞에만 있으면 적용되지만
W는 시전 즉시에 초가스의 사정거리 안에만 있으면 어디를 가든 W데미지와 침묵이 들어갑니다.
하지만 W 시전 할 때 사정거리 밖에 있던 챔피언이 점멸로 사정거리 안에 들어오면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자세한것은 영상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스킬 캐스팅중에만 사정거리 안에 들면 집으로 귀환해도 데미지가 들어가죠.
잘 활용하면 적에게 ' 나는 빡빡이다 ' 를 시키고 점멸로 도망가려는 적을 미리 시전해준 W로 죽일 수 있습니다.
*추가.
의외로 이걸 모르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초가스가 궁극기 스킬이 있을 때
궁극기 한방에 죽을 체력이 되면 적 챔피언 아래에 이빨 모양이 뜹니다.
하지만 이빨 모양이 뜨는건 0.5~1초정도 뒤에 뜨니 ' 이쯤에서 죽겠구나! '하면서 써주는게 맞습니다.
초가스를 연습중에는 어쩔수 없이 이빨이 뜰때까지 기다려야 하지만 말이죠.



탑,미드 어느 라인을 가든.
어떤 챔피언을 만나든.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도란은 마나 수급과 딜을 담당하며
체력 포션은 유사시 빠른 체력 수급으로 적의 킬각을 무효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죠.
핵심 아이템

라인전에는 마나가 줄지 않으며 체력도 올려주고 데미지까지 올라가기 때문이죠.
반드시 3도란은 기본 빌드로 가셔야합니다.
블루없이 QW딜교를 하면서도 마나가 부족하지 않으려면 3개를 가는게 맞습니다.

라인전에서는 주문력, 패시브, 특성, 룬, 기본딜로 괴물같은 회복력을 보여주고
쿨감 10%도 꿀이면서 후반에는 Q 한방에 800씩 차는 엄청난 회복력을 보여줍니다.
앞에서 논타겟 다 맞아주고 미니언 몰아먹으면 다시 풀피가 되는 마술을..
또 한타중에 너무 맞아서 들어가면 죽을것 같다. 싶을때는 근처에 있는 유령. 칼날부리에 Q를 쓰시면 또 체력이 찹니다.
더러운 회복력으로 더럽게 이겨봅시다.

쿨감만 봐도 풀템전에서 쓸 정도로 좋은 아이템입니다.

모렐로노미콘과 같이 쿨타임 감소로 인해 풀템전에서도 사용하는 아이템입니다.
최종 아이템









왠만한 게임. 80%의 게임들이 전부 이 최종 아이템으로 게임이 끝납니다.
아이템 빌드

800원이나 1300원정도를 모아서



아이템 빌드에는




그 반대로 기동력이 필요한






하위템을 사려면 도란을 팔아야하기 때문이죠.

적에서 초가스가 강한 줄 모르고 포커싱을 하지 않으면

2014.11.26
Q.라인전에서 전 도란 2개까지 사고 원레 쿨감템 갔었는데 흡책 먼저 가야되나요?
A.총까지만 가도 충분하고 돈이 된다면 쿨감템을 가는게 좋습니다.
Q.2코어로 존야 아니면 데켑을 올리는데 깡주문력이 나을까요 돈 더 모아서 존야에 공허의 지팡이가 나을까요?
A.존야는 하나의 생존템이자 딜템입니다. 적이 초가스를 먼저 공격하거나 AD챔이 많으시면

돈이 남으면서 적이 초가스를 물지 않고 적에 CC또한 적다면

공허의 지팡이는 이 둘중 뭐를 가든 적이 마법 방어력 아이템이 있다면 필요한 아이템이구요.
+2015.2.9

제 대전기록 보시고 다들 물어보시기에 써봅니다.
제 대전기록의 초가스에는 대부분 메자이가 있는데요.
저는 게임이 오래 가는것을 싫어하고, 초가스의 강한 중반딜을 더욱 극대화 시키기 위해
흡총의 생존과 고서의 쿨감으로 인한 기회를 포기하면서까지 메자이를 갑니다.
타이밍은


메자이를 사는데 아직 용이 살아있다면 팀을 전부 모아서 용한타를 유도해봅시다.
+2015.3.19

기본 옵션 자체는 초가스에게 굉장히 좋습니다.
하지만 전류 옵션이 마음대로 나가지 않고, 스킬을 자주 사용하지도 못할 뿐더러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사거리도 조금 부족한 감이 있어서 좋은 아이템은 아닌듯 합니다.
+2015.4.2
무난한 상황의 템트리
아이템 빌드, 최종 아이템 그대로 가시면 됩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잘커서 케리해야 할 때의 템트리
저는 요즘 케리해야겠다. 싶을때는





메자이를 먼저 올려서 모 아니면 도의 도박을 시작합니다.
그 이후 템트리는 똑같고

심하게 망했을 때의 템트리
심하게 망했을 때는 팀의 템트리, 적의 조합을 봅니다.
팀이 탱이 되는 챔피언이 아예 없다면 템을 전부 팔고 스택을 쌓으며 탱으로 전향합니다.
하지만 탱이 되는 챔피언이 없더라도 적이


아이템을 유지하시면서


+2015.7.15






초가스 챔피언 자체가 하나로 올인하지 않으면 딜, 탱 두 역할 다 수행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바루스의 포킹, 제라스의 포킹이 한번에 들어와 물리/마법 피해를 둘 다 견뎌내야 하는 상황이라면
이 때만큼

그 외에는 같이 쓰이는 일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중요한 중반에 데미지가 나오지 않을 뿐더러 가격 또한 비싸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몇판 사용해본 결과.
적 AP,AD 둘 다 잘 큰 상황.
한타는 충분히 이기지만 이니시가 없는 팀.
적의 이동 속도가 빨라

그 외에는 가격. 부가효과 때문에 다른 아이템을 선택하시는게 더 좋았습니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어느 라인에서 만나든 고통받습니다.
1. 인간형 챔피언으로 크기가 매우 작아 Q를 맞추기가 어렵습니다.
2. 노 코스트에 피 수급이 되는 챔피언으로 라인전이 지속될수록 점점 불리해집니다.
3. 블라디는 성장형 챔피언인 반면 딜초가스는 중반 케리형이기 때문에
라인전이 오래 지속되면 손해입니다.

어느 라인에서 만나든 고통받습니다.

텔이라도 있다면 마오카이는 로밍까지 가서 울팀을 터뜨리죠 펑펑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바보됨


보통은 ★★★개이며 컨트롤+F로 챔피언 이름을 입력해서 찾으시면 수월합니다.
탑



















미니언 사이에 껴서 리븐이







9렙쯤부터 라인을 버리면서 모데를 노리지 말고 적 정글러를 노립시다.













우리 타워 앞에서 미니언이 타워를 때리지 않도록 똑같이 더티파밍 하세요.
























딜 넣으세요. 라인 밀려서 분노스택 쌓으면 힘들어집니다.




킬각이 나와도 수류탄+궁극기 타워로 역관광을 당할수도 있으니 딩거 딜+미니언 회복+타워 파괴를 노려야합니다.

미드




럭스는 실드가 있고



패시브 발동으로 분신이 생기면 멀리 뛰고있는게 분신일 확률이 높으니 서있거나 가까이 있는거 잡아먹으세요.





잘하면 질 확률이 높고 못하면 케리의 발판!

















하지만 파밍은 쉬우니 CS먹고 정글몹을 먹고있는 적 정글러를 노리세요.

때문에 카사딘이 궁 한번이면 타워 옆이기 때문이죠.








그래도 몸이 약하니 딜교를 많이 해두면 로밍을 막을수 있습니다.





라인전은 정말 별거 없습니다.
딜 스킬이 두개뿐이다 보니 그냥 W만 쿨마다 적에게 써서 체력을 줄이고 킬을 노리는것뿐이죠.
초가스같은 경우에는 와드는 있으면 좋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정글러가 갱을 와도 정글러나 적 라이너 둘중 하나는 죽기 때문이죠.
미드에서 체력이 부족하다면 정글 잔몹만 먹어서 회복하시고
적 라이너가 킬각을 안주면 궁을 아끼지 마시고 큰 정글몹을 먹으시면 됩니다.
절대 궁을 미니언에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라인전, 초반까지는 초가스의 유지력과 기본 데미지가 OP라 아무도 막을수가 없습니다.
다만 딜 초가스는 유통기한이 있으니 초반-중반까지 이득을 많이 보셔야합니다.
생각날때마다 적팀의 칼날부리.레이스에 와드를 깔아놓고 적 정글러가 체력이 없으면 적 정글러를 노리시면 됩니다.
물론 적 라이너가 못한다면 라이너를 먹고 크시면 됩니다.
파일럿의 기량으로 승부봐야 하는 시간입니다.
딜초가스는 유통기한이 굉장히 심하기 때문에 3,4인분을 하거나 오더를 하거나 빨리 끝내지 않으면
초가스가 아무리 잘 커도 이길 방법이 없습니다.
35분까지는 끝내셔야 합니다.
후반까지 왔다면 망했다고 봐야합니다.
이때부터는 파일럿 기량이 150%는 발휘되거나 미친 오더로 케리하거나 팀의 케리를 받아야 합니다.
초가스는 다른 라이너들을 서포트하며 적을 무력화하는데에 힘을 써야합니다.
그리고 절대 다른 라인으로 가지 마세요.
초가스가 없으면 순식간에 팀이 터집니다.
적의 성장, 시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적의 딜러가 잘 컸다?
중반.
Q
W
R
점화 원콤으로 적팀의 딜러에게 공허의 무서움을 보여줍시다.
한번에 죽으면 함부로 앞에 못나옵니다.
적 딜러를 잡을만한 상황이 안나오면 탱커부터 삭제시키고 도망치셔야 합니다.
후반.
Q를 최대한 적 딜러에게 맞추고
W
R은 우리팀 딜러를 무는 적을 위해 사용합시다.
아무리 잘 커도 다굴에는 장사가 없으니 팀을 최대한 살리셔야 합니다.
적의 탱커가 잘 컸다?
중반.
잘 큰 탱커가 처럼 딜까지 나오는 탱커면 답이 없습니다.
적의 딜러는 우리팀 탱커가 버티라고 하고 얘들부터 잡아야합니다. 스킬을 다 쏟아부으세요.
처럼 탱만 하는 탱커면 무시하시면 됩니다.
천천히 적 딜러부터 잡은 뒤 정리하시면 됩니다.
후반.
위처럼 딜까지 나오는 탱커면서, 팀의 딜러가 잘 큰 상대가 아니라면 서렌치셔야합니다.
탱만 하는 탱커라면 그나마 할만하니 딜러부터 잡으시면 큰 문제가 안됩니다.
카운터픽에서는 난이도만 다뤘으니 상대법이 궁금한 챔피언이 있으시면 덧글, 귓으로 질문해주시면 됩니다.
인벤 우편함은 안봅니다.
+2014.12.07

원거리 딜러에 밀어내기도 있고 궁극기를 배우면 역관광까지 가능한 원딜러입니다.
초가스는 모든 원거리 딜러들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는데요.
그것도 3렙까지만 힘듭니다.
Q-W-W를 배운 순간 미니언을 먹기 수월해지고 딜교까지 쉽게 하기 때문이죠!
일단 리븐 나서스를 제외한 모든 챔피언 상대로 2렙까지는 많이 사려야합니다.
2레벨부터는 W견제를 시작해서 체력을 조금 빼둔 뒤
3렙부터 활발하게 견제하면 체력이 없어서 사리는 퀸을 보실 수 있으실텐데.
거기서 조금 더 나가서 4레벨에 퀸의 체력이 반이 되면 W-Q-평-점화로 킬을 노려볼 수도 있습니다.
6레벨에는 궁극기가 생기니 적 정글러가 와도 하나는 반드시 따구요.
적 퀸이 체력이 없어서 E로 거리를 유지하려 한다면 물어뜯어버립시다.
+2014.12.21
헤카림.
헤카림은 1레벨도 무섭지만 2레벨부터 굉장히 매서운 상대입니다.
Q스킬의 기본 데미지나 계수, 쿨타임까지 좋으니 라인에서 너무 앞에 나와있으면 솔킬을 당하기 쉽죠.
하지만 헤카림은 모든 스킬이 '근접' 스킬이며 Q
W는 광역 데미지 스킬입니다.
미니언 옆에서 헤카림의 스킬을 유도해서 라인을 밀게 하고. 초가스는 타워 옆에서 파밍과 딜교를 시도하면
상대하기가 굉장히 편해집니다.
헤카림을 상대할때 가장 중요한건 Q 스택을 쌓아서 쿨타임이 감소했을때는
W로 초기화 시키고
를 사용하여 체력 회복을 하려하면
Q로 미니언에 데미지를 주지 못하게 막으면 아주 쉬운 상대가 됩니다.
3렙전의 야스오.
1레벨에 E를 배우거나 2레벨이 된 야스오는 굉장히 위험합니다.
초가스는 데미지 스킬이 하나밖에 없지만 Q스킬은 적중시키기 어렵고
W는 야스오의 실드만큼의 데미지가 나오기 때문이죠.
상대하는 방법은 별거 없습니다. 야스오가 근접하면 E로 패시브 실드를 빼주고
W로
야스오의 E스킬을 봉인한 뒤
Q 적중에 성공하면 그 이후는 야스오가 알아서 사리게 됩니다.
하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그냥 타워 옆에서 밀린 CS 먹는거죠.
4렙부터 복수를 하기위해 버팁시다.
+2015.2.9
문도.
초가스 vs 문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초가스가 불리해집니다.
미드에서 아무리 잘 크고 스왑으로 상대해도 문도가 마방 조금만 두르면 초가스가 지기 쉽습니다.
문도의 궁, 마방템이 없을때 견제를 잘 해줘야 합니다.
4렙전까지만 체력을 40% 이하로 만들어주면 문도가 식칼만으로 파밍을 하려 할텐데.
미니언쪽으로 던진다면 몸으로 막고 초가스쪽으로 던진다면 최대한 피해줍시다.
그 후 궁을 사용할텐데 체력이 줄어드는 타이밍에 맞춰서
로 마무리해줍시다. 이게 처음이자 마지막 킬각일테니 잘 노려주셔야 합니다.
성공하든 실패하든 라인만 쭉 밀고 두꺼비/골렘에서 궁극기를 사용해서 문도보다 강력하게 성장해야 합니다.
1년 전부터 지금까지만 해도 딜 초가스는 발굴도 안되고, 대회도 안나오고,
아무도 시도하지를 않으니 지인의 권유에도 공략을 안쓰고 혼자 꿀을 빨고 있었는데.
최근에 주변에서 초가스를 많이 하고 제 템트리를 따라하는 사람이 많아서 이제서야 공략을 쓰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딜 초가스라고는 해도 영겁의 지팡이는 가기 마련인데 저는 영겁의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너무 비싸기도 하고 초반이 너무 약해서 이거 뽑을 돈으로 사면 훨씬 효율이 좋기 때문이죠.
더럽게 가독성 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친추하실때는
' 인벤에서 보고 친추드렸습니다 ' 메시지정도는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