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558 (+101) | 2275 | 마나 | 385 (+20.0) | 725 |
공격력 | 55.5 (+2.7) | 101.4 | 공격 속도 | 0.658 (+1.36%) | 0.81 |
5초당 체력회복 | 7 (+0.55) | 16.35 | 5초당 마나회복 | 8 (+0.8) | 21.6 |
방어력 | 19.04 (+4.2) | 90.44 | 마법 저항력 | 30 (+1.3) | 52.1 |
이동 속도 | 340.0 | 340 | 사정 거리 | 550.0 | 550.0 |
- 방어구 관통력 +1.13
마법 관통력 +0.62x9 - 방어 +1x9
- 주문력 +1.19x9
- 공격력 +2.25x3
- 방어구 관통력+10.17
- 마법 관통력+5.58
- 방어+9
- 주문력+10.71
- 공격력+6.75
- 흉포: 0
- 책략: 0
- 결의: 0





















재사용 대기시간: 1초
체력: 130~640(8레벨까지는 0.05AP 고정 / 18레벨에서 최대치 0.45AP 증가)
공격 - 대포: 매 공격 당 7/11/15/19/23 (+0.35AP)의 마법 피해
공격 - 광선: 매 90초당 직선 상에 40/60/80/100/120 (+0.55AP)의 마법 피해, 근처 포탑이 W스킬로 챔피언에 적중시킨 각 로켓 당 광선이 20% 충전, E가 적 챔피언에게 적중하면 100% 충전됩니다.
설치할 수 있는 최대 포탑 수: 3 (사정거리: 250, 범위: 625)

재사용 대기시간: 11/10/9/8/7초
(최대 피해량: 90/135/180/225/270 (+0.81AP)
챔피언에게 적중하는 로켓 하나당 근처 포탑이 20% 충전됩니다.
(사정거리: 1325)

재사용 대기시간: 11초
업그레이드!!!된 E - CH-3X 전격 수류탄
피해량: 100/200/300 (+0.6AP) (사정거리: 970, 범위: 250)

재사용 대기시간: 100/85/70초
H-28Q 최첨단 포탑: 포탑을 설치하면 8초 동안 대포로 80/100/120 (+0.3AP)의 마법 피해를, 광선으로는 100/140/180 (+0.7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이 포탑은 광역 피해를 입히고 이동방해에 면역이며, 대상의 속도를 25% 늦추며, 포탑 최대 제한 갯수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마법공학 로켓 연사: 로켓들이 4번 연속 발사되며 한 번에 135/180/225 (+0.45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챔피언과 몬스터의 경우 여러 발에 맞으면 받는 피해량이 줄어듭니다. (최대 500/690/865 (+1.83AP))
CH-3X 전격 수류탄: 세 번 튕기며 전류를 방출하는 반동 수류탄을 던져 150/250/350 (+0.75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기절과 둔화 적용 범위가 모두 커지며, 둔화 비율이 80%로 상승합니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잘 아시니 생략하겠습니다.
포탑 설치 위치는 아시다시피 삼각형 형태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경우에 따라 직선으로 설치하여 포탑을 향해 도주하며 데미지를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적이 대쉬할 듯 한다면 E를 아껴두셨다가 딩거의 포탑에 집중 공격받을 때 E로 기절시켜 최대한 많은 데미지를 줍니다.
3렙때 W 대신 Q 2렙 찍는 것도 나쁘지 않는 선택입니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무시무시한 독뎀에 기죽지 말고 평타 딜교를 하세요.
50%이하로 떨어지면 즉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정감 있게 체력 회복 후 다시 딜교하세요.

때문에 바람장막이 펼쳐지면 스킬 사용을 자제하시고 적절한 무빙으로 떨어지면서 바람장막을 피해 데미지를 줘야합니다.
Q 회오리로 딩거에게 짤짤이를 넣어도 체력이 빠르게 회복되기에 크게 문제는 없는데 딩거의 포탑을 파괴하는 목적이라면 좀 곤욕스럽지만 파괴되는 속도 못지않게 부품이 조달되기에 이또한 큰 문제는 없습니다.
가능하면 야스오 쉴드가 활성화 되면 CS를 먹으려고 할 때 평타로 파괴하고 대쉬의 기회를 주지 마세요.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시작하자마자 자신의 라인에 포탑을 미리 세개 설치합니다.
설치 중 방해를 받는다면 평타로 괴롭힙니다.
상대가 점화를 들고 딜이 쌔다면 50%정도의 체력을 뺀 후 안전하게 포탑쪽으로 빠집니다.
서로 딜교를 해서 체력이 빠졌어도 회복 구슬 템을 갖추고 재생력이 우수한 딩거는 금세 체력을 회복합니다.
적의 챔프의 체력이 많이 떨어졌을 경우
적의 챔프의 체력과 마나, 스펠 등이 많다면 무리하게 밀지는 마세요.
적 체력이 낮을 경우 상대 정글러가 와도 2:1은 상대 가능하며 킬도 따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누구에게 탈진을 걸고 평타와 함께 집중 공격할 건지 입니다.
생존력이 떨어지는 딩거가 퇴로가 끊긴다면 자신의 포탑 주변을 무덤으로 삼고 끝까지 싸우는 게 좋겠죠.
싸우는 장소는 수풀이 가장 좋습니다. (위에서 언급했 듯이 미리 수풀과 수풀 근처에 포탑을 설치하고 수풀에 숨어 적이 오길 기다리다 궁 포탑을 설치하여 역습을 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하나 정도는 수풀에 설치하여 상대를 놀라게 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전투중에 체력이 많이 떨어져 회복할 시간이 없으면 그때는 꽁쳐뒀던 포션 1개를 드십시오.
(서로 승패 예측이 어렵고 죽을 위기의 싸움이 시작될 거 같을 때 싸움 시작과 동시에 포션을 드세요.)
또 적의 정글러가 올 거 같고 체력이 떨어져 있다면 만전을 기하기 위해 미리 포션을 드십시오.
체력은 걱정없고 마나가 문제인데 최소 E를 사용할 마나는 항상 남겨둬야 합니다.
운이 좋으면 상대는 집을 다녀오고... 라인을 미는 쪽이기 때문에 딩거가 우선적으로 6렙을 찍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기동력이 떨어지는 딩거로 상대를 잡기는 힘들죠.
기회라면 상대가 무리하여 들어오거나 자만심에 뭉친 정글러와 함께 들어와 역킬을 따내는 게 있죠.
라인을 밀면 상대 정글러가 자주 올 가능성이 있기에 다른 라인의 아군은 편안히 즐길 수 있기도 합니다.
여유 되시면 핑와를 박아 두세요.
웬만하면 라인이 안밀리기에 삭제될 가능성은 적정글러가 아닌한 없습니다.
첫 코어템으로 존야를 목표로 합니다.
존야를 갖추면 무서울 게 없습니다.
단, 상대가 무난하게 컸고 사용 후 대기시간이라면 활성화 될 때까지 전투는 가급적 피하세요.
상대 포탑을 파괴하고 로밍을 다니면서도 자기 포지션 포탑을 지키고 싶다면
즈롯과 지휘관
아이템을 갖추는 것도 꽤 좋은 선택입니다.
지키는 것 뿐아니라 라인을 밀어 상대에게 큰 압박을 주기도 하죠.
적의 기습으로 한타가 열릴 거 같으면 싸움의 중심터를 빨리 간파하여 그곳에 일반 포탑과 궁으로 을 세웁니다.
CC기가 강력한 적들이고 뭉쳐서 우루루 다가온다면
궁 로 여럿을 잠시 묶어서 공격흐름, 박자를 흐트려 놓는다면
꽤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른 공략집 참고
다른 공략집 참고
다른 공략집 참고
다른 공략집 참고
회복 구슬 X 3 이 없다면 무의미한 공략입니다.
개인적으로 딩거는 초중반까지는 강력하지만 후반에서는 아무리 성장을 잘해도 다른 전형적인 탑 챔프(리븐, 잭스 등)
에 비해 약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더군요.
그래서 저의 경우는 되도록 아군에게 킬을 양보합니다.
그게 승리에 더 보탬이 되더군요.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