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84명

89.3% (75표)

2.4% (2표)

8.3% (7표)
폭군 스웨인이 말하는 폭군 스웨인





이 글은
에 대한 전문적인 견해를 담고 있다기보다는
이라는 친구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기본적인 설명서에 가까워요. 특히
에 입문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작성했어요.










소환사 주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595 (+99) | 2278 | 마나 | 400 (+28.5) | 884.5 |
공격력 | 58 (+2.7) | 103.9 | 공격 속도 | 0.625 (+2.11%) | 0.849 |
5초당 체력회복 | 3 (+0.5) | 11.5 | 5초당 마나회복 | 10 (+0.8) | 23.6 |
방어력 | 25 (+4.7) | 104.9 | 마법 저항력 | 31 (+1.55) | 57.35 |
이동 속도 | 330.0 | 330 | 사정 거리 | 525 | 525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핵심 룬(주 빌드)
저는 주로
을 핵심 룬으로 사용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룬이
과 어울리지 않다는 것은 아니에요. 자신에게 잘 맞는 룬을 사용하세요.



감전
지배의 핵심 룬 중에서
이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룬이에요.
의 견제는 대개 
으로 시작하는데, 이를 통해 발동 조건을 쉽게 충족할 수 있어요.




이번 8.16 패치로 데미지와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했는데, 라인전에 서는
이 사용하기에는 더욱 좋아졌어요. 어쩌면
을 대체하는,
의 새로운 주력 룬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콩콩이 소환


이번 8.16 패치로 초반에 주는 데미지가 감소하여
의 메리트 또한 감소했어요.


난입

라인전에서는 

(기본 공격) 콤보 후에 기본 공격을 더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해요. 하지만 상대가 
같이 위협적인 CC기(
)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콤보 후에 곧바로 물러나는 용도로 사용해야 해요.







※ 그렇다고 이런 친구들을 상대로
의 효과를 과신해서는 안 돼요.

한타에서는
을 사용한 후에 빠르게 진입하거나 상대의 스킬을 회피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 이는
로 어느 정도는 대체할 수 있어요.


착취의 손아귀

초록색 손이 인상적이기는 한데,
에게 적합한 룬은 아니에요.

※ 상대가 탱커일 경우에 효율적이라는 충고가 있었어요.
일반 룬(보조 빌드)






물론 보조 빌드는 취향에 따라 정밀, 지배, 마법, 결의, 영감 모든 빌드를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자신에게 잘 맞는 것을 사용해는 것이 좋아요.
만약
같은, 마법 외의 룬을 핵심 룬으로 사용하신다면 보조 빌드로는 가급적 마법을 사용하세요.
과 마법의 룬들은 너무 잘 맞아요.


마법의 첫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가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핵심 룬인
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는 대체할 수 있는 만큼
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룬이에요. 설령
을 사용한다고 하더라구요.



※ 취향에 따라
도 나쁘지는 않아요. 특히 봇을 갈 때는 도움이 많이 되는 룬이에요.

마법의 두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마법의 세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과
모두 좋다고 생각해요.


자신에게 잘 맞는 룬을 사용하세요.




마법을 보조 빌드로 사용하신다면 이렇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해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번 8.16 패치로
이 변경되면서
의 주력 룬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어요. 설레발일 수도 있지만 아무튼 지배의 룬에 대해서도 간단하게나마 기술하고자 해요.


지배의 첫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과
모두 좋다고 생각해요.


상대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세요. 만만하면
, 안 만만하면
.


지배의 두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이 가장 무난하다고 생각해요.

물론 취향에 따라
나
를 사용해도 좋아요.


지배의 세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물론
도 나쁘지 않지만
으로 얻을 수 있는 회복량이 상당히 커요.


마법과 지배 외의 빌드는 보조 빌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룬만 기술할게요. 괄호 안의 룬은 취향이나 상황에 따라 대용할 수 있는 룬이에요.


정밀의 일반 룬 중에서는 위의 룬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
이 주 빌드로 정밀을 사용하는 경우는 없는 것 같네요.




결의의 일반 룬 중에서는 위의 룬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
이 주 빌드로 결의를 사용하는 경우는 없는 것 같네요.









영감의 일반 룬 중에서는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룬이 없어요.
자신에게 잘 맞는 룬을 사용하세요.
※
은 시작 아이템으로
을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효율적이에요.




※ 다리가 나았더라도 좋은 주문이에요.

※ 미드를 골랐더라도 좋은 주문이에요.


※ 날개가 달렸더라도 좋은 주문이에요.










굶주린 새떼 (RAVENOUS FLOCK)
스웨인이 제국의 눈, 속박명령, 적 챔피언 사망을 통해 영혼 조각을 획득합니다. 영혼 조각을 모으면 최대 체력의 3~6%를 회복하고, 영구적으로 스웨인의 최대 체력이 15 증가합니다.

죽음의 손길 (DEATH'S HAND)
마나 소모: 45/50/55/60/65
재사용 대기시간: 7/6/5/4/3초
재사용 대기시간: 7/6/5/4/3초
스웨인이 섬뜩한 번개를 5개 방출해 60/90/120/150/180 (+0.45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번개가 여러 번 적중하면 두 번째 번개부터 최초 피해량의 25%의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사정거리: 725)

제국의 눈 (VISION OF EMPIRE)
마나 소모: 60/65/70/75/80
재사용 대기시간: 22/21/20/19/18초
재사용 대기시간: 22/21/20/19/18초
스웨인이 악마의 눈을 소환해 1.5초 동안 일정 지역을 드러낸 후 70/105/140/175/210 (+0.6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1.5초 동안 50/55/60/65/70% 둔화시킵니다. 챔피언이 적중당하면 스웨인이 영혼 조각을 얻고 6초 동안 적중당한 챔피언의 모습을 드러냅니다.
미니언에 대한 피해량은 50% 감소합니다. (사정거리: 5,500/6,000/6,500/7,000/7,500)
미니언에 대한 피해량은 50% 감소합니다. (사정거리: 5,500/6,000/6,500/7,000/7,500)

속박명령 (NEVERMOVE)
마나 소모: 60/65/70/75/80
재사용 대기시간: 12/11.5/11/10.5/10초
재사용 대기시간: 12/11.5/11/10.5/10초
스웨인이 악마의 파동을 발사합니다. 파동은 돌아오며 처음으로 적에게 부딪히는 순간 폭발해 80/120/160/200/240 (+0.7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대상 지역에 있는 적을 1.5초 동안 속박시킵니다.
챔피언을 속박하면 이 스킬을 다시 사용해 속박명령으로 속박된 모든 챔피언을 끌어당겨 챔피언 하나당 영혼 조각 하나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속박명령이 속박된 챔피언의 모습을 일시적으로 드러냅니다.
챔피언을 속박하면 이 스킬을 다시 사용해 속박명령으로 속박된 모든 챔피언을 끌어당겨 챔피언 하나당 영혼 조각 하나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속박명령이 속박된 챔피언의 모습을 일시적으로 드러냅니다.

악의 승천 (DEMONIC ASCENSION)
마나 소모: 100
재사용 대기시간: 100/80/60초
재사용 대기시간: 100/80/60초
스웨인이 악을 끌어내 15/25/35 (+0.05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매초 주변 적의 체력을 15/30/45 (+0.05AP) (+추가 생명력의 1.5%) 흡수합니다. 악마의 기운은 시간이 지나면서 소진되지만 적 챔피언을 흡수해 무한히 충전할 수 있으며 챔피언 처치 관여 시 완전히 충전됩니다.
2초 후 그리고 8초가 지날 때마다 스웨인이 변신 상태에서 악의 불길을 사용해 150/250/350 (+0.5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75%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둔화 효과는 1.5초에 걸쳐 사라집니다.
챔피언이 아닌 적을 상대로는 회복되는 체력이 10%로 감소합니다.
매초 악마의 기운이 10씩 소진되며 5초 후에는 15씩 소진됩니다. 챔피언에게 흡수하는 동안에는 악마의 기운을 매초 20씩 회복합니다. (사정거리: 700)
2초 후 그리고 8초가 지날 때마다 스웨인이 변신 상태에서 악의 불길을 사용해 150/250/350 (+0.5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75%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둔화 효과는 1.5초에 걸쳐 사라집니다.
챔피언이 아닌 적을 상대로는 회복되는 체력이 10%로 감소합니다.
매초 악마의 기운이 10씩 소진되며 5초 후에는 15씩 소진됩니다. 챔피언에게 흡수하는 동안에는 악마의 기운을 매초 20씩 회복합니다. (사정거리: 700)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2레벨에
의 레벨을 올리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초반에 1레벨인
로 얻을 수 있는 이득보다
의 슬로우가 주는 이득이 더 크기 때문이에요. 앞에 미니언이 있으면 소용이 없는
에 비해 맞추기도 훨씬 쉽구요.




※
을 맞출 수 있다는 것이 기본적인 전제이기는 하지만요.


굶주린 새떼(P)

첫 번째 효과는 이동 불가 상태인 적 챔피언을 우클릭하면 살짝 끌어당기고, 영혼 조각을 하나 얻는 거예요. 여기서 누가 이동 불가 상태를 걸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아요. 예컨대 적이 아군
의
을 맞았다면 그 적에게도 사용할 수도 있어요. 바로 아래에 있는
에서 후술하겠지만 적을 끌어당기는 것은 높은 데미지를 주기 위함이기도 해요.



두 번째 효과는 근처에서 사망한 적 챔피언의 영혼 조각을 얻어 체력을 회복하는 거예요. 물론 사망한 적의 영혼 조각을 얻었을 때만 특별하게 체력을 회복하는 것은 아니에요.
의 첫 번째 효과로든
으로든 영혼 조각을 얻기만 하면 체력을 회복할 수 있어요.


이렇게 모은 영혼들은 궁극기인
의 데미지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구요.


죽음의 손길(Q)

오른손으로 왼팔을 부여잡고, 왼손에서 다섯 개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투사체를 발사하는 스킬이에요.
의
과 유사하지만 적을 처치하면 계속 뻗어나간다는 점과 여러 갈래의 번개에 맞을 경우 추가 피해를 받는다는 점, 유닛을 처치할 때마다 최대 마나의 3%를 회복한다는 점 등이 달라요. 물론 사거리도 훨씬 짧구요.


죽음의 손길 이해하기

마법 + 영감 룬을 사용하면서
를 올린
은 주문력이 35인데, 위의 그림은 주문력이 35일 때 1레벨인
의 설명이에요. 제가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문구는 두 번째 번개부터 15%씩 추가 피해를 입습니다.인데요. 이 경우 최대 피해량은



번개의 데미지(55 + 14) * {100% + 15% * 추가로 맞춘 번개의 수(4)}
로, 위의 경우에는 69 * 160%로 110이 나와요. 여기서
은 최대한 번개를 많이 맞추는, 다시 말해 멀찍이 떨어져서 사용하기보다는 적 가까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하지만 주문력도 낮은 초반에 접근에 대한 리턴으로 고작 40 정도의 추가 데미지를 주는 것이 그렇게 크다고 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답은 5레벨인
의 설명에서 찾을 수 있어요.


마법 + 영감 룬을 사용하면서
를 막 올린
은 주문력이 100 가량인데, 위의 그림은 주문력이 95일 때 5레벨인
의 설명이에요. 번개 자체의 피해량은 145 + 0.4AP로 매우 낮아요.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두 번째 번개부터 35%씩 추가 피해를 입습니다.라는 문구인데요. 1레벨에는 15%였던 추가 피해량이 5레벨에는 35%가 된 거예요. 그러므로 최대 피해량 역시



번개의 데미지(135 + 38) * {100% + 35% * 추가로 맞춘 번개의 수(4)}
로, 이번 경우에는 173 * 240%로 415가 나와요. 여타 공격 스킬들이 레벨을 올릴 때마다 기본 데미지만 소폭 상승하는 것을 감안하면
은 어마어마한 성장력을 갖고 있는 거예요. 이뿐만 아니라
은 레벨을 올릴 때마다 1.25초씩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하기 까지 해요.


위 내용을 정리하면
은 사용할 때 가까이 접근할수록, 그리고 스킬의 레벨이 올라갈수록 위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는 스킬이에요. 초반에는
을 멀찍이 떨어져서 사용하면 데미지가 너무 약하고, 
로 끌어당긴 것이 아닌 경우 근접해서 사용하기에는 리스크가 너무 커요. 결론적으로 상황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이 5레벨이 되는, 대개
가 나온 직후(9~11분 쯤)에야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을 활용할 수 있어요. 그리고 이는
의 위력과 직결되는 사항이에요.








※ 봇에 갈 때에는 이러한 단점이 더욱 두드러져요. 9레벨이나 적어도
이 나오기 전까지는 사려야 해요.


제국의 눈(W)
5레벨을 기준으로 300 + 0.7AP의 높은 데미지와 2.5초 동안 65%의 높은 둔화율을 가지고 있을 뿐더러 적중한 챔피언의 수만큼 영혼 조각을 얻고,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스킬이지만 맞출 수가 없어요. 바로 아래에 있는 [
맞추기]에서 다루겠지만
을 맞추기 위해서는
같은 다른 CC기와의 연계가 필수적이에요.



한타에서는 가급적
를 사용하기 직전에 사용하세요. 슬로우는 차치하더라도 두 명만 맞추면
로 체력을 상당량 회복할 수 있어요.


제국의 눈 맞추기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름 아닌 대기인데요. 속박된 적을 대기하지 않고 바로
로 끌어당기면
이 빗나갈 가능성이 있어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의 속박 지속 시간(1.5초)이 끝나기 직전에
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를 의식하면서 하기도 어렵구요. 그래서 저는 이 콤보를 익히기 위한 요령으로
을 제시해요.
을 사용할 때의 콤보는 이러해요.











대기가
맞춤으로 바뀌었어요.
이
에게 적합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콤보를 익히는 데는 굉장히 효과적이라고 생각해요. 연습 모드에서 대기의 감을 잡아보세요.



※ 상대가
을 올렸다면 대기하지 말고 바로 끌어당기세요.


속박명령(E)
이 스킬을 맞추었느냐 못 맞추었느냐에 따라 딜교환의 성패가 갈릴 만큼 중요한 스킬이에요. 당장 저부터도 능숙하게 사용하지 못해서 드릴 팁이 없네요.

악의 승천(R)

악의 불길(R)















하지만
은
의
과는 다르게 기본 데미지가 없어 영혼 조각이 충분하지 않으면 데미지가 매우 낮다는 점과
의
이나
의
에 막힌다는 점 주의하세요.







점멸과 연계하기














위의 그림은 

으로
을 잡는 모습이에요. 상술한 것처럼 
도 가능하고 
도 가능하지만 

이나 

은 각 스킬의 고유한 딜레이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점 주의하세요.














시작 아이템
반드시 가는 아이템
고려할 만한 아이템
아이템 순서
※ 위의 아이템 순서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에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아이템 순서를 확인해주세요.
존야의 모래시계 사용법

세 번째 사용법
다른 마법사 친구들이 
같은 AD 암살자에 대한 대응책으로
를 올린다면
은 상대 팀에 AD 딜러가 있으면
를 올린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과
는 친한 사이예요. 그런 만큼
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중요해요.








첫 번째는 스킬 회피 용도예요. 앞서 언급한 
의 
외에도
의
같이 맞으면 안 되는 스킬을
로 무시하는 거예요. 하지만 이는
에게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네요.








두 번째는 무적 상태로 체력을 회복하는 거예요. 이는 단순히 체력을 회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끔 하는 것을 말해요. 아시다시피
은
의 효과로 체력을 어느 정도 회복해야만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세 번째는 무적 상태로
을 사용하는 거예요. 위의 사진에서 보실 수 있듯이
을 무적 상태에서 터뜨리는 것으로,
의 지속 시간인 12초가 되기 1~2초 전에
를 사용하면 돼요. 상황에 따라 굉장히 유용하지만 동시에 상대가 도망가지 않도록 
을 사용하거나 같은 팀의 CC기 지원이 있어야 가능한 방법이기도 해요.






스웨인의 아이템
제가 생각하기에 적어도 아이템에 있어서는
과
이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아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첫 번째 이유는 두 친구의 역할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거예요.


















두 번째 이유는 새로운 패시브인
의 회복 메커니즘이에요.

어떤 분들은
의 회복량이 리메이크 이전에 비해 좋아졌다고 하시고, 또 어떤 분들은 나빠졌다고 하세요. 제가 생각하기에 이 논란의 핵심은
를 발동한 횟수에 있어요. 저는 궁극기를 통한 회복량은 리메이크 이전보다 낮아졌다고 생각해요. 공격하는 대상의 수와 재사용 대기시간,
과의 시너지 등을 감안했을 때 적어도 높아지지는 않았어요. 하지만
은 영혼 조각을 얻을 때마다 최대 체력의 4~7%를 회복하는 스킬인
가 있어요. 다시 말해
을 맞추면 리메이크 이전보다 회복량이 높은 거예요. 못 맞추면 낮은 거구요. 여기서
은 주문력도 중요하지만 체력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를 충족하는 아이템은 
인데요. 사실
와 상관없이
에게 적합한 아이템들이에요. 하지만
와의 시너지까지 고려하면 올리지 않을 수가 없네요.





※ 그리고 높아진 체력을 더욱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나
(
)같은 탱 아이템도 하나 쯤은 올려야 할 때가 많구요.



결론적으로
에게는 
같은 딜탱 아이템이 적합해요.
과 마찬가지로 주문력만을, 혹은 방어력이나 마법 저항력만을 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네요.




아이템 순서
첫 번째 핵심 아이템은
의 상위 아이템 중에서 상황에 맞는 것을 올려야 해요.

예컨대 상대 AP 딜러가 잘 성장했다면
을 올리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거예요.

※ 그래도 가급적
를 올리세요.

두 번째 핵심 아이템 역시 상황에 맞는 것을 올려야 하는데, 선택의 폭이 굉장히 넓어요.
무난하다면
와
(
) 중에서, 상대 AD 딜러가 잘 성장했다면
를, 상대 AP 딜러가 잘 성장했다면
와
중에서 더 맞는 것을 올리세요.






※ 그래도 가급적 

중에서 올리세요.



세 번째 핵심 아이템은 아직
를 올리지 않았다면
를 올리면 돼요. 이미
를 올렸다면
과 고려할 만한 아이템 중에서 상황에 맞는 것을 올리세요. 이는 이후에도 마찬가지지만 적어도 네 번째 핵심 아이템 안에는
을 올려야 해요.





※ 상황에 따라서
보다
을 올리는 것이 좋은 경우도 있어요. 이는 상대 팀에 탱커가 있는지, 혹은 상대 팀에
과 비슷한 친구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갈려요. 물론 두 아이템을 같이 가는 경우도 있기는 해요.



시작 아이템과 신발
일반적으로는 

을 사용하지만
을 시작 아이템으로 사용하는 것도 좋아요. 특히 영감의
을 사용할 때는 더더욱이요.





신발은 대개
같은 첫 번째 핵심 아이템이 나온 후에 올리는데, 다른 핵심 아이템과 마찬가지로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어요.





무난할 때는
이 좋은 선택이지만 그렇다고
과
이 나쁜 선택인 것은 아니에요.



챔피언 상대법은 상성이 확실한 것부터 추가할 예정이에요.
은 라인전보다는 한타에서 크게 활약할 수 있는 친구예요. 아래의 난이도는 초반 라인전을 기준으로 한 것이지 한타에서의 난이도는 아니에요. 그런 만큼 초반만 잘 버틴다면 설령 상대의 난이도가 어려움이더라도 크게 어렵지 않을 거예요.
갈리오(쉬움)
노틸러스(쉬움)
다리우스(라인전은 어려움)
으로 회복하는 체력보다
으로 잃는 체력이 훨씬 많아요. 1:1은 금물이에요.
다이애나(쉬움)
럭스(어려움)
루시안(어려움)
르블랑(초반에 어려움)
말자하(보통)
보다는
친구를 소환하는 레이저가 더 무서워요. 가장 좋은 방법은
의 각이 나왔을 때
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그게 어디 쉽나요. 와딩 잘 해놓으세요.
모르가나(매우 성가심)
문도 박사(어려움)
베이가(보통)
보다는
친구를 소환하는 마법진이 더 무서워요. 와딩 잘 해놓으세요.
브랜드(어려움)
슈렐리아의 몽상(매우 좋음)
이 올리기에는 딜로스와 탱로스가 심한 아이템이에요. 그러므로 서포터 분에게 올려달라고 정중히 부탁할 필요가 있어요.
아우렐리온 솔(매우 어려움)
아지르(어려움 ~ 매우 어려움)
애니비아(매우 어려움)
야스오(초반에 어려움)
이 나오기 전까지는
가 훨씬 우세한데, 
때문에
을 맞추는 것도 쉽지 않아요. 최소한
는 나와야 안정적으로 상대할 수 있으니 초반에 잘 버텨야 해요.
오공(매우 어려움)
오른(쉬움)
올라프(매우 어려움) : 아무것도 남기지 않겠다!
요릭(매우 어려움)
제드(보통 ~ 어려움)
제라스(매우 어려움)
의 W 스킬인
제국의 눈과
의 W 스킬인
파멸의 눈이 상당히 유사하네요. 파멸되고 싶지 않다면 닷지하는 것이 좋을 거예요.
제이스(초반에 어려움)
: 나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싸운다.
: 더 나은 미래요?
: 그러려면
의 미래가 없어야 해요.
: 
질리언(매우 어려움)
카밀(초반에 어려움)

정글 카밀(매우 어려움)
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을 죽일 수 있어요.
카사딘(보통)

녹서스 암살자(보통)
케이틀린(쉬움 ~ 보통)
클레드(어려움)
판테온(쉬움 ~ 보통)

※ 매우 어려움인 친구는 버티기가 특히 어렵겠지만요.
봇을 갈 때도 마찬가지예요. 죽음의 손길에 대한 이해에서 다룬 것처럼 초반에는 약해요.

유리한 점 : -
불리한 점 : 뛰는
위에
나는 





유리한 점 :
대장군은 한타

불리한 점 :
실력자는 1:1





유리한 점 :
을 맞추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은데

불리한 점 :
로 끌어당기면
을 맞아요.




유리한 점 :
을 맞추면 
으로 체력을 10% 정도 회복할 수 있어요.



불리한 점 :
을 맞으면 
으로 체력을 50% 넘게 상실할 수 있어요.



어렵다면
(
)나
를 빠르게 올리는 것을 추천해요.




유리한 점 :
> 


불리한 점 :
< 







성가신 점 : 









유리한 점 :
을 맞추기 쉬워요.

불리한 점 :
을 맞으면 죽어요.



※ 사실
도 무서워요.



유리한 점 :
이 달릴 수 있어요.

불리한 점 :
이 올릴 수 없어요.



유리한 점 :
을 맞추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은데

불리한 점 :
로 끌어당기면
을 맞아요.



유리한 점 :
에게는 뒤에서 응원해주는
조류들이 있어요.


불리한 점 :
에게는 앞에서 공격해주는
병사들이 있어요.



궁금한 점 :
가 먼저일까요?
이 먼저일까요?


일단 못 이긴다는 것은 알겠어요.

유리한 점 :
가 나오면 할 만해요.

불리한 점 :
가 나오면










유리한 점 : -
불리한 점 : -
-
※
도 안 남아요.



유리한 점 :
가 나오면 할 만해요.

불리한 점 :
가 나오면

초반에는 쉬운데,
가 나오면 어려워져요. 그러다가
가 나오면 비등비등해지고,
가 나오면 매우 쉬워져요.
가 나오기 전에(보통 10분까지) 특히 조심하세요.




※ 그렇다고
가 나온 직후에 이긴다는 뜻은 아니에요.


유리한 점 :
은 데미지만 350 + 1AP예요.

불리한 점 :
은 사거리만 1400이에요.












여전히 어려운 친구지만
가 나올 때까지만 버틴다면 충분히 이길 수 있어요.



유리한 점 :
가 나오면 할 만해요.

불리한 점 :
가 나오면

보조 빌드로 결의의 
을 추천해요.




유리한 점 : -
불리한 점 :
+
= 






유리한 점 :
으로 들어오면 이길 수는 있는데

불리한 점 :
으로 도망치면 잡을 수도 없네요.

생각이 있다면 혼자서
을 잡겠다고 들어오지는 않을 거예요. 와딩 잘 해놓으세요.

시작 아이템으로
을 추천해요.



유리한 점 :
대장군은 죽지 않아요.

불리한 점 : 내 친구들이 죽을 뿐



저는 이 글이
에 대해 토론하는 장으로 사용되기를 바라고, 많이 불완전한 만큼 같이 완성해 나갔으면 좋겠어요. 읽어주셔서 고마워요.

빌지워터 스웨인(520RP)
북부전선 스웨인(750RP)
폭군 스웨인(1,350RP)

용 지배자 스웨인(1,350RP)
이 까마귀로 변신한다면
은 용으로 변신하는 스킨이에요. 평소에는 손에서
을 쏘지만 용이 되면 입에서
을 뿜는 등 높은 퀄리티를 자랑해요.


스웨인의 스킨

스킨을 고르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에요. 그래서 선택에 도움을 드리고자 작성했어요.

좋은 점 : 가장 저렴하고,
나쁜 점 : 가장 밋밋해요.
문자 그대로예요. 근육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면 별로 추천하지 않아요.
※ 아무도 사용하지 않다 보니 유니크해요.

좋은 점 : 가장 높은 가성비
나쁜 점 : 눈에 띄는 이펙트
저 개인적으로는 가장 추천하는 스킨이에요.
을 맞추면 경쾌한 칭! 소리가 나는 등 모든 스킬이 얼음과 관련된 이펙트를 갖고 있어 아래의 두 스킨과 비교해도 전혀 밀리지 않는 퀄리티를 자랑해요. 저렴한 가격까지 감안하면 가성비도 훌륭하구요.

그리고 새파란 스킬 이펙트가 눈에 잘 띄어서 상대가 잘 피할 것 같지만 기분 탓이에요. 다른 스킨이었어도 못 맞췄을 거예요.

좋은 점 :
을 연상시키는 까마귀와 관련된 이펙트

나쁜 점 : 닉네임이 폭군 스웨인이면 다른 스킨을 사용할 수가 없어요.
다른 스킨에 비해 고풍스러운 느낌이 물씬 풍기는 스킨이에요. 모든 스킬에 검은 깃털이 휘날리고,
을 사용하면 아예 머리가 까마귀가 돼요.

※ 많은 분들께서
의 탕! 하는 타격감을 특히 좋아하시는 스킨이에요.


인상적인 귀환 모션

좋은 점 : 용과 관련된 이펙트, 다양한 색깔의 크로마
나쁜 점 : 머리가 엄청 커 보여요.





저의 경우에는 다른 계정으로 흑요석 크로마를 사용하고 있는데, 정말 예뻐요.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84명

89.3% (75표)

2.4% (2표)

8.3% (7표)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