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20 (+110) | 2490 | 마나 | 467 (+30.5) | 985.5 |
공격력 | 46 (+3.25) | 101.3 | 공격 속도 | 0.625 (+2.11%) | 0.849 |
5초당 체력회복 | 6.5 (+0.55) | 15.85 | 5초당 마나회복 | 8 (+0.8) | 21.6 |
방어력 | 21 (+4.7) | 100.9 | 마법 저항력 | 30 (+1.3) | 52.1 |
이동 속도 | 335.0 | 335 | 사정 거리 | 450.0 | 450.0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1초
정글 몬스터에게는 100%의 피해를 입힙니다. (사정거리: 875, 범위: 100)
재사용 대기시간: 15초
활성화시: 매 초마다 30/42/54/66/78의 마나를 소진하여 주변 적에게 매 초마다 30/50/70/90/110 (+0.2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범위: 550)
재사용 대기시간: 200/180/160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1) 카이팅
대놓고 맞으면서 정글링하면 체력관리를 못해서 정글 풀캠이 불가능함.
무빙을 치면서 정글몹의 이동 궤적을 고려해 딱콩을 맞춰야함.
2) 쫄몹부터 잡기
딱콩을 최대한 겹치게 맞춰서 쫄몹들을 빠르게 정리한 다음
큰 몹을 딱콩 단일 데미지를 이용해서 잡는다.
부패(E)는 마나소모가 크기 때문에 끄고 키는 타이밍을 적당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함.
카서스가 각종 교전 최약체이긴 하지만
갱킹을 찔러야 할 타이밍에는 찔러줘야하고
싸워야 할 타이밍에는 잘 싸워야 함.
1) 가능한 정면보다 사이드에서 진입한다.
하드 CC기가 없고 주력 딜링기인 Q가 논타겟이기 때문에
W 고통의 벽을 잘 치는 것이 중요함
이때 벽을 정면으로 치는 것보다 사이드로 진입해서
비스듬하게 치면 상대의 무빙도 제한되고 보다 성공적인 갱킹이 가능함.
2) 각종 대치전에서 시야가 없을 때 W를 적극 활용한다.
W고통의 벽은 넓은 시야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시야가 없는 곳이나 부쉬에 숨은 적을 확인할 때 좋음.
3) 시야 단축키를 잘 이용한다.
F1 ~ F5를 누르면 각 라이너 시점으로 화면을 돌리는 것이 가능함.
스페이스를 누르면 자기 시점으로 화면을 돌릴 수 있음.
정글링을 틈틈히 하면서도 맵을 지속적으로 보면서
싸움이 일어날 것 같은 곳에 , 딸피가 남을 것 같은 곳에
진혼곡 각을 지속적으로 보면 좋음.
4) 작은 교전보다 큰 교전을 유도하자.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카서스는 cc가 부족하고 논타겟팅 스킬이 많기 때문에
1:1 교전, 2:2 교전이 취약함.
그대신 싸움의 규모가 커질수록
카서스가 얻어갈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카서스가 어느정도 크고 반반이라면
강제로 싸움을 열어보는 것이 좋음.
룬메만 나와도 카서스 단일 딱콩딜이 엄청남.
다른 정글이랑 비교해서
중반 카서스 한타력 장난아님.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실제로 E 박힌 순간 뒤졌다고 생각하면 됨.
요즘 바위게로 인해서 정글 입지가 많이 삭았던데 다행임
엘리스 상대로는 불리한 라인상성을 잘 파악해서 다이브를 막아주는 동선 짜는게 중요함
얘는 신짜오랑 달리 3렙도 안정적이고
어그로 핑퐁이 진짜 좋기 때문에 카서스한테 너무 까다로운 정글러임
사실 카서스에게 까다로운 정글러라면 차고 넘침
렉사이, 자르반, 니달리, 그브, 킨드레드 등등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6렙 전 라이너들이 갱킹 버텨낸것만으로도 카서스는 감사하다고 해야 함.
카서스 정글은 라이너의 초반 희생을 중반 캐리로 보답하는 픽임.
카서스는 무조건 픽할 수 있는 챔피언이 아님.
카서스를 뽑기 안 좋은 대표적 픽밴들을 소개해 봄
1) 라인 혼자서 상대 압박을 할 수 없는 라인
예: 마오카이 VS 다리우스
=> 이런 경우 카서스 궁이 어떤 도움이 되겠음? 한 라인도 아니고 두 세 라인이
이런 상황에 처하면 답도 없어짐. 픽밴에서 이런 상성이 보이면 과감히 걸러야 함.
2) 팀 내 CC가 별로 없을 때
예: 탑 모데카이저 미드 제드 봇 이즈리얼 & 소라카
=> 라이너들이 이겨준다면 다행이지만 말려버리면 cc가 없어서 게임이 답이 없어짐.
3) 딜 밸런스를 해칠 때
예: 탑 럼블 미드 오리아나
=> 상대 정글이나 미드가 주포 마최 헤르메스 밴시 같은 템만 올려도 딜이 잘 안 들어감.
이 경우 원딜에 의존을 해야하는데 그런 경우 cc있는 다른 정글하는게 훨씬 좋음.
4) 상대 조합이 너무 공격적일 때
예: (상대) 탑 제이스 정글 엘리스
=> 우리 라이너를 다이브해서 죽여버리겠다는 픽밴임. 이럴 때 카서스 픽을 해버리면
우리 라이너에게 "초반에 뒤져도 난 모릅니다 ㅂㅂ" 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음
카서스 1 ~ 2레벨은 극 초식중의 극 초식이라고 봐도 무방함.
이 레벨 구간은 케릭터 특성 상 수동적으로 플레이 해야하는 경우가 많이 보임.
그렇기 때문에 마냥 픽해놓고 똥싸러 가고 담배피러 가는 챔프가 아님. (모든 챔프가 그렇지만...)
팀원이 구도를 잘 만들어줬을때 보여주는 파괴력은 육식 이상임.
우리상대 팀 픽밴을 보고 상성과 동선을 제대로 파악해서
초반을 무사히 버티고 킬을 먹기 시작해야 힘을 발휘할 수 있음.
기본적으로 상대 정글이랑 안 마주치는 동선을 짜야 함.
우리 라이너가 상대를 압도하는 상태가 아니라면,
극 초반에 1:1로 상대 정글을 마주치거나 2:2 교전이 열리면 거의 무조건 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베 단계에 시야를 먹는게 매우 중요함.
라이너들에게 강가 와드를 박아 달라고 하셈.
안 박아주면 님이 직접 박으셈.
강가에 있는 와드 하나가 카서스 동앗줄임.
이 와드가 카서스를 살린다.
그렇게 첫 버프를 먹는데,
만만한 초식의 경우 정버프해도 괜찮고,
상대가 육식이면 역버프하는 것이 좋다.
카서스는 첫 바위게가 나오는 3분 15초전에 레드캠, 블루캠 6캠프를 전부 먹을 수 있음.
사정이 좋지 않다면 바위게 충분히 포기해도 됨.
대표적 카운터인 엘리스도 4캠을 도는데 3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동선만 잘 선택한다면
위험 요소들을 고려해서 절대 손해가 아님.
참고로 칼날부리를 경유하는 정글러의 경우 ex) 니달리, 케인 등
유령포로 든 다음에 상대 칼날부리에 직접 박는것도 괜찮은 선택임.
앞의 동선 선택에서 카서스는 풀캠 정글을 도는 식으로 돈다고 말했음.
풀캠 정글을 돌고 다음 정글몹이 리젠되기 전 남는 시간에
갱킹을 하고 역갱을 봐주는 것이 기본 베이스임.
팀원/상대의 플레이에 따라 변형이 있겠지만 기본 베이스를 잊어먹으면 안 됨.
카서스는 정글링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풀캠 동선이 성장에 있어 매우 메리트가 있음.
6레벨이 되면 라인 시야를 자주 주시하면서 궁 지원도 봐주고.
정글 속도와 안정성이 미쳐날뜀.
상대가 갱킹에 치중하는 정글러라면 성장차이를 노려볼 수도 있음.
적극적인 갱킹을 찌를 수도 있을 만큼의 딜이 나옴.
룬메가 완성되면 용 같은 오브젝트도 혼자서 챙길 수 있음.
상대가 뻘짓하고 있다면 몰래 챙겨주자.
일단 싸우고보자. 존나 세니까
이때 물몸상대에 Q 정타로 맞추면 데미지 살벌함.
앞에 템에서 메자이 설명한 것처럼
카서스한테 메자이가 정말 꿀이니까 믿고 꼭 올리자.
이후에는
물몸 위주라면 먼저 라바돈, 탱커가 있다면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