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12월 8일 주목 공략 등재
제 공략에 부족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꼭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이 티어를 올릴 수 있도록 최대한 좋은 공략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서폿 제라스가 너무 사기라서 많이 연습해 보고 있습니다. 서폿 제라스 내용도 보충하겠습니다.
그 덕에 현재 미드 3티어, 서폿은 무려 1티어입니다.
새로 출시된







80/120/160/200/240(+0.75AP) → 70/110/150/190/230(+0.85AP)

60/90/120/150/180(+0.6AP) → 60/95/130/165/200(+0.6AP) (계수는 이전과 동일하며 바깥 부분 기준입니다.)
주문력을 많이 올리는 제라스에게는 후반에 꽤나 이득입니다.
Q 딜의 경우 주문력 100 기준으로는 예전과 동일, 그보다 높아지면 더 강해집니다.
하지만 가뜩이나 라인전 약한 제라스에게 초반 Q 딜 감소는 굉장히 뼈 아프게 느껴집니다.
성장력이 느린 서포터 빌드를 억제하려는 것 같으나 방향이 잘못된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구린 평타모션을 어떻게 좀 해 주었으면 좋겠는데...





현재 제라스: 천상계에서도 성능 입증, 브실골 밸붕챔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596 (+106) | 2398 | 마나 | 400 (+22.0) | 774 |
공격력 | 54.7 (+3) | 105.7 | 공격 속도 | 0.658 (+1.36%) | 0.81 |
5초당 체력회복 | 5.5 (+0.55) | 14.85 | 5초당 마나회복 | 6.85 (+0.8) | 20.45 |
방어력 | 21.88 (+4.7) | 101.78 | 마법 저항력 | 30 (+1.3) | 52.1 |
이동 속도 | 340.0 | 340 | 사정 거리 | 525.0 | 525.0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아무래도 사거리가 길어서 대부분의 상황에서 선빵을 때릴 수 있다 보니 궁합도 잘 맞고
데미지 증폭에 골드 수급까지 있어 제라스의 성장 속도를 증폭시켜줍니다.





변경 이후로 cc 맞히면 빙결 광선이 터집니다. 이제 제라스랑 진짜 안 맞습니다. 들지 마세요.
























3rd

















[보조 룬(마법)]
보통은













정밀 룬은 전 시즌의 영감과는 달리 선택지가 많지는 않습니다. 보통


















제라스가



지배 빌드를 올릴 경우



나머지는


















































제라스가 유닛을 처치하면 이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2.5초 감소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9/8/7/6/5초
두 번째 시전 시: 제라스가 비전 파동을 발사하여, 직선 상의 모든 적에게 70/110/150/190/230 (+0.85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제라스는 비전 파동을 충전하는 동안 기본 공격이나 스킬 공격을 할 수 없습니다. 제라스가 이 스킬을 발사하지 않을 경우, 소모된 마나의 절반이 회복됩니다. (사정거리: 750)

재사용 대기시간: 14/13/12/11/10초
폭발 반경 중심에 있는 적들은 100/158.4/216.7/275/333.3 (+0.9 AP)의 피해를 입고 60/65/70/75/80%씩 둔화됩니다. (사정거리: 1100)

재사용 대기시간: 13/12.5/12/11.5/11초

재사용 대기시간: 130/115/100초
재사용 시: 제라스가 비전 폭격을 발사해 180/230/280 (+0.4)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챔피언을 맞힐 때마다 20/25/30 (+0.05)의 마법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제라스가 한 번도 스킬을 재사용하지 않으면 재사용 대기시간이 50% 줄어듭니다. (사정거리: 500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주문 가속 매커니즘을 먼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의 쿨감은 합연산 방식으로 적용되어, 쿨감 10% 아이템을 3번 올리면 쿨감 30%가 되어 기본 스킬 쿨의 70%로 적용이 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제라스 W의 쿨타임이 만렙 10초인데, 쿨감 40%면 6초가 됩니다.
최대 쿨감 수치는 40%였고, 구 우주적 통찰력 룬으로 45%까지 올릴 수 있었습니다.
스킬 가속에서 스킬 쿨타임의 연산식은 방어력, 마법 저항력 연산식과 동일하며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스킬 쿨타임) * 100 / {100 + (스킬 가속)}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킬 가속이 10일 때
100 / (100 + 10) = 100/110 = 0.909090... ≒ 0.91
9% 쿨감과 거의 동일한 효과입니다.
스킬 가속이 30일 때
100 / (100 + 30) = 100/130 = 0.769230... ≒ 0.77
23% 쿨감과 거의 동일한 효과입니다.
스킬 가속이 50일 때
100 / (100 + 50) = 100/150 = 0.666666... ≒ 0.67
33% 쿨감과 거의 동일한 효과입니다.
스킬 가속이 100일 때
100 / (100 + 100) = 100/200 = 0.5
50% 쿨감과 동일한 효과입니다.
스킬 가속을 예전 쿨감으로 환산했을 때 올리면 올릴수록 효율이 더 떨어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예전 쿨감이 올릴수록 효율이 좋은 상태였습니다.
예를 들면 0%에서 10%를 올리면 쿨타임이 조금 줄어들지만
90%에서 10%를 올리면 아예 쿨 초기화이고요.
라이엇도 이러한 점에서 스킬 쿨타임 감소 매커니즘을 조정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 패치로 사실상 제라스는 쿨감 올리기는 전보다 힘들어졌습니다.
제라스는 쿨감이 잘 어울리는 챔피언이긴 하나, 주력 딜인 Q가 쿨타임과 상관 없이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부족하다고 해서 크게 문제될 것은 없을 듯 합니다.
방어력, 마법 저항력도 위의 스킬 가속과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이 기회에 방어력, 마법 저항력 매커니즘이 궁금하셨던 분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제라스의 템트리가 변경되었습니다.

하지만 알아두셔야 할 점은 아이템을 통한 간접 상향일 뿐이지
미드 제라스의 라인전이 빈약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보통






킬 한 번으로 주문력이 8이나 올라갑니다. 어시 한 번이면 4가 올라갑니다.
최대 스택이면 단돈 350원으로 체력 40에 주문력 55입니다.
죽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매우 좋은 아이템이 될 것 같습니다.



서포터라면





1코어는 신화 아이템을 올려주시면 됩니다. 선택지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1코어를 올린 뒤에는

2코어로는


3코어부터는 다음 아이템들 중에서 상대에 맞게 올려주시면 됩니다.



원거리의 기준은 700 유닛 거리로, 대충 제라스 평타 사거리(525)와
























이 아이템을 올린 것이 발각될 시 모든 적이 당신의 목숨을 노릴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더 이상 올리지 않습니다.






가격이 롤백되고 제라스의 주문력 계수가 올라서 요즘은 3코어로 올리기도 합니다.









밸런스 조정 이후로 마방 두른 탱커 상대로 들어줍니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 녹턴이 불을 끄면 선제공격이 사라지고 쿨이 돕니다. 여려모로 초하드카운터.)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특히 바람용 뺏기면 제라스는 할 게 거의 없어집니다.
ㅁ 미드










ㅁ 서폿
































라인은 기본적으로 살짝만 당겨줍시다.
선제공격은 딱 3초동안만 발동합니다.
이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단순 Q 포킹보다는
WQ를 활용한 콤보 활용이 좋습니다.
[미드]
제라스에게 초반 운영법이라는 게 적 라이너마다 다릅니다. 이 점은 상대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셔야 하며, 다음과 같은 점만 조심하시면 됩니다.
1. 미니언 수급
미니언을 먹을 때 적의 핵심 스킬에 맞을 우려가 된다면 미니언을 포기하거나 멀리서 스킬로 먹어주셔야 합니다. 욕심 부리려다 훅 갑니다.
2. 라인 관리
제라스는 초반 라인클리어가 느리기 때문에 라인이 당겨질 겁니다. 라인을 당겨주는 게 제라스 입장에서도 편합니다.
이 때, 너무 많이 당겨져 대포 미니언까지 포탑에 박히면 포탑 피해가 크고 미니언 수급도 힘들어지며 다이브 당할 우려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라인이 너무 당겨질 것 같으면 스킬을 사용해서라도, 미니언 한두 개 놓치더라도 막아주시는 게 좋습니다.
3. 시야
부득이하게 라인이 저절로 밀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와드를 설치해야 합니다.
ㅁ 적 정글이 아직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을 때
3분 30초 쯤 되면 미드 부쉬에 와드를 설치해야 합니다. 보통 첫 갱을 미드로 가면 브실골의 95%가 탑 쪽에서 오므로 그 쪽에 와드를 깔아줍시다.
(2%는 보고 배운 게 있어서 변수 창출을 위해 반대로 옵니다.
3%는 생각이 없어서 빙빙 돌다 어쩌다 반대로 옵니다.)
ㅁ 적 정글이 탑이나 바텀 갱 갔을 때
간단합니다. 탑 갔으면 탑 쪽에, 바텀 갔으면 바텀에 깔아줍시다.
ㅁ 정글끼리 바위게 싸움할 때
시야랑 관련 없긴 한데, 라인이 밀려 있으면 가 주시면 됩니다.
만약 라인이 당겨져 있으면 우리 정글한테 미드 킬어시 주지 말고 꺼지라고 합시다.
[서폿]
1. 포지셔닝
상대 바텀에 블리츠크랭크,
파이크,
라칸,
야스오 중 하나가 있을 경우 인코스를 활용합시다. 도주 및 스킬 회피에 용이합니다.
그 외에는 상대 정글, 우리 원딜, 라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셔야 합니다.
2. 시야
갱 방지용 와드는 원딜한테 부탁하시고, 라인이 당겨질 경우 상대에 따라 우리팀 쪽 부쉬에 와드를 미리 설치합시다. 상대가 부쉬플레이를 하는 챔피언(노틸러스 블리츠크랭크 레오나 쓰레쉬 파이크 럭스 모르가나 라칸 등)이 아닐 경우 꼭 와드를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0. 블루
정글한테 2번째 블루를 부탁합시다.
1. 시야
(중요) 돈이 남으면 핑와를 꼭 사 줍시다.
양피지 이후
닭다리를 뽑아야 하는데 돈이 애매할 경우
암흑의 인장(+
핑와) 구매하시면 됩니다.
미드의 경우 라인전이 길어지면 양쪽 부쉬에 한쪽은 노랑 와드, 다른 한쪽에
핑와 깔아주시면 됩니다.
서폿의 경우 서폿템 와드가 활성화되었다면 장신구를
예언자의 렌즈로 교체합시다.
라인전이 끝나가면 핑와는 용 또는 바론 앞 강 부쉬에 깔아줍시다.
Tab 키 주기적으로 눌러 용 전령 바론 부활 시간, 상대 및 아군 상태를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
2. 로밍
6레벨 이후, 상대가 솔킬 따기 어렵고 마나가 충분하다면 라인정리 빠르게 하고 궁 로밍을 가 줍시다.
대신, 궁 로밍을 가도 이기기 힘든 경우는 제라스가 직접 가 주거나 그냥 포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오브젝트
용, 전령 싸움이 일어나면 도와줘야죠. 가까우면 가 주고, 멀면 궁 쏴 주고, 궁이 없거나 너무 멀면 안 가면 됩니다.
브실골에서는 상대가 용 먹는데 궁 쏘면 당황해서
강타를 급하게 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경우 용 스틸이 가능합니다.
1. 시야
미드라면 장신구를 파랑 와드로 교체해줍시다. 용바론의 안정적인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보이지 않는 적에게
궁 쓸 때도 좋습니다.
서폿이라면 서폿 아이템의 와드를 설치하셔야 합니다. 브실골에서는 그냥 용바론과 상대 정글 쪽 시야를 장악하시면 됩니다. 용바론 쪽 지나갈 때
렌즈 돌려주시는 거 잊지 마시고요.
핑와는 돈이랑 아이템 칸이 남을 경우 구매해 줍시다.
2. 한타
거리 유지는 필수입니다.
적에게 최대한 많은 양의 피해를 입히는 게 중요합니다.
W를 적이 모여있는 곳(주로 몸이 약한 적)에 쏴 주시고, 안전한 상황에선 Q 대신
궁극기로 딜 넣는 것도 중요합니다.
E는 지속 딜러에게 써 주시는 게 좋습니다만, 원딜은 맞추기 힘드니 근접 딜러 위주로 맞춰줍시다.
오브젝트에 대해선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유리한 점: 사거리가 짧아요.
불리한 점: 잘 안 죽고, 로밍이 너무 좋아요.
상대법


요즘















요즘 정글 다이애나가 자주 나오는데 얘는 상대하기 매우 까다롭습니다.















유리한 점: -
불리한 점: -
상대법

뜬금없이











































유리한 점: 초반에 제라스가 누릅니다.
불리한 점: 후반엔 벡스가 제라스를 녹입니다.
상대법
초반엔 여타 메이지처럼 제라스가 압도적 상성 우위입니다.
그러나 벡스가



최대한 6렙 전에 눌러버려야 하고 만일 벡스가 컸다면



















유리한 점: 패시브 쌓으면 이속이 미치는데 거리 안 주면 못 쌓아요.
불리한 점: 한타에서는 쌓기가 너무 좋네요.
상대법
거리 안 주시면 됩니다.











유리한 점: 초반에 찢어버릴 수 있어요.
불리한 점:

상대법
6렙 전에 찢어주시고 갱 조심하세요.









































































유리한 점:




불리한 점: 대신 들어오기는 쉽죠.
상대법










































2. 제드가 나타나면 바로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