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0명

0% (0표)

0% (0표)

0% (0표)
야스오 챔피언별 대응법
야스오도 출시한 지 오래된 챔피언이기 때문에 이제는 숙련된 유저들만 남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본적인 설명 없이 내가 야스오를 하면서 느낀 챔피언별 상대법을 적어보려 한다. 라인은 미드를 기준으로 적는다.
=야스오(하면서 명심해야 할) 십계명=
1. 야스오는 딜교환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으나 갱에 약하다.
2. 죽이는 것보다 죽지 않는게 중요하다.
3. 야스오는 조합빨을 심하게 탄다.
4. 미드라인전 한정 야스오는 선픽해도 나쁘지 않을 정도로 무상성이다.
5. 상대팀에 레오나, 람머스, 가렌, 마스터이(와 타릭)중 두 개 이상이 있을 경우 아군의 조합을 본 뒤 닷지한다.
6. 
는 취향이지만 앵간해선
체감상 이게 더 좋았다.



7. 근접 브루저(가렌, 다리우스, 피오라, 잭스) 등은
를 들면 견제하면서 거리조절에 매우 용이해서 (미드 한정으로) 라인전 주도권을 가져올 정도로 쉬워진다.

8.
은 견제로 뼈방패를 쉽게 뺄 수 없고 한번에 딜교를 빡세게 한 뒤 나가는 챔피언 (피즈, 키아나 등) 상대로 매우 용이하다.

9.
은 버프먹고 매우 쓸만해졌다.

10. 야스오 스킨은 어둠의 인도자가 국룰이다.

소환사 주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590 (+110) | 2460 | 마나 | 60 (+0.0) | 60 |
공격력 | 60 (+3) | 111 | 공격 속도 | 0.662 (+3.5%) | 1.056 |
5초당 체력회복 | 6.51 (+0.9) | 21.81 | 5초당 마나회복 | 0 (+0) | 0 |
방어력 | 32 (+4.6) | 110.2 | 마법 저항력 | 32 (+1.3) | 54.1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175.0 | 175.0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낭인의 길 (Way of the Wanderer)
결의: 이동 시 기류가 발생하여 야스오의 자원이 채워집니다. 빠르게 움직일수록 기류가 더 빠르게 오릅니다. 기류가 가득 차면 챔피언이나 몬스터에게서 피해를 입을 경우 잠시 125~600의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이 생성됩니다.
의지: 야스오의 치명타 확률이 100% 증가합니다. 100%를 초과하는 치명타 확률 1%당 0.5의 추가 공격력을 얻습니다.
의지: 야스오의 치명타 확률이 100% 증가합니다. 100%를 초과하는 치명타 확률 1%당 0.5의 추가 공격력을 얻습니다.

강철 폭풍 (Steel Tempest)
재사용 대기시간: 4초
전방으로 내질러 20/45/70/95/120 (+1.05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강철 폭풍 적중 시, 6초간 폭풍 구름 효과가 1회 중첩됩니다. 중첩이 2가 되면 강철 폭풍 스킬이 회오리바람을 발사하여 공중으로 띄워올립니다.
강철 폭풍은 기본 공격으로 간주됩니다: 치명타와 적중 시 효과가 적용되며, 공격 속도로 재사용 대기시간과 시전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돌진 도중 시전할 경우, 강철 폭풍이 원형으로 타격합니다. (사정거리: 375)
강철 폭풍 적중 시, 6초간 폭풍 구름 효과가 1회 중첩됩니다. 중첩이 2가 되면 강철 폭풍 스킬이 회오리바람을 발사하여 공중으로 띄워올립니다.
강철 폭풍은 기본 공격으로 간주됩니다: 치명타와 적중 시 효과가 적용되며, 공격 속도로 재사용 대기시간과 시전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돌진 도중 시전할 경우, 강철 폭풍이 원형으로 타격합니다. (사정거리: 375)

바람 장막 (Wind Wall)
재사용 대기시간: 25/23/21/19/17초
4초간 모든 적의 투사체를 막아주는 움직이는 벽을 생성합니다. (사정거리: 400.0, 범위: 320/390/460/530/600)

질풍검 (Sweeping Blade)
재사용 대기시간: 0.5/0.4/0.3/0.2/0.1초
적 대상을 뚫고 돌진하여 70/85/100/115/130 (+0.6 AP)(+0.2 추가AD)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매번 시전할 때마다 다음 번 돌진의 기본 피해량이 25%씩 올라 최대 4회까지 중첩됩니다.
10/9/8/7/6초 내에는 동일한 대상에게 재시전할 수 없습니다.
돌진 도중에 강철 폭풍을 시전하면 원형으로 타격합니다.
10/9/8/7/6초 내에는 동일한 대상에게 재시전할 수 없습니다.
돌진 도중에 강철 폭풍을 시전하면 원형으로 타격합니다.

최후의 숨결 (Last Breath)
재사용 대기시간: 70/50/30초
공중에 뜬 적 챔피언에게 돌진하여 200/300/400 (+1.5 추가 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해당 지역에서 공중에 떠 있는 모든 적을 1초 더 공중에 붙들어둡니다. 기류가 최대치로 차는 대신, 폭풍 구름의 중첩이 모두 초기화됩니다.
15초 동안 야스오의 치명타에 방어구 관통력이 추가로 60% 증가합니다. 이 때 아이템, 이로운 효과, 룬, 특성으로 얻은 방어력도 영향을 받습니다. (사정거리: 1400)
15초 동안 야스오의 치명타에 방어구 관통력이 추가로 60% 증가합니다. 이 때 아이템, 이로운 효과, 룬, 특성으로 얻은 방어력도 영향을 받습니다. (사정거리: 1400)
스킬 콤보
스킬 활용 팁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레넥톤
유일하게 대응법이 없는 챔피언. 정글개입이 없다는 가정하에 절대 이길 수 없다. 이길 수 있는 타이밍은 딱 1렙뿐. 6렙 후에는 궁으로 적 정글과 함께 다이브도 자유자재.

클레드
레넥톤 다음으로 무서운 브루저. 레넥톤만큼 딜교에서 아예 대처할 수가 없는 챔피언은 아니다만, q에 묻은 치유감소는 물론이고 폭딜도 상당해서 동실력 기준 지옥이다. 심지어 스칼때문에 다이브도 잘 치기 때문에 매우 까다로움.

가렌
미드 기준으로 위의 두 챔피언을 빼고는 라인전은 전부 실력에 따라 할만하다. 가렌을 넣은 이유는 대표적인 브루저라서.

룬




스펠









가렌의
거리를 주지 않고
로 잘 찌르는게 중요하다. 첫 귀환 전 맞다이는 야스오가 유리하므로, 가렌의 q가 빠졌다면 싸워보는게 좋다. 가렌의 경우
를 들고 올 확률이 크므로 빼놓고 싸운다. 6렙 후 쌩 맞다이는 금물.
도 나쁘지 않다. 거리조절을 용이하게 해주기 때문.





룬




스펠









갈리오의 무서운 점은 라인전이 아니라 갱호응 능력이므로 정화를 들어주는 게 좋다. 항상 갈리오의
를 염두에 두고 딜교한다.
는 시전동작이 크므로 잘 보고 미니언을 타서 피한다. 피했다면 딜교환에선 질 수가 없다.
는 당연히
으로 막아준다.





룬




스펠
혹은 











첫귀환 전에는
를 막는다면 딜교환을 이길 수 있다.
로 인해서 라인유지력이 압도적으로 좋으므로, 6렙 전에 정글 콜을 해서 죽여놓는 게 좋다. 정글상성이 불리하다면 닷지도 좋다. 6렙 후에는
로 들어온다면 꼼짝없이 죽을 수도 있다. 상대 정글이 하드cc가 있다면
을 들어준다.





-추가-
2대2 싸움을 이길 것 같거나 아군이 초반 갱에 강한 육식형 정글러라면
를, 아니라면
을 가져간다.



룬




스펠









니코의
를 막고 딜교환하면 지기가 힘든 쉬운 챔피언.
를
로 피할 수도 있어서 지기가 힘들다.




룬




스펠









요즘 핫한 다이애나인데, 다이애나의
는 장막에 막히기 때문에, 6렙 전은 물론이고 6렙 후에도
만 막고 싸운다면 지기가 힘들다. 순수 맞다이 능력은
를 막은 것으로 가정한다면 야스오가 우위이기 때문에 유리하다. 다만 1킬을 주게 된다면 좀 힘들어 질 수도 있다. 당연한 거지만
를 맞는다면 딜교환에서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로 들어오지 못하게끔 거리를 벌리는 게 좋다.





-수정-












룬




스펠









라이즈의 모든 스킬은 장막에 막힌다. 유지력은 물론이고 라인 푸쉬력까지 야스오가 압도한다. 다만 라이즈들은
일 확률이 크기 때문에 딜교환 할 때 라이즈가
를 못 터뜨리게끔 잘 막아주는게 중요하다. 어설프게 거리를 주어 라이즈가
를 터뜨리고 딜교 손해를 보는 상황이 나오면 안된다는 뜻이다.




룬




스펠









EZ

룬




스펠














룬




스펠









닷지가 권장된다. 3킬을 따도 맞딜을 질 수 있는 무시무시한 챔피언이므로 웬만하면 닷지. 상대 정글이
처럼 갱킹과 다이브에 능하다면? 지옥문은 이미 열렸다.

-추가-
3렙 전 열심히 견제하여 레넥톤의 피를 많이 빼놓는다면 첫귀환 전까지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 그 뒤로

을 올려주면 버티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레넥톤이 맘먹고 파밍을 포기한다면 3렙 후부터는 저절로 주도권이 넘어가기 때문에 그냥 닷지하는 게 맘 편하다. 애초에 위에 상황도 못하는 레넥톤이라는 가정하이기 때문. 어떻게든 죽지 않고 위의 템이 뜬다면 버틸 수는 있다.



-2차 추가-
레넥톤의 분노를 유심히 보는 게 중요하다. 레넥톤이
로 들어올 기미를 보인다면 주변의 미니언으로
를 타서 (어떻게든) 거리를 벌리자. 강화
를 박으려고 쫓아올텐데
로 멀리서 찔러주면서
로 거리조절을 하는 것이 딜교 대처의 베스트...이긴 하다만 입롤이다. 

나오면 맞다이 할만하니까 버티자.









룬




스펠









미드 루시안이 많이 나오는데 야스오로는 까다롭지 않은 상대이지만, 장막이 쿨이라면 절대로 맞딜 하지 않도록 한다. 루시안의 1대1능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미니언을 타고 루시안에게 가까이 붙으면 루시안이
를 써서 거리를 벌릴 텐데, 장막을 쓰고 딜교환 한 뒤에 유유히 빠져나오면 된다.


룬




스펠









한 때 불합리함의 원톱이였지만 너프를 크게 먹어 상대하기 쉬워졌다. 르블랑 상대로는 장막이 있을 때만 맞딜하는 게 좋다. 르블랑이 딜교를 하러 다가온다면
를 쓰러 올텐데, 장막으로 막아주고 딜교환 한뒤 빠져나온다. 혹은 딜교환을 걸어 볼수도 있다.
를 타고 들어가면 르블랑이
로 빠져나간 뒤
로 맞대응 하거나 혹은 바로
를 걸 수가 있는데 장막으로 막아주면 딜교환은 압승이다. 르블랑의 유지력은 매우 구리기 때문에 딜교환을 반반 가더라도 

로 유지력에서 압도할 수 있다. 르블랑의 풀콤보를 맞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르블랑은 까다롭지 않은 상대다. 정글러 호응 능력도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조심하는게 좋다.









룬




스펠









스펠은 무조건
. 그리 까다롭지 않은 상대이나
을 들고 맘먹고 사린다면 킬각 재기는 조금 힘들 것이다. 
전부 막히므로 항상 생각하며 플레이.
로 도주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룬




스펠









말자하는 공허충으로 라인푸쉬력이 매우 좋다는 것과 6렙 이후 갱호응이 개사기인 메이지인데 야스오는 공허충을 지우기 매우 쉽다. 말자하의
는 피하기가 쉬우므로 어렵지 않다. 미니언에 
를 쓰면 바로 지워준 뒤
로 들어가 딜교환 하고 나오면 된다.
이후
를 가주는 게 좋다.







룬




스펠









가끔 미드로 오는 모데카이저가 있다. 모데카이저의 
모두 피하기 매우 쉬운 스킬이므로
만 피한다면 맞딜은 할만하다. 다만 1코어가 나온 모데카이저와
로 쌩 맞다이를 하게 된다면 이기기 매우 힘들기 때문에 일기토를 하게 될 상황은 만들지 않는게 좋다. 중후반으로 넘어간다면 다시 1대1을 이길 수 있다.





룬




스펠
혹은 











가끔 미드로 오는 도구인데, 흠씬 두들겨 패주면 된다.
를 장막으로 막는다면 지기가 힘들다. 상대 정글이 하드CC가 있다면
도 나쁘지 않다



룬




스펠
혹은 











지평선을 제외한 모든 스킬이 장막에 막힌다. 6렙 이후 지평선으로 인한 갱호응이 상당히 무섭기 때문에 상대 정글러를 생각하여
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룬




스펠









궁극기를 제외한 모든 스킬이 막히는 호구. 다만 장막이 없을 때 풀콤보를 맞았다간 어이없이 원콤날수 있으므로 주의

룬




스펠









유지력이 사기라서 딜교를 한번에 빡세게 한 뒤 솔킬각을 재는 것이 좋다.
는 장막에 막히므로 딜교를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다.
을 쓴다면 타이밍에 맞춰 점화를 걸어줘야 한다.



룬




스펠









빅토르는 마나조루이기 때문에 스킬을 함부로 쓰지 못한다. 초반에 견제한답시고 스킬을 쓰면 그 뒤 라인전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주도권은 야스오에게 있다. 너무 깊숙히 들어갔다가
로 갱킹 당하지 않는 이상 야스오가 유리하다.
와 상대 정글을 의식하면서 딜교한뒤 나오면 된다.



룬




스펠









피흡량이 괴랄하므로 짧은 딜교환은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다.
로 견제하여 피를 깎다가 사일러스가 들어오면
를 장막으로 막아주고 딜교환하면 이길 수 있다.
또한 장막에 막힌다.
로 들어가서 근접하여 딜교환해선 안된다. 사일러스가 먼저 들어오게끔 해야한다. 사일러스를 상대할 시에는
후 바로 빠르게
을 올려주는 게 좋다.







룬




스펠









구조상 이기기가 힘들다. 초반에도 견제가 상당히 강하고 6렙 후에는 스오 혼자서 솔킬을 내기란 매우 어려우므로 힘든 상대. 뚜벅이에 갱에 취약하므로 갱콜하여 죽여놓는게 좋다.

룬




스펠









스킬 전부 피하기 쉬우므로 어렵지 않다. 궁극기 또한 장막에 막힌다. 다만 실수 한번에 원콤나기 쉬우므로 주의.

룬




스펠









야스오는 아리의 카운터로 유명한데, 감전은 그렇다만 빙결아리는 상당히 까다로운 상대다. 평타로 슬로우를 묻힌 뒤 카이팅하는데 평타를 장막으로 막고 들어가자니
으로 인해 손해를 보게 된다. 그런데 이것은 정복자를 들었을 때 얘기고,
을 든다면 빙결을 무마시킬 수 있는데다가 유지력이 좋아져 아리의 초반 견제도 쉽게 파훼할 수 있다.
의 이속증가 또한 아리의 평타 견제에서 거리조절을 용이하게끔 해 준다. 룬을 바꾸면 쉬워지는 상대.




룬




스펠












룬




스펠









너프 전엔 답도 없는 카운터여서 필밴했었다만, 이제는 매우 할만해진 상대. 아칼리의
평
평 딜교로 인하여 1렙에서조차도 이기기 힘들었으나, 너프로 인해
평 후
사이에 딜레이가 생겼다. 맞딜해보면 절대 어렵지 않은 상대임을 알 수 있다.
장막에 막힌다.
를 쓰면 빠져주는 것은 당연한 상식. 다만 여전히 총검이 뜬 후에는 말도 안되는 킬각을 잡기 때문에 주의.
















아트록스의 주된 스킬인
는 전부 피하기가 어렵지 않은 스킬이다.
는 장막에 막힌다. 다만 초반 딜교할 때
를 맞아준다면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평타를 쳐서 맞딜하려 하기 보다는
를 피해준 뒤 
로 딜교환 해주는 게 좋다.







룬




스펠









본지가 꽤 오래된 챔피언이지만 혹시 몰라 적는다. 못 이긴다. 메이지계의 레넥톤 같은 친구다.
가 장막에 막히긴 한다만 내가 알기로 쿨타임 4초인가 그렇다. 게다가 패시브인 기절스택은 막히면 초기화 되지도 않는 걸로 알고 있다. 
로 확정기절 +
로 탱탱함 + 말도 안되는 폭딜 까지 야스오에게 너무나도 무서운 친구. 그냥 못이긴다.
를 둘러도 원콤 나버릴 수도 있다; 안나와서 정말 다행이다만 나온다면 아군과 적군 조합을 본 뒤 조합차이가 극심하지 않다면 닷지한다.






룬




스펠









장인 챔피언이므로 주의. 
애니비아 같은 경우에는 1~2렙 때 어이없는 킬각을 잴 수도 있다. 라인전 자체는 매우 쉽다.
모두 장막에 막히기 때문에 딜교환에서 손해보기는 힘들다. 6렙 이후에는
으로 라인푸쉬만 하고 거리를 주지 않을 것이므로 킬각은 잘 안나올 것이다. 따라서 같이 라인푸쉬를 해준 뒤 아군 정글러와 함께 시야를 먹고 로밍을 가주는 형식으로 해 주는 게 좋다.






룬




스펠









에코의
는 장막에 막힌다. 에코도 자신이 맞다이는 야스오에게 질 것을 알고 있으므로 사리면서 플레이하다가 갱콜할텐데, 무리하게 딜교환 하려 하기보다는 
로 짤짤이를 넣어주는 게 좋다. 당연하지만 에코의
가 켜진다면 빠져준다. 만약 에코가 뜬금없이
를 써주고 진입한다면 정글러가 왔을 확률이 크므로 상대 정글러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았다면 빠져준다.






룬




스펠









리메이크 이후 만나본 뒤 작성.

룬




스펠









오리아나는 1~3렙 때 체력을 잘 보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cs를 몇 개 놓치더라도 오리아나에게 많이 얻어맞지 않는 것이 좋다. 그 이후에는
로 들어가서 딜교환 해주면 지지 않는다. 오리아나는
보다는
를 드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을 들면 딜부족으로 오리아나와의 딜교환에서 질 수가 있다. 근접하여 딜교환해도 질 수가 있다는 얘기다. 앞서
을 든 메이지들은 장막의 존재로 인해
을 든다해도 딜교환에서 이길 수 있었지만, 오리아나는
을 든다면 딜교환에서 오히려 손해를 보기 쉽상이다.
를 들어준 뒤 한번에 빡세게 딜교환하는게 좋다. 장막의 경우에는 상대 미니언의 딜을 막아주는 데 쓴다.









룬




스펠









이렐리아는 크게 너프를 먹고 난 뒤 하는 사람들만 하는 챔피언이 되었기 때문에, 절대 방심할 수 없는 챔피언이다. 이렐리아를 상대할 경우에는 아군 미니언을 잘 봐야 한다. 이렐리아가 아군 미니언으로 3스택 이상을 바로 쌓을 만한 딸피 미니언들이 있다면 이렐리아에게 거리를 주지 않는게 좋다. 5스택이 쌓인 이렐리아는 그야말로 괴물이므로 주의한다. 하지만 5스택이 쌓이지 않은 이렐리아와의 맞딜은 야스오가 우위이다. 쉽게 말해서 상대법을 알면 쉬운 상대.
와
또한 장막으로 막히므로 동피지컬에 상대법을 안다면 야스오가 우위이다. 누차 말하지만
5스택이 쌓이면 맞딜에서 절대 이기기 힘드므로 주의.




룬




스펠









제드의 경우에는
을 올려놓았는데, 자신이 제드와의 상대가 자신있다면
를 들어도 무방하다.
을 들면 적어도 라인전에서는 계속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제드의 경우 초반 제드의 견제와 근접할 시 
평
콤보로 피관리가 생각외로 힘들 수가 있다.
은 보장된 보험 같은 룬이다. 제드와의 라인전은
의 존재로 힘들지 않지만, 제드의 폭딜은 무시할 수 없다. 
가 없을때 딜교환은 걸지 않는게 좋다. 들어가서 짧게 치고 빠지는 형식으로 딜교환한다.
로 손해를 보긴 쉽지 않다. 그렇게 짤짤이 해주다가 킬각을 잡으면 된다. 갱이든 솔킬이든 1킬을 주면 힘들어지는 상대이니 조심. 다만 그것은 제드도 마찬가지이다.












룬




스펠









무빙에 자신없거나 안전하게 가고 싶으면
, 자신있다면
을 들어준다. 제라스의 스킬은 전부 논타겟이므로 어느 정도 하는 야스오유저라면 매우 쉬운 상대.
는 장막에 막힌다.




룬




스펠









라인전 깡패였던 제이스가 아니다. 너프를 크게 먹어 약하므로 초반에 쫄지 말고 딜교해서 죽여놓는 게 좋다. 방관 제이스 같은 경우 템이 어느 정도 나오면 딜교환해서 이길 수 없을 확률이 크다. 서로 1코어 이상 나왔다면 싸우지 않는게 좋다.

룬




스펠









조이는 티어가 올라갈수록 상대하기 힘들어진다. 저티어의 조이는 수면을 뻔하게 쏘거나 거리조절을 못해서 딜교환을 다 맞아주는데 수준이 올라갈수록 거리조절하면서 야스오가
를 써서
을 쓰지 못하는 약간의 타이밍에 수면을 써서 딜교한다. 그냥 갱콜해서 잡는 게 좋다. 초반 조이의 딜교능력은 생각보다 매우 강하다. 조이의 스킬을 전부 맞지 않는다 해도
과 패시브 평타
가 합쳐지면 그냥 어이없이 죽을 수도 있다. 수면이 빠지면 딜교하거나 갱콜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몇번 죽여놓으면 재기가 힘든 챔프





룬




스펠









직스의 스킬 같은 경우에는 피하기 쉽고 막기도 쉽기 때문에 어렵지 않은 상대다. 그렇다고 실수했을 때 원콤이 나오는 것도 아니므로 매우 할만하다. 제라스와 비슷한 맥락이다. 무빙에 자신없다면
을 들어주면 된다.


룬




스펠









매우 쉽다.
같은 경우 피하기 쉽지 않지만 딜레이가 있다. 카시오페이아 궁극기와 비슷한데 시전시간이 길다고 생각하면 된다. 충분히 예상하여 피할 수 있고
를 맞아 침묵이 걸려도
는 충분히 걸어서 피할 수 있으므로 쉬운 상대.
로 유지력이 상당하므로 한번에 크게 패는 게 좋다.
를 피한다면 딜교환은 질 수가 없다. 극딜 초가스일 경우 물몸이므로 더 쉬워지지만
로 인한 원콤은 주의.







룬




스펠









동실력이라면 힘들 것이다. 카밀의
를 피하느냐 마느냐가 승리의 갈림길이 될 것이다.
는 장막에 막히므로 카밀이 벽에 쓸 시 장막을 써주면 없어진다. 장막이 없을 경우에도
로 인해 비비면서 딜교하면 손해를 보게 될 수 있다.
짤짤이로 괴롭혀주다가 킬각을 재면 된다.





룬




스펠









의외로 힘든 챔피언이다. 의아할 것인데 만나보면 알게 된다. 야스오는 스킬을 난사하는 챔피언이기 때문에 카사딘의
는 항상 충전된 상태이다. 그리고
의 깡딜이 크게 버프먹은 상태라
가 없는 상태에서 딜교환하면 오히려 손해를 크게 볼 수 있다. 초반 카사딘의 2대2는 최약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약하므로 카사딘을 라인에 우겨넣고 정글과 함께 상대 정글러를 망쳐 놓는 방법을 쓰는 게 좋다. 갱이든 솔킬이든 카사딘에게 1킬을 따인다면 6렙 이후 딜교환은 힘들게 된다. 카사딘이 앞궁을 쓴다면 이기지만 
를 넣고
으로 빠지는 식으로 딜교환하면 힘들다. 간단히 말해 6렙 전에 쇼부를 보는 게 좋다.






상대 정글이 ap라면
를 올리면 쉬워진다.

-수정-
오해할 수 있어 다시 쓰는데 카사딘에게 맞딜을 진다는 것이 절대 아니다. 피흡이 없는 사일러스를 상대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와
이 있을 때 싸우는 게 좋다. 카사딘은
과
로 대놓고 누우려 할 것이기 때문에 짧게 딜교환하여 이득을 보지 못한다면 6렙 전 카사딘을 죽이기 힘들다. 철저히 이득 볼수 있는 딜교환을 해야만 한다.
으로
를 막고
로 스킬 딜 씹어주면서 깎다가 정글러와 다이브 or 카사딘 집 보내고 아군과 적 정글 카정 하는 식으로 플레이한다. 카사딘의 w는 깡딜을 20인가?? 버프 받았다. 초반 확실히 체감될 정도로 딜이 올랐기 때문에 절대 쉽게 보지 않는게 좋다.








룬




스펠
혹은 











상대 정글러가 하드cc가 있다면 무조건
를 든다. 카시와의 라인전은 손싸움이다.
를 얼마나 잘 피하냐가 라인전 승패를 가른다. 장막이 없을 때 딜교환은 금물이다.
를 맞았다간 순식간에
로 인해 걸레짝이 되고 말 것이다.
카시오페아는 정말 강하기 때문에 주의한다.
를 깔면
를 탈 수 없음에 주의.








룬




스펠









동실력이라는 가정 야스오가 좀 더 유리하다. 수십만점씩 플레이한 카타리나 장인들은 상대가 누구든지 간에 카타 픽을 박는 정신병자들이기 때문에 야스오를 상대하는데 도가 튼 고수들이다. 카타리나 상대로는 룬에 방어를 박는 게 좋다. 못하면 이렇게 쉬운 상대가 또 없지만 숙련도가 올라갈수록 무서워지는 장인 챔이므로 철저히 이길 수 있는 상황에만 맞딜을 거는 게 좋다. 첫째, 내가 맞딜을 걸기 위해 접근했을 때 카타리나가
로 안전히 빠져나갈 수 없는 라인 상황인가. 둘째,
과
가 있는가. 카타리나의
를 막는다면 딜교환은 절대 질 수 없다. 보통 카타리나들은 당기는 라인을 유지하면서
짤짤이로 장막 or 피를 깎다가 킬각을 잰다. 그런가 하면 초반에 빡세게 딜교하는 타입의 카타리나도 있었다. 유연하게 플레이하는 게 좋다. 경험이 쌓이면 이때 딜교해야겠구나, 빼야겠구나 하는 감이 잡힐 것이다.
이 나왔을 때 스킬 풀콤을 맞는다면 원콤이 날 수도 있으므로 주의. 장인들 답게 얼탱이 없는 킬각을 잰다. 라인에서 카타리나가 없어지면 위험핑을 탑 바텀에 3번씩 찍는다. 킬 먹으면 특히 무서워지는 챔피언 중에 하나이므로 실수가 없도록 주의.







룬




스펠









그냥 쉽다. 코르키가 하는 모든 공격이 장막에 막히는 데다가 피하기도 쉽기 때문에 아주 스무스한 상대. 로켓배송으로 가는 로밍만 조심한다.

룬




스펠









키아나의 주된 딜링인
는 장막에 막히므로 쉬운 상대이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이 얼음원소와 대지원소는 미니언에 팅굴 시 그 뒤까지 파편이 튀어 딜을 입게 된다. 그런데 팅기는 판정은 투사체가 아니라서 미니언 뒤에 있으면 장막을 써도 딜을 받을 수가 있다.
자체를 팅기기 전에 막으면 막힌다.
판정이 제법 후해서 장막을 늦게 쓰면
는 사라지는데 파편 딜이 박힐 수가 있다.




그리고 6렙 이후 장막 없을 때
각 주지 않도록 유의. 원콤 당할 수가 있다.


룬




스펠









탈론의 경우는 초반 맞딜할 때
를 근거리에서 맞으면 이길 수가 없다. 그냥 깡딜이 장난아니다.
는 근접해서 찌르면 치명타가 뜬다. 2렙까지는 앵간해서 맞다이를 하지 않는 게 좋다.
는 바로 막으면 좋지만 반응 못했다면 장막을 뒤로 써서 막아준다. 3렙 전에 무리하게 딜교하려거나 혹은 cs를 챙기려다가 킬을 준다면 유령무희가 뜰 때까지 탈론과 맞다이를 이길 수 없을 뿐더러 로밍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에 게임이 터질 수도 있다. 천천히 하자. 3렙 이후에는 야스오가 유리해진다.
로 인한 로밍만 주의해준다. 시간은 야스오의 편이므로 무리하게 솔킬을 따려거나 할 필요는 없다. 탈론은 키아나와 비슷하게 바텀 로밍 성애자이므로 바텀쪽 우리 정글과 바위게 쪽 시야를 잘 먹어주면 게임이 아주 스무스하다.





룬




스펠
혹은 











상대 정글에 하드 cc가 있다면
를 택해준다. 트위스티드 페이트는 장막에 모든 스킬이 막히기 때문에 쉬운 상대이다. 잘하는 트페들은 거리조절 열심히 하면서 야스오의 장막을 빼기를 유도한 뒤에 갱콜을 한다. 장막이 없는데 적 정글의 위치가 파악이 되지 않는다면 딜교환은 금물. 접근하여 골카만 막는다면 딜교환은 압살할 수 있다. 6렙 이후 미아핑은 필수. 라인을 계속 쭉쭉 밀어서 궁로밍을 갈 수 없게끔 트페를 라인에 박아놓은 뒤 적 정글을 조지는 것도 나쁘지 않은 플레이다.


룬




스펠









최근 미드파이크가 또 나오는데 야스오로는 매우 쉬운 상대. 맞딜은 질 수가 없지만
와
로 솔킬각은 잘 나오지 않는다. 파이크는 6렙 전 라인푸쉬와 cs수급능력이 매우 낮으므로 3렙 빅웨이브를 만들어 박아놓고 바위게 백업을 간다. 그 뒤엔 당기는 라인이 형성되므로 파이크의 cs를 통제하면 된다.
는 장막에 막힌다. cs를 버리고 로밍가서 이득을 보려 할 수도 있는데, 중요한 오브젝트 싸움에서만 라인을 밀어주고 합류한다. 사이드 시야를 착실히 먹어준 뒤 아군이 사리기만 하면 파이크는 알아서 말라죽게 된다.




룬




스펠 
혹은 











의외로 할만한 챔피언. 첫 귀환전 어떻게든 판테온의
를 피한다면 맞다이는 해볼 만 하다. 판테온을 상대할 때는
를 아껴두었다가 판테온이 무적기를 쓰는 순간
로 넘어가서 패줘야 한다. 판테온의 스택을 유심히 보면서 플레이하면 쉽다. 판테온의 강화
를 맞으면 이기기 힘들다. 판테온이
를 내 패시브에 박는다면 할만하다. 실수해서 2~3킬 씩 주지 않는 이상 7~8렙 전까지만 힘들고 그 이후로 갈 수록 맞다이는 이기기 쉬워진다.
가 뜨는 순간부터 맞다이는 실수를 크게 하지 않는 이상 이긴다.
는 강철 폭풍 회오리로 끊을 수 있다.








룬




스펠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둘 다 미숙련자일 경우 피즈가, 둘 다 숙련된 유저일 경우 야스오가 유리하다. 나도 피즈를 즐겨하는 유저로서 피즈의 딜교환의 기본은
평
이다. 생각보다 아프므로
이나
가 없다면 거리를 주지 않도록 한다. 피즈가
로 들어올 때 맞
를 해준 뒤 계속 평타 딜교하면 질 수가 없다. 피즈가
를 나에게 쓰던 적에게 쓰던
로 피해주면 질 수가 없다.
은 장막에 막힌다. 피즈 잡기술 중에 
은 확정으로 궁을 처맞으므로 주의. 어렵지 않은 상대이지만 암살자가 다 그렇듯이 갱킹이던 솔킬이던 1~2킬 주면 이기기 힘들어지므로 항상 조심하며 플레이한다.
를 가면 1대1은 스킬을 다 맞지 않는 이상 이긴다.













라인 / 정글 운영법
초반 운영법
중반 운영법
후반 운영법
팀파이트시 역할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0명

0% (0표)

0% (0표)

0% (0표)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