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작 아이템.
(
)도란의 반지 vs (
)암흑의 인장 vs (
)부패 물약
(
)도란의 반지 :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 구매하며, 보통 90% 이상 구매합니다. (
)암흑의 인장 : 팀끼리의 교전이 잦을 것 같다고 예상될 때 구매합니다. 팀끼리의 교전이 잦으면 킬 관여를 할 확률이 올라가고,
인장 스택을 쌓을 수 있기 때문에 인장을 선택합니다.
(
)부패 물약 : 라인전에서 딜교환이 잦을 것 같다고 예상 될 때 구매합니다. 부패 물약이 도란의 반지보다 물약 갯수도 많고, 추가 데미지 때문에
딜교환을 하면 보통 이득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신화 아이템.
(
) 마법공학 벨트 : 상대방의 챔피언이 사거리가 (
)애니와 많이 차이나서, 접근하기 어려운 상대방일 때, 마법공학 벨트를 사용하여
돌진 및 이동속도 증가 효과로 접근하기 위해 사용한다.
최근 패치로 마관까지 얻었기에 매우 좋아진 아이템이다.
(
)균열 생성기 : (
)애니는 상대방을 한 번에 잡아야 하는 챔피언이기에, 주문 흡혈 효과는 별로라고 생각했기에 구매해본 적 없습니다.
(
) 밤의 수확자 : 이전에는 (
)루덴의 폭풍보다 강력했기에, (
)여눈을 구매한 뒤, (
)밤의 수확자를 구매하는 트리가 있었으나, 현재는 거듭된 너프로 (
)루덴과 데미지가 비슷하기에, (
)루덴의 최대 마나 +600 을 포기하면서까지 (
)밤의 수확자 아이템을 구매하는 메리트가 없기에,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서는 거의 구매하지 않는 편입니다.
(
) 루덴의 폭풍 : 애니의 교과서같은, 애니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아이템. 적절한 주문력, 충분한 마나, 심지어는 마법 관통력까지
애니에게 필요한 옵션들만 가지고 있는 최적의 아이템.
대부분의 상황에서 구매하며, 구매했을 때 성능은 확실하다.
(
) 리안드리의 고뇌 : 상대팀에 뚠뚠이들이 많다면 루덴보다 효율이 좋습니다. 마법 저항력을 %로 깎아서, 딜을 넣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하위템이 (
)가 아니라 (
)라서 템이 안꼬이는건 덤
11.6 패치로 매커니즘 변경, 사용 후 알려드리겠습니다.
애니의 단점이 보이드가 나오기 전까지 탱커를 녹이기가
힘들다는 점인데, (
)로 이제 충분히 잡기 편해졌습니다. 대신 상대방에 탱커가 없다면 효율이 떨어지게 바뀌었네요.
(
) 만년서리 : 기존에는 별로였으나, 최근 버프를 받아 좋아진 아이템이다. 사용 딜레이가 줄었으며, 하위템에 (
)점화석이 생기며 템이 꼬일 확률은 Down↓안정성은 Up↑ 되었다.
패시브의 기절이 끝날 때 즈음 사용해 준다면, 속박이 다시 걸려
상대방에게 Q스킬을 확정적으로 두 번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상대팀에 한번에 잡지 못하며, 거리조절이 필요한 챔피언이
있을 때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Ex (
), (
), (
)
(
) 슈렐리아의 군가 : 기존에는 애니의 부족한 기동성을 (
)로 채웠으나, (
)의 지속적인 너프로 이동속도 상승량 및 시간이 짧아, (
) 대신 (
)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 (
) 은 기본 주문력이 다른 아이템들에 비해 낮아, 부족한 주문력을 채워줄 수 있는 (
) 룬이 필요합니다.
----------------------------------------------------------------------
전설 아이템.
(
)모렐로노미콘 : 이번 11시즌에 들어서며 체력 회복 관련 사항이 많아졌습니다. (
). (
), (
), (
) 같은 아이템들도 있을것이고, (
)아트록스, (
)피오라, (
)네네통, (
)야스오, (
)요네, (
)아칼리 (
)사미라,
)아펠리오스 등 이전 시즌에 비해 치유 감소 효과가 더욱 필요해졌습니다.
치유 감소 효과가 필요하다면 구매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
)만 구매하거나, (
)를 대신 올리는 편입니다.
(
)공허의 지팡이(보이드) : " Simple is Best " 가 무엇인지 가르쳐주는 아이템. 단순하게 주문력과 마법 관통력 40%를 갖고있으며,
%마관은 상대방의 마법 저항력을 뚫을 수 있다.
마법 저항력을 고정수치가 아닌 %로 깎기 때문에
상대방의 마법 저항력이 높을수록 효과적이다.
내가 성장을 못 한 상황에 (
)를 구매한다면, 어떻게든 데미지가 나오게 할 수도 있다.
(
)존야의 모래시계 : 애니가 한 번 들어간 뒤, 한 턴의 생존을 책임지는 아이템. 상대 미드가 AD 암살자 일 때 선템으로 고려해볼만 하다.
모든 스킬을 사용한 이후 존야의 모래시계를 사용한 뒤,
(
)스킬의 쿨타임을 기다리고 한 번 더 사용할 수 있다.
(
)밴시의 장막 : 상대방의 정글과 미드가 둘 다 AP 일 때 2코어로 추천한다. 물론 정글이 아니라 그냥 2AP 이상일 때에도 상관 없다.
스킬을 막는 것 보다는 적절한 마법 저항력과 주문력을
밴시의 장막 하나로 챙길 수 있기에 선택해주는 편이다.
(
)우주의 추진력(우추) : 쿨감, 이속, 체력 애니에게 분명 좋은 것들만 섞었는데.. 주문력 160 달성 시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40
상시 이동속도 고정 추가 2~30
체력 +200 분명 좋은 옵션들만 섞어서 좋아야 하는데..
막상 사용해보면, 다른 아이템이 더 좋은 것 같다..
예를들면 (
).. 그냥 (
) 아이템 자체가 너무 좋다.. 1코어로 우주의 추진력을 가는 빌드가 존재한다.
(
)라일라이의 지팡이 : 완성하면 진짜 좋은 아이템..인데? 뭔가 애매하기도 하고.. 라일라이와 애니 자체의 조합은 정말 좋습니다.
(
)의 주위 마법 딜 때문에 계속 발동되는데, 이 때문에 이동속도 감소 효과가 계속 적용된다.
하지만, 라일라이를 구매할 상황이 안 나온다.
완성하면 좋은데, 2코어로 사자니 생존성이 부족하고,
2코어 이후에 사자니 다른 템보다 데미지가 안나온다.
(
)대천사의 지팡이 : (
), (
), (
) 얘네 셋 살거면 사지 말자. +(
)대천사의 포옹 그럼 언제 구매하느냐? (
), (
) 얘네 살 때 마나를 안 주는 신화 아이템을 살 때 (
)를 올리면, " 대천사를 3코어 즈음 올려주면 된다. " 라고는 하지만,
필자는 그 돈 마저도 아까워서 다른 템을 올리는 편..
어떤거 구매하냐구요..? 알고 계시잖아요.. (
)..
(
)라바돈의 죽음모자 : AP 챔피언들이 모두 탐내는 아이템이지만, 너무 비싸다. 이전 시즌에는 3600골드였잖아요... 돌려주세요..
완성했을 때부터는 데미지가 진짜 끝장나는데,
완성할때까지가 너무 힘든 아이템, 3800 골드를 차라리
(
) 이거 하나 사고, 남은 골드를 다른 아이템 사는게, 더 빠른 타이밍에 딜을 가져올 수 있기에,
요즘은 별로 선호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이거 완성하다가 게임이 먼저 끝나버리는..
이번 11.5 인가 11.6 패치로
라바돈의 가격이 다시 3600 골드로 바뀐다고 합니다.
소리 질러!!!!!!!!!!
(
)지평선의 초점 : 주문력 115, 스턴 적용 시 추가 데미지 10% 엄청 좋아보이죠? 개인적으로 저는 이 아이템 함정 같습니다.
일단 주문력 115, 3,000 Gold 내에서는 주문력이 엄청 높아요.
근데 진짜 그게 전부에요. 추가 데미지 10%? 티도 안나요.
내가 데미지 2,000 넣는다고 가정하면, 200 늘어나는건데
체력이 없어서 스킬 하나만 맞으면 죽는 유리몸이라
200 딜 추가로 넣으려다가 먼저 죽는 수가 있어요.
생존은 당연히 (
), (
) 이 둘이 더 좋고, 데미지는 슬로우로 스킬 한 번 더 넣을 수 있는 (
) 혹은 % 마법 관통력 때문에 (
) 가 훨씬 더 좋다고 생각해요.
(
)심연의 가면 : 위 (
) 아이템의 옵션과 비슷하지만, 약간 다릅니다. (
)의 데미지 10% 증가 옵션은, 애니 본인만 적용됩니다. 하지만, (
)의 데미지 10% 증가 옵션은 팀까지 적용됩니다. 체력 +350 까지 붙어있으니 안정성이 오르는건 덤이겠네요.
상대팀에 AP 캐릭터의 비중이 많다면, 고려해볼만 합니다.
(
)악마의 포옹 : 첫 출시 당시에는 괜찮은 아이템 같았으나, 막상 출시하고 사용해보니 다른 아이템들의 효율이 더 좋거나,
(
)악마의 포옹을 구매할 타이밍이 애매하거나, (
)악마의 포옹을 구매할 아이템 칸이 없거나..
----------------------------------------------------------------------
신발 구매법.
(
) 아이오니아의 장화 : 반 박자 빠른 스펠 및 스킬 가속
1번 상황 - 팀에 나 말고 또다른 AP 챔피언이 있을 경우.
팀에 다른 AP 챔피언이 있으며, 그 챔피언이 나보다 잘 커서 딜을 잘 넣는다면,
애니는 스턴 셔틀일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이 장화를 구매하여
스킬 쿨을 돌리고, 스택을 쌓아서 스턴을 한 번이라도 더 넣도록 하자.
2번 상황 - 팀에 나 말고 또다른 AP 챔피언이 없을 경우.
팀에 AP가 나 혼자지만, 나 말고 팀의 다른 챔피언들이 압도적으로 잘 커서
내가 딜을 넣을 필요가 없을때에도 스턴 셔틀이므로,
쿨감신을 구매해서 스턴을 한 번이라도 더 넣도록 노력하자.
(
) 마법사의 신발 : 고정 마법 관통력으로 데미지를 확실하게 보장한다.
말이 필요한가? 데미지가 필요하면 구매해주도록 하자.
(
) 판금 장화 : 방어력 및 기본 공격 피해량 감소
상대방의 AD의 비중이 많으면 구매하겠죠..?
근데 그럴거면 존야를 사지 이걸 굳이..? 싶어서 저는 안삽니다.
(
) 헤르메스의 발걸음 : 마법 저항력 및 강인함으로 CC 시간 감소
상대방의 CC가 많거나 AP의 비중이 많으면 구매를 고려해볼만 하겠지만,
에초에 애니는 CC를 한 번 맞으면 죽는거나 다름이 없기에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는 구매하지 않는 편입니다.
----------------------------------------------------------------------
2021.04.22 추가
(
) + (
) 템트리 연구중..
(
) 균열 생성기 : 기존에는 애니가 무슨 흡혈이 필요한가? (1) 데미지의 10% 고정딜은 좋은데.. 5스택을 쌓고
싸움을 시작 할 수가 있나? (2) 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미드는 라인 유지력 없이는 매우 힘듭니다.
(
), (
), (
) : 기발 3남매, 자꾸 어디서 피 채워옴 (
), (
), (
), (
), : 스킬 한 콤보 맞으면 집 가야함 (
), (
), (
) : 무빙 한땀 한땀에 정성을 다해야함.
이 친구들을 대항하기 위해서는 나도 라인 유지력을 올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기존에는 (
), (
) 를 사용했지만, 현재 (
) 는 너프를 먹고 거의 안쓰고, (
) 만으로는 버티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
) 아이템을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애니는 (
)스킬이 있기 때문에 막타를 먹으면 마나를 전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
)가 있다면, 마나를 돌려받으며 체력까지 회복할 수 있습니다. 무한동력!
그럼 이제 (2)번이 문제인데.. (
)가 이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
) 의 도트딜 옵션이 (
)의 지속시간을 갱신해줍니다. 따라서, (
), 혹은 (
) 스킬 중 하나만 상대방에게 맞추더라도, (
) 의 5스택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10%의 고정데미지와, (
), (
) 의 체력 +650 을 갖고 있으며, 흡혈도 갖고 있고 탱커도 잘 잡는 브루저 애니가 탄생합니다.
체력 +650 때문에 한 번에 죽지 않으며, 흡혈 때문에 오래 싸울 수 있고,
10%의 고정 데미지 때문에 데미지가 약한 것도 아닙니다.
기존의 (
) 아이템을 구매하는 (
)의 경우에는 스킬을 한 번 쏟으면 끝이지만, (
) 를 구매한다면, 이전 시즌의 영겁의 지팡이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물론 고정딜 때문에 데미지는 더 잘 나오며, (
) 덕분에 체력과 방어력, 마법 저항력 모두 괜찮게 나오는 편입니다.
하지만 영겁의 지팡이처럼 마나는 안달려있으니 (
) 아이템을 사주어야 합니다.
상대방에 물몸이 많다면, 그냥 (
) 아이템을 구매해주시면 되고, 상대방에 탱커가 많다면 (
) + (
) 아이템을 추천드립니다. 탱커가 많다면 (
)가 맞지 않나요? 라고 하실텐데, (
)를 구매했을 때 기본 체력이 낮아서 스킬 하나를 맞고 먼저 죽거나 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
2021.05.12 추가.
선 우주의 추진력 빌드.
룬.
스펠
아이템
설명
블라디미르가 선 우주의 추진력 빌드 가는 것을 보고 똑같이 만들어봄.
블라디의 경우
때문에, 교류기와 우주의 추진력만 구매하더라도, 체력으로 주문력을 전환하여 160이라는 주문력을 채울 수 있지만, 애니는 다릅니다.'
1코어로 우주의 추진력을 구매할 때 늦게나오면 1코어 신화템에 비해 메리트가 없으니,
" 최저의 비용으로 160의 주문력을 달성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 롤 고민하던 중 연구한 빌드.
우주의 추진력 발동 조건은 주문력 160 달성이며, 자체 주문력은 75 입니다.
시작 아이템은 인장과 도란링중 어떤 아이템을 구매하더라도 상관은 없지만,
인장의 경우 킬 관여시 주문력이 오르기 때문에 저는 인장을 선택했습니다. (+15)
교류기는 블라디도 사주는 아이템이기도 하고, 애니에게도 어울리는 아이템입니다. (+40)
마나가 부족해서 양피지로 대체해도 상관 없습니다. 대신 템 나오는게 늦어집니다.
여기까지 ( 130 ) 의 주문력을 챙겨주었고, 나머지 30의 주문력을 챙겨주어야 합니다.
그냥 다른 주문력 아이템 사서 채워주면 되는거 아니냐? 하실수도 있습니다.
근데 그렇게 되면, 템 나오는게 늦어져서 1코어의 신화 아이템을 포기하고
우주의 추진력을 구매하는 메리트가 없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구매해야 합니다.
나머지 ( 30 ) 의 주문력 중 ( 18 ) 의 주문력은 룬 에서 ( 
) 를 선택해서 채워줍니다. 나머지 ( 12 ) 의 주문력은 어떻게 채워야하나 고민하던 중, 지배의 세 번째 줄을 떠올렸습니다.
(
,
,
) 세 룬 모두 주문력을 주는 룬입니다.
의 경우에는 좀비 와드를 생성해야 주문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의 경우에는 킬 관여시 주문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두 룬은 ( 12 ) 의 주문력을 얻기 위해서는 6 스택을 쌓아야 합니다.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로 6스택을 쌓기 위해서는, 와드 제거 및 설치를 6번 해야합니다. ( 쓸만함 )
로 6스택을 쌓기 위해서는 6 번의 킬관여를 해야합니다.물론 킬관여 6번 할 수 있죠, 하지만, 매 판마다 6 스택을 금방 쌓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의 경우에는 소환과 제거 모두 스택이 쌓입니다. 이게 무슨 의미냐? 와드를 세 번만 사용하면 6스택을 쌓을 수 있습니다.
두 룬과 비교했을 때 매우 간단한 조건입니다. 또한, 매 판마다 와드 세 개는 박을 수 있잖아요?
따라서 이 룬으로 ( 12 ) 의 주문력을 챙겨준다면 ( 160 ) 의 주문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2021.05.19 추가.
선 신발, 밤수 빌드. (W선마)
설명.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 요즘 미드 라인 자체가 캐리형 라인보다는
다른 라인의 백업을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바위게 백업 본다거나, 탑 혹은 봇에 싸움이 났을 때 합류해주거나..
애니는 벽을 넘을 수 없기 때문에 합류가 늦어질 수 밖에 없는데,
이를 포식자가 커버해줄 수 있고, 물론 한타에서도 포식자를 사용해서 상대방의
주요 딜러진을 노리는게 오히려 요즘 감전을 드는 것 보다 좋다고 생각합니다.
첫 귀환전에는 여눈을 사서, 스택을 천천히 쌓고 신발 살 돈을 모은 다음,
귀환을 해서 신발을 구매해준 다음부터는 백업 위주로 플레이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눈을 샀으니 체력과 딜을 모두 챙길 수 있는 밤의 수확자가 적합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벨트도 나쁘진 않겠지만, 벨트를 사용해서 상대방이 맞으면 포식자가 꺼집니다..
2코어는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이드 혹은 라바돈을 구매해줘서
데미지에 올인 하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