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공략이 맞다는 과신도 하지 않으나, 세트를 하고 싶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적은 공략글입니다.
부족한 것도 많고 틀린 점이 있을 수 있더라고 나름대로
추후에도 업데이트를 할 생각이니 참고용으로 봐주시길 바래요!
세트는 확실히 쉽고 세며 간단해 롤을 입문하시는 초심자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챔프 중 하나입니다.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70 (+114) | 2608 | 마나 | 0 (+0) | 0 |
공격력 | 60 (+4) | 128 | 공격 속도 | 0.625 (+1.75%) | 0.811 |
5초당 체력회복 | 6 (+0.5) | 14.5 | 5초당 마나회복 | 0 (+0) | 0 |
방어력 | 33 (+5.2) | 121.4 | 마법 저항력 | 28 (+2.05) | 62.85 |
이동 속도 | 340 | 340 | 사정 거리 | 125 | 125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보조룬은 라인 유지력이나 cc기, 한방싸움을 위한 결의를 들어주세요.
상대가 한방이 강해 맞다이로 풀어나가야 한다면 , 유지력이 필요하거나 상대가 짤챔일때는를 들어주세요.
상대가 cc기가 많다면, cc기가 위협적이지 않다면을 들어주세요.
하위룬은 상대에 따라 첫룬은, 두번째 룬은은 고정, 마지막 룬은,중 골라서 들어주세요.
(이 빌드는 요즘엔 아예 안 쓴답니다! 집공보다 정복자가 훨씬 좋아요.)
(다리우스 같은 뒤 없이 계속 싸우는 챔프 상대로도 좋습니다.)
쉔과 피오라, 모데카이저를 제외한 탱커나 다른 챔프에게는 를 드는 때도 있습니다.
착취 룬 : / , / , / / ,
상대가 피흡이 강해 치감이 필요하거나 맞딜을 무조건 이겨야만 하는 상대라면를 들어주세요.
은 라인 손해를 최대한 줄여주는 안정적인 스펠이고, 는 라인전을 압도하는 스펠입니다.
- 왼쪽 주먹은 일반 피해량을 입힙니다.
- 오른쪽 주먹은 더 빠르며 5(5x레벨)+(0.5 추가 공격력)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반인반수의 심장 : 세트가 잃은 체력의 5%당 0.15/0.5/1.0/2만큼 추가로 체력을 회복합니다.
세트의 다음 두 번의 기본 공격은 10/20/30/40/50(+대상의 최대 체력의 1%)(+총 공격력 100당 1/1.5/2/2.5/3%)의 피해를 입힙니다.
몬스터를 상대로는 펀치당 최대 400의 피해를 입힙니다.
사용 시 : 세트가 힘을 모은 후 투지를 모두 소모하여 지정한 방향으로 강력한 펀치를 날리고 중심선에 있는 모든 적에게 80/100/120/140/160 (+소모한 투지의 25%+추가 공격력 100당 25%)에 해당하는 고정 피해를 입힙니다. 중심선 밖에 있는 적들은 물리 피해를 입습니다.
또한, 3초 동안 소모한 투지만큼 보호막을 얻습니다. 보호막은 빠르게 사라집니다. (사정거리: 790, 범위: 805)
몬스터에게 100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사정거리: 49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12.17 패치 이후로 e에 달린 둔화가 50%에서 70%로 늘었습니다. 그냥 사용하면 체감이 되지 않으나
보시다시피, 세트의 일반 스킬 중 광역 스킬이 2개인데, 이 두 개의 스킬의 중요도가 정말 높고,
쿨도 각각 W 18초, E 14초로 많이 긴 편입니다. 따라서 E와 W의 스킬 사용 하나하나에 신중과 집중을 요하고,
두 스킬이 모두 쿨타임인 시점에서 상대의 스킬이 먼저 돌 것 같다면 사리셔야 합니다.
뒤에 있는 미니언을 활용해 스턴을 먹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평타 활용 팁인데,
평타를 칠 때 가만히 서있는 채로 말뚝딜을 박지 마시고 평타와 평타 사이에 딜레이가 있는데,
그 사이에 무빙을 섞으면서
스킬 마스터 활용 팁인데,
w는 초반부엔 스킬을 두개까지 찍었을때만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
q가 계수 비례 효율이 높아 초반에 별로인 거라 선 딜템 빌드를 타실 경우엔 그냥 q선마를 해도 되긴 합니다.
만만한 상대라면 w를 더 찍지 않고, q선마부터 하면 되지만,
라인전을 강하게 가져가야만 하는 상대라면 w를 두 번 찍고 q선마를 추천드립니다.
잭스같은 스킬 쿨타임으로 승부봐야 하는 상대면 w 선마도 좋습니다. 상황과 취향에 따라 마음대로 결정하셔도 됩니다.
아주 아주 정말 가끔씩 루비수정 2포션 스타트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앞장서서 나 혼자 탱을 해야 한다면 얼건이나 미덕을 올립니다.
얼건이나 미덕 빌드는 주로 몰락을 보조하는 몰락 얼건 빌드, 탱 빌드로 나뉩니다.
전자는 간단하게 몰락 후 얼건을 기용하면 됩니다. 몸이 지나치게 약했던 기존의 몰락 발분 빌드의 내구성을 보완하나
W 딜이 거의 무의미한 수준까지 추락합니다. 발분 세트와 몰락 얼건 세트는 완전히 다른 챔프라 보시면 됩니다.
후자인 탱 빌드는 주로 착취 세트를 사용할 때 활용합니다.
그러나 세트 특성상 공템이 하나 쯤은 있어야 뭐라도 할 만 해 질 정도로 공격력 계수를 많이 받습니다.
따라서 탱템 이후 바로 거드라를 올리며 탱템을 올리기 전 거드라 하위템인 티아맷을 먼저 올립니다.
이른바 티아맷 - 얼건/미덕 - 거드라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네요.
2코어로는 몰락이나 탱 빌드를 타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쇼진과 스테락, 거드라 빌드 중에서 선택합니다.
쇼진을 올리면 보통 3코어로 스테락을 올립니다. 2코어 타이밍의 고점이 높아 가장 자주 기용하는 빌드입니다.
스테락을 올릴 때는 상대의 폭딜을 견뎌야 할 때 올립니다. 보통 이후에 3코어로는 쇼진이나 거드라를 올립니다.
거드라는 3코어 이후를, 후반을 바라볼 때 올립니다. 2코어 스테락 빌드보다 딜이 높아 후반까지 무난히 흘러갈 때 기용합니다.
쇼진-스테락 빌드는 2코어 타이밍의 고점이 높고 3코어 타이밍 이후부터는 무난합니다.
거드라-스테락이나 스테락-거드라는 3코어 이후 고점이 압도적입니다.
상황에 따라 화공펑크 사슬검이나 은빛 여명, 수호천사 등의 아이템을 올리셔도 됩니다. 세트에게 정답은 없습니다.
딜탱 빌드, W 고점을 극대화하는 빌드가 대부분의 상황에서 무난하게 승률이 좋기에 추천하는 것 뿐입니다.
만약 가고일을 올리신다 한 들 활용할 껀덕지만 있다면 세트에겐 전혀 걱정될 것이 없습니다. 상황에 따라 올려주세요.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탑에 오는 상대하기 까다로운 원거리 챔들입니다
대부붙 대쉬기와 슬로우나 넉백기가 있어 붙기도 힘든데 견제도 아파요...ㅜ
물론 붙기만 하면 충분히 이길 수 있지만, 베인같은 애들은 유체화까지 써가며
붙는 것을 막기에 너무 힘듭니다...
또한 이런 원거리에 세트는 정말로 취약합니다. 붙질 못해서 맞딜 자체를 걸 수 없습니다.
명실상부한 현메타 op챔 탑 1위 챔프로, 세트의 전통적인 카운터였습니다.
아트를 상대할 줄 모르시고, 쫄고 계시면 처음부터 끝까지 발리실 겁니다.
대신 못하는 아트는 자신감과 상대법만 있으면 0/3/0은 기본으로 만들 수 있으니,
추후 서술할 상대법을 기반으로 자신있게 싸워봅시다.
3렙전까진 맞딜이 상대가 안 되지만, 3~4렙부터는 볼리베어가 유리해지기 시작합니다.
유체화 든 세트 상대법을 아는 볼리베어는 상대하기 진짜 까다로워요.
최대한 초반 주도권으로 디나이를 하시고, 3렙이후부터는 라인이 밀려있으면 킬각이 잡히니,
최대한 라인을 당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또한 이렇게 볼리베어처럼 체급이 밀리는 상대는 체급에 몰빵한 세트가 이기기 힘듭니다.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디나이를 하면서 e 각을 보다가 덤비면 맞딜로 패 주시면 됩니다.
w를 맞추지 못하면 지지만 ew로 콤보만 넣어서 맞혀도 평타만 치면 이기는 상성입니다.
압도적 차이가 나도 후반 가면 몰왕의 뛰어난 벨류 차이로 위험해집니다.
이렐리아는 세트 출시부터 지금까지 전통적인 밥이였습니다. 쉽게 패세요.
리워크된 치속으로 인해 1렙이 굉장히 세진 상대인데요,
맞 치속을 드는 순간 1렙부터 게임 끝까지 털어버릴 수는 있으나, 정복자를 드셔도 쉽습니다
정복자라면 3렙부터 쉬워지니 3렙 전까진 싸우지 마시는걸 추천드리구요.
1킬정도 따여도 충분히 할만한 매치업입니다.
1렙에도 점화 도란칼 들고 싸우면 바르고, 도란방패에 텔이어도 3렙만 찍으면
2킬씩 따여도 이기게 되어있는 체급 딸리는 상대입니다.
사일러스나 가렌 같은, 체급이 딸리는 챔프 상대로 더 없이 좋습니다.
난이도 분류 기준 : 최상/상/중/하
우선 기본적으로 세트는 대부분의 근거리 상대로 좋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어떤 근거리를 만나도 말파나 볿베급 하드 카운터만 아니라면 적어도 40퍼센트는 가져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원거리 상대로는 전혀 힘을 쓸 수 없습니다.
가렌보다 기동력이 낮은 처참한 수준의 뚜벅이이기에 메이지가 아닌, 원거리 딜러의 경우 정말 힘듭니다.
둘 다 상대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이 아니고, 텔과 도방 재바를 통해 버틸 수 있으니 포기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난이도 : 하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방패(혹은 도란검), 추천 스펠, 룬 : 점화 정복자
가장 무난한 상대, 가렌입니다.
1렙에도 도란칼, 맞점화 들고 평타만 잘 치면서 따라가면 이길 수 있는 상대로,
w 쿨타임 때만 조금 사려주면 되는 간단한 상대입니다.
하지만 명심하셔야 합니다. 가렌의 q와 e의 쿨타임은 9초로 세트 w쿨타임 18초보다 두 배나 짧습니다.
가렌은 주로 빛망을 들고 오기에 평소 디나이를 하시다 딜교를 거셔서 체력 차이를 벌린 뒤 잠깐만 사리시면 됩니다.
난이도 : 상,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방패, 추천 스펠,룬 : 텔 정복자(재바필수)
1티어 탑챔프, 갱플랭크입니다.
견제와 화약통 심리전 때문에 까다로운 챔피언이며, 궁 때문에 한타도 좋은 챔피언이죠
q몇대 맞다가 w 쓰시면서 초반 딜교 버티셔야 합니다. 웬만해서는 라인전 이기기 빡센 편이에요.
난이도 : 중상,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검, 추천 스펠, 룬 : 점화 치속
세트처럼 맞딜로 먹고 사는 챔피언. 그웬입니다.
몰락검을 추천드립니다. 몰락 안 가면 맞딜 못 이겨요.
미드 저격 마저 너프 이후 정말 힘든 상대가 되었습니다.
난이도 : 상,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방패, 추천 스펠 ,룬 : 정복자(집공도 좋음)텔
아니면 각을 보셔서 q로 진입해서 점프를 빼시고, 쿨이 돌아온 q를 재사용해 딜교를 거셔도 됩니다.
난이도 : 정글기량에 따라 최하에서 최상까지, 시작 추천 아이템 : 검, 추천 스펠, 룬 : 점화 치속
브실골 1티어 챔, 나서스 입니다.
이 나서스를 상대론 초반에는 무조건 이기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나서스를 절대 못 막습니다.
1렙엔 그 누구도 못이기는 최약체이므로 1렙부터 경험치 디나이를 하시며 정글을 불러야 합니다.
세트 혼자서는 나서스가 다이브 각을 주지 않으니 혼자 이기는 건 굉장히 빡셉니다.
다이브를 내지 못하면 결국 못 이기는 상대이므로 어떻게든 정글을 불러서 무한 다이브를 하며
소생불가능으로 만들어둬야 합니다.
난이도 : 중상.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검, 추천 스펠,룬 : 점화 치속
대망의 다리우스 입니다. 맞딜이 굉장히 세지만, 세트로는 나름 할만한 상대로, 점화가 있거나 빅 웨이브일 때만
싸우셔야 합니다. 치속을 들면 더 쉬워지며, 쫄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해요. 다리우스는 점화만 있다면 할만한 상대로,
'누구 하나가 죽을떄까지 빼지 않겠다.'라는 마인드로 끝까지 싸우셔야 합니다.
난이도 : 중상,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검, 추천 스펠,룬 : 점화 정복자
전통적인 세트의 카운터 픽, 레넥톤입니다.
레넥톤은 1렙에 의외로 약한 편입니다. 그러므로 도란검을 들고 레넥톤을 1렙부터 패주시면 라인전이 편해집니다.
레넥톤은 기본적으로 치고 빠지는 딜교를 하기 때문에 먼저 e로 기절시켜서 공격하거나, 도망가는 걸
평타 한 대 친 뒤 빠지시면, 리븐이 빡쳐서 달려오는데, 뒤로 빼면서 평타 치면 딜교 무조건 이깁니다.
리븐 q3타를 e로 끊을 수도, w로 막을 수도 있어서 리븐을 하루종일 썩힐 수 있습니다.
짜증나는 고라니, 릴리아입니다.
릴리아 기본 이속이 빨라 세트는 e를 맞추지 못하면 릴리아를 건드릴 수 없습니다.
이속 자체는 릴리아가 굉장히 빠르니 최대한 거리조절을 잘 하셔야 합니다.
초반이 약하고 딜링능력이 떨어지는 탱커, 착취 세트의 먹잇감입니다.
난이도 : 최상,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방패, 추천 스펠,룬 : 텔 착취(재생의 바람 필수)
짜증나는 말파이트입니다.
말파와의 라인전을 정말 힘들게 만들어줍니다.
극초반엔 할만하나, 4레벨만 찍어도 맞딜이 밀리는 기적의 체급을 보여주는 미친놈입니다.
도방 너프 때문에 유지력으로 버틸 수도 없고, 극초반을 제외하면 맞딜에서 우위를 점할 수도 없습니다.
극초반에서 디나이를 하고, 그 디나이부터 천천히 굴려 cs 차이를 벌려줍시다.
말파가 궁 쓰면 저희도 궁으로 씹으면서 최대한 죽지 않고 cs를 먹으면서 한타를 기약하시면 좋습니다.
난이도 : 중,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검(혹은 도란방패), 추천 스펠, 룬 : 텔 아니면 점화, 치속
빡센 상대죠, 모데카이저 입니다. 모데카이저가 빡센 상대이긴 하나, 초반엔 세트보다 약하기에
초반부터 이득을 봐 주시면 그리 힘든 상대가 아닙니다. 모데 궁 선딜이 길어서 궁으로 씹을 수도 있지만,
그게 안되더라도 모데 q를 w로 씹으면 확정 고정뎀을 입힐 수 있습니다.
난이도 : 중~상,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방패, 추천 스펠, 룬 : 텔 정복자
짜증나는 문도입니다.
큰 데미지를 입힐 수 있으니 괜찮아요. 웬만하면 최대한 견제 맞지 마시고 파밍하시는게 좋습니다.
전형적인 세트의 카운터, 볼리베어입니다.
맞딜 자체로는 볼베가 세트를 못 이기는데, 유체화 들고 지 스킬 쿨만 돌리면 답이 없어요.
지금 버프먹고 나서 1레벨이 상당히 강해졌는데, q를 최대한 피하셔야 할만합니다.
사이온입니다. 1렙이 그리 강하지 않으니 1렙 싸움을 걸어도 괜찮아요.
난이도 : 중,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방패, 추천 스펠, 룬 : 텔 정복자(재바 필수)
아트가 버프를 먹어 더 힘들어 졌습니다. 전반적으로 딜이 강해져 유지력에서 많이 밀리는 경우가 자주 나오니,
최대한 초반에 이득을 보시고, 이를 굴리시면 좋습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체력 차가 많이 나더라도 일단 올인 싸움을 하면 오른이 지는 상성입니다.
6렙 이후까지 킬을 내지 못했다면, 서로 궁 키고 싸웠을 때 맞딜이 딸려 이기기 힘듭니다.
따라서 맞 유체화를 들고, 올라프가 궁을 쓸 때, 도끼를 던지는 반대방향으로 궁을 써 궁을 꺼 줍시다.
올라프 궁이 없으면 이기고, 있으면 지는 간단한 상대입니다.
6렙 이후에도 반피 이후부터 점화만 걸고 싸우면 피흡이 절반씩 팍팍 깎여나가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배리어 치감 패치 이후 어려운 상대가 아니기에 난이도 '중'을 줬습니다.
이렐 e 스턴은 가능한 한 피해주시되, 이렐e 타이밍에 맞e로 스턴을 먹이거나 궁으로 스턴 자체를 씹을 수도 있습니다.
몰락 타이밍만 조금 조심하시면 걱정할 일은 없겠습니다.
난이도 : 중,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검, 추천 스펠, 룬 : 점화 치속
잭스는 1렙에 반격을 찍습니다. 이후 잭스의 반격에도 E 혹은 W로 응수합니다.
E응수는 잭스가 까까이 오자마자 E로 스턴을 먹이는 겁니다. 맞히면 때리고 반격 켰으면 아님 말구 시전하며 튑시다.
만약 반격을 쓰지 않은 잭스에게 스턴을 먹이는 데 성공하셨다면 딱 평타 두 대만 때리고 튀어야 합니다.
이는 초중후반 모두 같은 사항으로, q를 바로 써서 eqq 박고 바로 째도 됩니다. 평타 세 대 이상은 무조건 막힙니다.
W응수는 평타로 반격을 유도하고, 반격 타이밍에 W를 박으시면 됩니다.
대신 1렙 W는 잭스 반격과 쿨타임이 4초동안이나 차이가 나 라인 주도권을 뺏길 확률이 높습니다.
W를 3렙 정도 찍어서 반격 쿨과 맞추는 것도 고려해 볼 만 합니다.
팁이 있다면, 제이스가 근거리 폼에서 원거리 폼으로 막 바꾼 순간에 붙을 수 있다면 킬각을 볼 수 있습니다.
제이스 궁 쿨타임이 생각보다 길기에, 그냥 붙어서 때려도 저항도 못하고 도망만 치는 모습을 보입니다.
난이도 : 중, 시작 추천 아이템 : 도란방패, 추천 스펠, 룬 : 텔 정복자
메두사, 카시오페아입니다.
카시는 기본적으로 초반이 정말 정말 저어엉말 약한 상대입니다. 한 번만 끌 수 있다면 체력을 절반 넘게 깎을 수 있고,
마나 자체가 부족해 제 피보다 카시 마나가 더 빨리 다는 편이라 초반이 너무 쉽습니다.
카시는 첫귀환에 카탈리스트를 뽑으면 좋은데, 카탈리스트를 뽑기 전에 텔을 빼 주시면 최곱니다.
카탈리스트가 뜨고 6렙이 되면 천천히 주도권이 넘어갑니다. 초반에 이득을 많이 보셔야 해요.
카시 Q를 신경써서 피해주시고, 늪 걸리면 궁 못 쓰니까 조심해 주시고, Q 안 맞게 조심하시다 끌고 패시면 됩니다.
Q만 안 맞으면 이속도 느리고 맞딜도 한 없이 약해서 쉬운 상대입니다.
초반이 너무 약해 굴리기 쉽고, 초반 이후에도 Q만 피해주시면 쉽지만. 후반가면 밀리기에 난이도 '중'을 줬습니다.
야스오, 요네 등등 '충'이라고 할 수 있는 유저들이 대거 몰려 근거 없이 공격적이고 무지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클레드가 빡센 편이기는 하나, 1렙에 도란칼을 들고 w를 맞춘다면 이길 수 있습니다.
라인전에서 리븐처럼 판금장화를 뽑는 것을 목표로 합시다. 딜 세서 어떻게든 버텨야 합니다.
2~3킬 차이가 나는 상황이더라도 방심하시면 훅 갑니다.
라인전 패왕, 탐켄치입니다.
티모의 독딜을 이용해 점멸-e-무빙 후 궁으로 타워로 끌어와 킬각을 주로 잡습니다.
2. 중반 이후부터 빠른 합류로 한타를 본다.
3. 상대 암살자가 많으면 원딜 뒤로, 얼마 없고 못컸으면 원딜 앞으로 서서 상황에 따라 이니시를 걸거나 받아친다.
선푸쉬를 가져올 수 있다면 선푸쉬를, 그게 아니라면 천천히 cs만 드시면서 파밍하시면 됩니다.
상대가 극초반 교전이 압도적으로 강하거나 초반 교전을 열 시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면 정글에게 사리라고 하고
라인을 당긴 채로 천천히 파밍하시고, 그게 아니라면 2분 30초까지 두 번째 라인을 타워에 박은 뒤 와드를
부쉬에 박고, 라인을 당긴 뒤 프리징하여 딜교각을 봅니다.
기본적으로 주도권을 가진 쪽이 정글 커버를 갈 수 있으니 같은 초반에 다이브를 해야 하는 상대가 아니라면
라인을 빨리 미시고 와드를 박으신 뒤, 정글 커버를 봐주시는게 좋습니다.
세트가 초반 교전이 강해 초반 교전을 열수록 좋습니다.
물론 정글의 상성차이는 적당히 고려해서 교전을 열어야겠죠.
1렙부터 딜교를 걸고 싶다면 e를 찍고 거리를 좁히고평타 치시다 도망가려 하면 끌고 평타 치며 싸우시면 됩니다.
원거리 상대할 때는 대부분 w를 찍고 조금만 맞다가 w로 딜교와 미니언 파밍을 겸비하며 버팁니다.
상대가 만만하다면 디나이를 하셔도 되지만, 어떻게든 말려야만 하는 상대가 아니라면 두번째 라인까지 빠르게 미시고
라인을 타워에 박은 뒤 2분 30초쯤에 상대쪽 부쉬에 와드를 박아 시야를 확보하는 게 좋습니다.
바위게 싸움이 일어날 거 같으면 먼저 박은 라인 상황과 위치를 근거로 바위게 싸움을 열어도 좋습니다.
그 이후에는 상황에 따라 아군이 카정을 가면 라인을 박고 합류를, 아군이 아랫 동선을 짜거나 초반 교전이 밀리면
라인을 적당히 당기시며 갱 회피랑 좋은 딜교각을 보시며 성장하시면 됩니다.
라인전이 끝난 이후로 라인전에서 우위를 점하고 골드차이를 충분히 벌리셨다면 굴려 나가시면 됩니다.
상대 위치를 고려하여 사이드에서 계속 성장하시거나 소규모 교전을 계속 엽시다.
미리 벌려둔 차이로 교전을 휘어잡읍시다.
틈틈히 성장하시면서 빠른 합류로 한타를 보시는게 좋습니다.
사이드와 한타 둘 다 좋은 편이니 봐온 이득을 계속해서 굴리시며 게임을 부수시면 됩니다.
시야를 숨기고 원딜 뒤에 있다가 암살자 혹은 이니시가 걸릴 때 로 받아칩니다.
상대가 이니시를 걸기 힘든 원거리 조합이거나 암살자 혹은 이니시를 걸만한 탱커가 많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최대한 많은 상대에게 콤보를 넣어 판을 깔아주는 역할입니다.
결국 세트는 솔캐리가 안되는 챔프이기 때문이죠.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