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오브레전드 인벤

이 공략에 대한 당신의 평가는?
  • 글만 읽었는데 다 해본 느낌! 완벽해요!
  • 좋네요. 조금 다듬으면 베스트 공략감!
  • 제 생각에 이건 좀 아닌거 같아요.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0명
0% (0표)
0% (0표)
0% (0표)
피들스틱, 종말의 전조
Fiddlesticks, The Harbinger of Doom
0
0
0
0/0
■15시즌 JG 피들, 이게 가장 쎕니다■ 피들 빌드 총정리

- 모래놀이(2025-02-01, 조회수: 17)

새 시즌이 밝았습니다.

한 달 간 솔랭에서 해본 결과
제게 가장 좋았던 빌드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제 롤 닉은 '초식 정글 장인#KR1' 입니다.


제 방송국입니다. 궁금하신 분, 보러 와주세요!!! 관전 피드백 가능합니다.
피들스틱, 종말의 전조
소환사 주문 강타 점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18레벨
최종 수치
구분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18레벨
최종 수치
체력 594.4 (+94) 2192.4 마나 500 (+28.0) 976
공격력 48.4 (+2.63) 93 공격 속도 0.625 (+2.11%) 0.849
5초당 체력회복 5.61 (+0.6) 15.81 5초당 마나회복 8 (+0.8) 21.6
방어력 30 (+4.7) 109.9 마법 저항력 30 (+1.3) 52.1
이동 속도 335.0 335 사정 거리 480.0 480.0
보통 주 룬은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Axiom Arcanist(엑시옴 비전 마법사)액시옴은 걍 필수입니다. 어떤 룬을 하든 이건 챙기셔야 합니다.

일단 첫번째, 위 룬부터 설명합니다.
FirstStrike(선제공격)선제공격 빌드 입니다.
이번 시즌은 워낙 교전이 많아 부수적인 골드의 가치가 더욱 높아졌습니다.
환급까지 들어주면 선제공격x2 만큼 골드 획득량이 늘어납니다.

부 룬으로 마법은 엑시옴 필수이고요, 깨달음 or 절대 집중은 취향입니다.
개인적으로 깨달음을 애용합니다. 피들 공포와 침묵은 변수 창출력이 뛰어나서 몇 초 차이로 CC를 넣느냐 못넣느냐가 긍정적or 부정적 결과를 초래합니다.

Electrocute(감전)감전 빌드 입니다.
비록 지금 효율은 좀 그렇지만 2월 5일 날 감전 버프 패치 들어오죠? 진짜 쓸 만 합니다.
저는 보통 첫 코어템 벨트를 가야 할 때 들어줍니다.
벨트를 가야 할 상황은 일반적으로 상대팀에 밀어내는 CC가 있을 때 입니다. (ex. 리신, 알리, 그라 등등)
벨트로 한 번 더 진입하여 애초에 밀어낼 각을 안 만드는 것이죠.
첫 코어템으로 벨트를 갈 시 일반적으로 딜로스를 초래하므로, 선제공격보단 감전을 택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부 룬으로는 당연히 엑시옴이 있는 마법을 선택합니다.

Electrocute(감전)
CheapShot(비열한 한 방)orSuddenImpact(돌발 일격)
Sixth Sense(육감)orGrisly Mementos(섬뜩한 기념품)
UltimateHunter(궁극의 사냥꾼)
Axiom Arcanist(엑시옴 비전 마법사)
Transcendence(깨달음)orAbsoluteFocus(절대 집중)
무해한 허수아비 (Dread)
피들스틱의 장신구는 '허수아비'로 대체됩니다.

피들스틱의 레벨이 오를 때마다 '허수아비'가 힘을 얻어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하고, 지속 시간이 증가합니다.

6레벨 : '허수아비' 설치 시 6초 동안 근처의 와드가 드러납니다.
공포 (Terrify)
마나 소모: 65
재사용 대기시간: 15/14.5/14/13.5/13초
기본 지속 효과 : 전투에서 벗어나 적의 시야에 보이지 않을 때 적에게 스킬로 피해를 입히면 대상이 1.25/1.5/1.75/2/2.25초 동안 공포에 질립니다.

사용 시 : 대상을 1/1.25/1.5/1.75.2초 동안 공포에 빠뜨리고 대상 현재 체력의 5/6/7/8/9%(주문력 50당 1%)(최소 40/60/80/100/120)에 해당하는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대상이 최근 공포에 질렸다면, 대상 현재 체력의 10/12/14/16/18%(+주문력 100당 4%)(최소 80/120/160/200/240)에 해당하는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몬스터에게는 최대 400의 피해를 입힙니다. (사정거리: 575)
풍작 (Drain)
마나 소모: 60/65/70/75/80
재사용 대기시간: 10/9.5/9/8.5/8초
주변 적들의 영혼을 흡수해 2초에 걸쳐 초당 50/80/110/140/170(+0.35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지속 시간이 끝날 때 대상이 잃은 체력의 최대 12/14/16/18/20%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힙니다.

피들스틱이 감소 전 입힌 피해량의 25/32.5/40/47.5/55%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 대상이 미니언인 경우 15%만 회복합니다.

정신 집중이 끝나거나 더 이상 수확할 대상이 없는 경우, 남은 재사용 대기시간의 60%를 돌려받습니다.

몬스터에게는 135%의 피해를 입히고 피해량의 50%만큼 회복합니다.
미니언에게는 50%의 피해를 입히고 피해량의 15%만큼 회복합니다. (사정거리: 650)
수확 (Dark Wind)
마나 소모: 40/45/50/55/60
재사용 대기시간: 10/9/8/7/6초
어둠의 마력을 방출하여 지정한 초승달 모양 지역에 70/105/140/175/210(+0.5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적중당한 적을 1.25초 동안 30/35/40/45/50% 둔화시킵니다.

초승달 모양 지역의 중심에 있는 적은 지속시간 동안 침묵 및 둔화 상태가 됩니다.
까마귀 폭풍 (Crowstorm)
마나 소모: 100
재사용 대기시간: 140/110/80 초
1.5초 동안 정신을 집중해 대상 지역으로 순간이동한 뒤 까마귀 떼를 불러내어 매초 해당 지역에 있는 모든 적 유닛에게 150/250/350(+0.5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까마귀 떼는 5초 동안 유지되며 최대 총 750/1250/1750(+2.5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사정거리: 800, 범위: 600)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콤보

 궁을 배우기 전까진 순간 딜이 너무 약해서 교전 시 W를 쓰기 전에 스킬 사이 사이 평타를 섞어 주는 게 핵심입니다.

초반일수록, 레드를 가졌다면 더더욱 중요합니다.

스킬 활용 팁

Dread(무해한 허수아비)(passive)

가끔 패시브를 이용해 허수아비 인 척을 해서 암살 플레이에 도움이 되곤 합니다. 


Terrify(공포)(Q)

갱킹 시 충분히 다가갈 수 있는 거리라면, 공포를 먼저 씁니다.


지금 말 할 건 티어를 가르는 디테일인데, 2대2 이상 교전 시 적 챔피언 중 한 명이 스킬을 다 썼거나 평타딜 위주가 아니라면 잠시 공포를 아끼고 후에 올 챔피언에게 공포를 거는 겁니다.

정리하여 갱킹 같은 상황을 제외하고 공포는 좀 아꼈다 쓰는 걸 습관화 하는 게 좋을 겁니다.


Drain(풍작)(W)

정글몹과 함께한 피들스틱은 약하지 않습니다. (특히 칼날부리)

교전 시에 주변에 정글몹이 있다면 꼭 이용하세요.


Dark Wind(수확)(E)

갱킹 시 충분히 다가가기 힘든 거리라면, 침묵(and 슬로우)를 먼저 씁니다.


잘 맞추셔야 하는건 기본이고....


특히 피오라를 상대 할 때, 반응 괜찮은 피오라면 공포 모션을 보고 응수를 쓰기 때문에........

이걸 먼저 맞추고 공포를 쓰는게 공식입니다. 이건 사람으로서 반응이 안돼요.


Crowstorm(까마귀 폭풍)(궁)

경험이 답입니다.

많이 해보셔야 해요.

솔직히 QWE 기본 스킬은 부수적인 거고, 궁만 잘 써도 피들 유저라고 알아줍니다.


미드나 바텀에서 공식처럼 여겨지는 궁 자리는 좀 외우긴 하셔야 하는데, 나중에 첨부 하겠습니다.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피들 유저들이 보통 시작 아이템으로 Gustwalker Hatchling(새끼 바람돌이)(새끼 바람돌이)를 갑니다.
거기에 포션을 사냐, 안사냐로 보통 갈리는데
저는 산다는 파 입니다.
피들스틱은 캠프 클리어 동선을 비교적 자유롭게 짤 수 있는 편인데, 3렙 갱킹 때 간혹 풀피 관리가 안 될 때가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면서, 교전 때 포션 빨아주면 꽤 유용합니다.




★핵심 아이템★
(첫 코어템은 악의, 리안드리, 벨트 중 하나 선택.. 단, 벨트는 악의 또는 리안드리와 같이 선택 가능)

Malignance(악의)첫 코어템으로 가장 쎈 템이 뭘까요?
악의 입니다. 리안드리가 아닙니다. 가격도 300원 이나 저렴합니다. 그냥 사실상 한 템포 더 빨리 나오는 편입니다.
빨리 나와서가 아니라, 딜이 이게 제일 쎕니다.
제 룬을 보시면 궁사를 안가는데, 악의 가면 궁사가 필요 없습니다. 교전 때마다 돌아요.


Liandry's Anguish(리안드리의 고통)그럼 이 아이템의 장점은 뭘까요?
절대 딜로스가 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심지어 망해도...)

Q)) 그럼 악의는 딜로스가 난다는 건가요?
A)) 네. 3코어 시점부터 딜로스가 납니다. 1코어 시점 땐 악의가 쎘다가 2코어 시점 땐 악의 딜= 리안드리 딜 입니다.

이 역시도 피들과 잘 맞는 템이니까 상대팀에 브루저, 탱, 딜탱 같은 챔피언이 많다면 악의 대신에 리안드리 추천합니다.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로켓 벨트)앞서 룬에서 말씀드렸듯...,
상대팀에 밀어내는 스킬을 가진 챔피언이 있거나 많다면 필수입니다.
(ex. 리신, 알리 등등)

아니면, 꽤 흥했을 때 2번째 코어템으로도 좋습니다.
피들은 궁 의존도가 꽤 높아서 아무리 흥해도 궁 한 번 삐끗 쓰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함입니다. 체력도 붙어서 생존성은 덤입니다.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존야와 가장 잘 맞는 챔피언
그냥 필수 아이템 입니다. (2~3번째 코어템)




★아이템 빌드★
요즘은 고정이 없습니다. 첫번째부터 다섯번째 코어템까지 전부 상황에 따라서 갑니다.




★아이템마다 상황 설명★
Void Staff(공허의 지팡이)상대팀이 Negatron Cloak(음전자 망토)(음전자의 망토) 처럼 마저 40 이상의 아이템을 2명 이상이 뽑기 시작하거나 그럴 것 같다면, 다 집어치우고 빨리 올리셔야 합니다. 피들은 깡딜이 높아서 마관빨 진짜 많이 받습니다.


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핵심 아이템 다 갔는데 그 후 갈만한 템이 안보인다? 이거 올리시면 됩니다.


Banshee's Veil(밴시의 장막)상대 CC가 너무 좋아서 강제 이니시 위험, 짤릴 위험이 있거나 포킹이 빡세거나 암살자가 잘커서 암살 위험이 도사리면 갑니다.
       Verdant Barrier(신록의 장벽)이거 먼저 띄우고, 완성 하는 건 가장 후순위로 두세요.


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이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상대팀 치유 효과 많으면 ㄱㄱ망각의 구가 치감템 중 효율 가장 좋습니다.)
       Oblivion Orb(망각의 구)이거 먼저 띄우고, 완성 하는 건 가장 후순위로 두세요.
개인적으로 이번 메타에 어려운 것도, 쉬운 것도 없는 것 같습니다. 선픽으로 아주 무난~ 합니다.
팀파이트시 역할
1. 궁 진입 이니셔(보통 밴시 필수, 없으면 짤릴 일 많음)

2. 딜러진 보호, 상대 누커 접근 방해

3. 강력한 CC로 상대팀 캐리 챔프 카운터

4. 주요 딜러

5. 넷 다

마치며
지금 엑시옴이랑 메타 때문에 개좋아요
꿀 빠세요~
이 공략에 대한 당신의 평가는?
  • 글만 읽었는데 다 해본 느낌! 완벽해요!
  • 좋네요. 조금 다듬으면 베스트 공략감!
  • 제 생각에 이건 좀 아닌거 같아요.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0명
0% (0표)
0% (0표)
0% (0표)
 

코멘트

코멘트(0)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박규상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2023.08.26 ~ 2026.08.25

인벤 온라인서비스 운영

(웹진, 커뮤니티, 마켓인벤)

바로가기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