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시즌 2때 시작을 해서 서포터를 꾸준히 해왔고
※특히 알리스타, 소나, 쓰래쉬(시즌3), 레오나 를 주로했습니다.
시즌 3 초반 골드 1에서 플레로 넘어가지 못한채 군대에 입대해
현 시즌 5 시작때에 출타가없어서...(하락...) 골드를 간신히 유지하고있습니다.
비록 랭크점수가 높진 않지만 깨알같은 도움이 되고자 이 글을씁니다.
※ 참고로 글이 상당히 깁니다.
이점 양해하시고 나는 너무 급하다 하시는분들은 룬, 특성
전부 베이직으로 쓰는게 있으니 그걸 참고하시면 되실것 같습니다.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85 (+120) | 2725 | 마나 | 350 (+40) | 1030 |
공격력 | 62 (+3.75) | 125.8 | 공격 속도 | 0.625 (+2.13%) | 0.851 |
5초당 체력회복 | 8.68 (+0.85) | 23.13 | 5초당 마나회복 | 8.5 (+0.8) | 22.1 |
방어력 | 47 (+4.7) | 126.9 | 마법 저항력 | 32.1 (+2.05) | 66.95 |
이동 속도 | 330.0 | 330 | 사정 거리 | 125.0 | 125.0 |
- 방어 +0.91x1
- 공격력 +0.95x1
- 방어 +1x1
- 체력 +8x1
- 마나 재생 +0.33x1
- 마법 저항력 +1.34x1
- 체력 +26x1
- 방어 +4.26x1
- 이동 속도 +1.5%x1
- 방어+6.17
- 공격력+0.95
- 체력+34
- 마나 재생+0.33
- 마법 저항력+1.34
- 이동 속도+1.5%
룬페이지는 제가 직접 연구하기보다는 프로선수들의 룬페이지를 활용해 저에게 맞는 룬 조합을 만들어 낸 것이라서 모두에게 통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추천해드리는 룬을 사용해보시고 이걸 더하면 좋겠다. 아 이건 빼는게 낫다. 하시면서 [나에게 딱이다] 싶으신 룬페이지를 만드는걸 추천해드립니다.
그리고 꼭 말씀드리고 싶은건
룬 은 상대조합, 상대라이너, 우리팀조합을 모두 고려하여 선택하셔야합니다.
빨강룬은 고정공격과 고정방어
노랑룬은 고정방어와 고정체력 (추가로 성장방어와 성장체력)
파랑룬은 마나재생과 마법저항력(성장마저)
왕 룬은 체력, 이속, 방어
를 사용하고 있고. 상대라이너에 맞게, 상대 조합에 맞게 쓰고있습니다.
베이직으로 쓰는건
빨강룬 고정공격 9
노랑룬 고정방어 5 고정체력 4
파랑룬 고정마저 3 마나젠 6
왕 룬 이속 3 쓰고있습니다.
------------------------------------------------------------------------------------------
빨강룬은 고정공격과 고정방어가 주로쓰이는데 보통은 고정공격을 가져갑니다.
알리스타는 근접탱커형 서포터인데 왜 고정공격을 가져가죠? 하시는 분들 계실겁니다.
빨강룬자체는 오펜스계열(고정주문력,고정공격력,공속,방관,마관,쌍관)의 효율이 제일좋습니다.
물론 탱커인 알리스타에게 방어를 줌으로써 초반에 8이라는 방어력을 얻고 초반에 더 탱키하게 할 수 있지만
딜교를 할시에 손해외 이득이 극명히 갈리는 알리스타로써는 딜교상황에서의 방어력 8이갖는 이득보다 공격력 9가갖는 이득이 더 높기때문에 공격력을 선택한겁니다.
(롤의 스탯은 반올림으로 올라가기때문에 8의(8.19)방어력보단 9의(8.55)공격력이 딜교면에서 더 낫습니다.)
서폿알리는 평타견제가 강력한 를 제외하고는 와 로 서포터의 평타견제를 버틸 수 있고
중반으로 넘어갈수록 궁이 켜져있는 잠깐을 제외하고는 템이 조금밖에 나오지 않은채 탱킹하는것이 쉽지않습니다.
LOL의 특성상 모든챔프는 라인전 단계에서의 딜교에서 이득을 보거나, 갱호응을 통해 라인전에서 계속 우위를 점해 나가는것이 중요합니다. [템이 조금밖에 안나온채 탱킹하는게 쉬운챔프는 정말 손에꼽히긴 합니다.]
빨강룬에 방어를 가는 경우는 위에서 말햇듯 상대 서폿이 처럼 평타견제가 강력하거나
상대원딜이처럼 평타가 끔찍하거나 처럼 사거리가 우월하거나
상대 조합이 3AD일 경우 [탑,미드,원딜 // 정글,미드,원딜 // 탑,정글,원딜(이경우는 드뭄)]
특히 상대 바텀조합이 라던지같이 서폿도 평타견제가 강력한데 원딜도 평타견제가 우월하고 강력할 경우엔 빨강룬에 꼭 방어룬을 들어주셔야합니다.
노랑룬은 고정체력과 고정방어를 섞는데요. 종종 성장체력과 성장방어를 같이쓰는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면 조합의 경우 라인전 자체는 초반은 약하고 6렙이후에 강력해지기 시작해 후반갈수록 강력한 조합입니다.
성장체력과 성장방어가 고정체력,고정방어와 동률이 되는시점이 6렙,능가하는 시점이 7렙 이기때문에 상대가 강력해지기 시작하는 타이밍엔 고정을끼나 성장을끼나 같으며 후반갈수록 강력한 조합 상대로 후반갈수록 더욱 탱키한 알리스타로 상대가 가능합니다.
반면에 초반부터 강력한라던지 조합을 상대로는 고정방어와 고정체력을 들어서
상대해주면 됩니다.
파랑룬은 보통 마저 3 마나젠 6을 씁니다.
서폿 알리스타는 절대로라인전 강캐가 아니기때문에 라인전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습니다.
위에서 말한대로 조합이라던지 조합같이 강력한 상대라인을 만나면 체력관리가 힘들며 근접
탱커형 서포터인 알리스타는 견제를 너무나도 많이당하기때문에 체력관리를 위해 을 빈번하게 쓸수밖에 없습니다. 더군다나 의 마나도 유지하는데 신경을 쓸수밖에 없어 마나부족은 필연적 입니다.
(라인전상대가 조합 같이 수월하거나 조합같이 할만한 조합은 룬에 마나젠을 넣지않아도 어느정도 관리하면 를 각각 한번은 쓸수있는채로 힐을 주기적으로 넣을수 있습니다.)
여기서 왜 를 각각 한번 쓸수있는 마나를 남겨놔야 하느냐?
위에서 언급했듯 LOL이란 게임은 라인전 단계에서의 딜교에서 이득을 보거나, 갱호응을 통해 라인전에서 계속
우위를 점해 나가는것이 중요하고 특히나 알리스타는 딜교시 손익이 확실히 갈리는 챔피언입니
다.
특히나 알리스타는 - - // - // - - // 미니언- - // 미니언 - - - 등의 다양한 스킬연계를 통해 딜교를 시작하거나 갱호응을 할뿐더러 를 적시적소에 사용하여 상대방의 갱킹, 다이브에도 대처해야하기때문에 를 각각 한번씩 쓸수있는 마나를 반드시 남겨놔야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마나관리가 필요한 알리스타의 마나부족을 커버하기위해서 특성에도 마나젠 2를주고 룬도 2.0(1.98) 을 주어 체력관리와 마나관리를 훨씬 수월하게 할 수있습니다.
왕 룬은 체력, 이속, 방어를 드는데 세종류를 각각 하나씩 박는경우는 절대없습니다.
체력,이속,방어를 하나씩 들경우엔 정말로 탱킹도안되고 이속 도안됩니다.
룬은 위에서도 말했듯 상대 라이너나 상대조합, 우리팀 조합에 맞게 가는게 제일 좋습니다. 물론 마나를 제외한 이속과 방어는 3개다 이속, 3개다 방어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조합이 같이 끊어먹기좋고 한타가 좋다.
반면에 우리 조합은 같이 강제이니시가 되며 한타가 좋다.
상대라이너 조합은 라서 상대하기에 어려움이 없다.
이럴 경우 이속 2 방어 1을 들어 시야장악과 동시에 약간의 탱키함을 가져주는게 좋습니다.
저희조합에 있어 마오카이가 메인탱커 알리스타가 세컨탱커기때문에 알리스타에겐 단단한 탱킹이 요구되지 않습니다.
(물론 중반부 코어템이 한두개 나와있을경우입니다.후반부엔 당연히 라이즈,트위치,제드를 견제하기위해서 탱킹이 요구됩니다.)
위와같이 상대조합과 우리조합, 상대라이너조합을 보고 룬을 선택하시는게 좋습니다.
룬페이지가 별로 없다면 섞는것보단 3개 몰빵을 추천해드립니다.
일일이 이조합엔 뭐가좋다 좋다 쓰기엔 너무오래걸려서 써드립니다.
-----------------------------------
이속을 드는경우는
상대조합이 끊어먹기가 유용하거나 우리조합이 끊어먹기 유용할때, 우리가 한타보단 운영을 해야하는 조합일때,
=시야장악을 반드시 해야하고 유지가 필요한 조합일때
※물론 솔로랭크건 아니건 시야장악은 중요합니다.
---------------------------------------------------------------------------------------------
상대가 3AD거나 그이상일때 ex)
상대 원딜이 진짜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아픈 챔피언이면서
상대미드도 같이 미드AD에서 손꼽히는 딜량을 자랑할때
또는 노랑룬에 성체,체력만을 박아쓸때 입니다.
= 라인전단계 및 3AD상대의 AD탱킹이 필요할때
-------------------------------------
체력을 드는 경우는
상대서폿이 AP깡딜이 쎈같은 녀석들일때
상대가 %데미지가 없고 고정데미지가 있을 시 ex)
그리고 무난하게 성장이 가능할때입니다.(노랑에 성체,성방 둘다박을때)
= 상대 AP깡딜 및 고뎀 상대로 전체적인 탱킹이필요할때
※개인적으로는 이속 3개주는게 솔랭에서 되게 좋습니다. 솔랭이나 팀랭이나 시야장악은 중요하지만 팀랭은 팀원에게 시야장악을 부탁할수있지만 솔랭은 그게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베이직 룬세팅중 왕룬에 이속 3개가 들어가있는겁니다.
- OFFENCE
- 0
- DEFENCE
- 0
- UTILITY
- 0
하나는 4 7 19
하나는 수용zl존짱님의 0 15 15 를 씁니다. [베이직]
(어정쩡한 0 9 21은 쓰지않습니다.)
4 7 19 와 4 5 21 은 모두 상대 브루저가 많을때갑니다.
순수 탱킹능력면에서는 0 15 15 만 못하지만 템이 확보되었을때 40%의 쿨감을 맞추는데 더 훨씬 더 용이하기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0 15 15는 탱킹과 쿨감을 다 맞추려면 를 다 가야하지만
두개만으로도 탱킹과 쿨감 40%를 모두 채울수 있으며 또는 로가서 으로 탱킹의 밸런스도 맞출수 있습니다.
4 5 21와 4 7 19 의 공통된 장점은
룬과 함께3포인트를 통한 마나관리가 수월하다는 점
로 스펠쿨감이되고 로 물약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점 입니다.
4 5 21이 4 7 19 보단 탱킹이 아주조금(체력 24) 떨어지지만
시야장악측면에서 상당히 우월한면을 보여줍니다.
왕룬의 4.5%와 더불어는 세 특성에 다있지만 는 이 페이지에만 씁니다.
의 깨알같은 이속은 과 시너지를 갖기때문에 훨씬 시야장악이 용이하고 상대가 예상하는 타이밍보다 발빠른 로밍과 라인복귀에도 상당히유용합니다.
물론 0 15 15만큼 유틸과 탱킹을 동시에 갖진않지만 어느정도의 기본 탱킹과 유틸성을 동시에 갖습니다.
이 두개의 특성페이지를 사용하는 게임에서 궁이없을때는 난 절대 단단하지 않다 라는 생각을 갖고 플레이 하셔야합니다.
0 15 15 를쓰다가 4 5 21 4 7 19 를 사용할때 생각보다 탱킹이안되는점
에서 당황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항상 탱킹이 부족하다 라는 생각을 갖고 플레이하셔야합니다.
※출처 : 수용zl존짱 님 공략
강건함을 통해서 방어력을 올려주고 인내심을 통해서 딜교환이나 견제에서 피회복을 보충해줄 수 있고, 재빠른 발놀림을 찍으므로써 룬과 합쳐 이동속도 효과를 높입니다. 그리고 명상에 3포인트 투자해서 파랑룬의 마나재생룬의 효과를 높여서 계속 힐을 쓸 수 있게합니다. 소환사의 통찰력은 스펠의 쿨감을 위해서 찍어주고, 요리의 대가는 즉시회복 효과 뿐만 아니라 연금술사의 물약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위해서 찍어줍니다. 그리고 초반 고대 유물 방패+ 4포션을 위해서 부유함을 찍어 줍니다. 그리고 10초당 +1.5 골드로 무난하게 흘러갔을 때 조금이라도 이득을 봅니다.
[이건 정말로 건드릴게 없습니다.]
은 당연히 필수이며
셋중에 하나를 쓰는 식으로 나누어집니다.
중첩이 7회 쌓이면 승리의 포효가 발동되어 알리스타 자신의 체력을 5%, 주변의 모든 아군의 체력을 알리스타 최대 체력의 7%만큼 회복시킵니다.
승리의 포효가 발동되면 3초 동안 승리 중첩을 쌓을 수 없습니다.
에픽 몬스터나 적 챔피언이 사망할 때마다 승리의 포효가 즉시 발동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14/13/12/11/10초
재사용 대기시간: 14/13/12/11/10초
재사용 대기시간: 12/11.5/11/10.5/10초
짓밟기 스킬로 적 챔피언에게 피해를 입힐 때마다 짓밟기 중첩이 1회씩, 최대 5회까지 쌓입니다. 이후 챔피언에게 가하는 다음 기본 공격은 20~275(레벨에 따라)의 추가 마법 피해를 입히고 대상을 1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120/100/80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선마와 첫스킬은 상대에 따라 다릅니다.
상대가 인베이드에 강하거나 우리가 인베이드를 한다
상대 인베이드는 없지만 상대 라인전이같이 초반부터 강력하다
선마순서는 일반적일경우 에 2개를 줘 쿨을 맞춘 후 순으로 선마하고 궁은 돌아올때마다 찍습니다.
상대라인전이같이 초반부터 강력하다면 하나씩 찍고 으로 선마합니다.
스킬콤보는 대표적으로 -- // 평평 // 평
- 흔히 쿵쾅콤보는 다양한 응용이 가능합니다.
1. 미니언 -
2. 미니언 --
3. --
4. 미니언-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사용후 바로 를 쓰면, 무무의 , 그라가스의 ,쉔의 ,자르반의 같이 플래시한 자리에 영향이 끼칩니다.
따라서 -- 혹은 -- 콤보의 경우
-- 혹은 -- 콤보로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알리스타를 처음하시거나, 익숙하지 않은 분께는 Q플을 이용한 콤보를 추천하진 않습니다.
알리스타는 강력한 하드 CC기 를 갖고 있으며 라인 유지 및 대치구도에서 깨알같은 체력회복의 을 갖고 을 통하여 순간적인 CC제거와 LOL최고의 탱킹능력을 보유하지만
알리스타는 전체적인 스킬쿨타임이 굉장히 긴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라인전에선 갱호응, 혹은 확실한 딜교일때만 -콤보를 넣고
적절한사용으로 라인푸쉬 혹은 체력관리를 하면서 상대의 갱킹, 딜교시도에는 와를 상황에, 상대에
맞게 사용하여 라인전에서는 최대한 생존하며 이득을 유지하거나 아예 팽팽하게 유지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요즘 원딜라인은 캐리력을 갖춘 챔프들이 추세이기 때문에 팽팽해도 상관없지만 상대에 비해 후반에 힘이 떨어진다면 갱을 적극적으로 불러 이득을 본채 유지해주셔야됩니다. ex) 우리팀 원딜은 이고 상대팀 원딜이일 경우
한타때는 우리팀 딜러라인이 확실한 생존이 보장될때,
혹은 한타를 확실히 이길 경우일때만 이니시 하되
웬만하면 이니시에이팅은 다른포지션에게 맡기고 와 로
딜러라인의 생존률을 더 높혀주시는게 중요합니다.
500골드 600골드 800골드 1200골드 1300골드이상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위에 서 언급했 듯 상대가 라인전이 강력한 같은조합일 경우엔 도란방패를 들고 선마하며 버팁시다.
알리스타는 상당히 강력한 CC기 2개를 갖고있기때문에 갱만 온다면 필킬각을 잡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체적인 말이지만
맵리딩을 잘합시다.맵리딩만 잘해도, 죽는 우리미드 살릴 수 있습니다.
확신이 없는 딜교는 자제합시다. 알리스타는 딜교시도시 손익이 극명하게갈리는 챔프입니다.
딜교안하고 팽팽히 컸을때 우리가 진다면 갱을 부릅시다. 위에서 말했듯 갱만온다면 필킬각을 잡을 수 있습니다.
상대가 집간사이에 상대 정글이 죽는다면 과감히 상대정글로 들어가 시야장악을 시작합시다.
상대 정글의 위치가 파악된다는건 우리에게 상당한 이득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내가 피가없는데 갱이 온다고 해서 무리하게 액션을 취하지 맙시다.
물론 플래시의 소모는 있겠지만, 얼추 뒤에 있다가 상대의 이동기(생존기) 가 빠지자 마자 미니언→ 으로 갱호응 하고 걸고 빠져나와줍시다. 내 플래시의 소모도 있지만, 우리 정글러를 본 상대 입장에서는 와 ,또는 등 스펠을 뺄 수밖에 없습니다.
무리하게 액션취하면 우리 정글러 동선을 상대 정글러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 조이럭님의 서포터 강좌중에서도 나온 말이지만
집에 와 템을 산 후 라인으로 복귀할때, 바로 라인으로 복귀하지말고 미드라인쪽을 찍어놓고, 탑, 미드, 정글
에서 곧 싸울것 같은 곳을 파악해 이동하고 그럴 곳이 없다면, 강가부쉬, 요소요소에 와딩을 하면서 바텀으로 내려옵시다.
단, 우리라인이 어정쩡하게 밀리고 있다면 바로복귀합시다.
(그리고 제발 원딜님들... 타워 포기할땐 깔끔하게 포기해요. 괜히 얼쩡대다가 다이브당해서 킬주지 말고)
또 미드, 바텀측 정글에서 싸움이 일어난걸 본다면, 원딜에게 빽핑을 주고 미드로 뛰어올라갑시다. 서포터의 커버는 정글러의 커버만큼 도움이 됩니다.
만약 바텀의 라인전이 끝났다면, 원딜러가 안전하게 파밍할 수 있도록, 원딜러의 파밍지역 주변에 와딩을 한 후
정글러와 함께 돌아다니면서 시야를 계속 장악합시다.
우리가 지고있다면 우리진영에 우리가 이기고 있다면 상대진영을 장악합시다. 기본중의 기본입니다.
라인전이 끝나지 않았다면, 초반의 운영을 이어나갑시다.
와,, 을 적절히 사용해 상대 브루저로부터 우리딜러라인을 지키는데 주력합시다.
물론 우리가 한타를 압승한다면 앞장서서 로 이니시를 열고 어그로를 끌어 CC를 로 흡수 한 후 브루저와 함께쓰고 상대 진영을 헤집어줍시다.
: 요즘 종종 보입니다. 상대 궁극기인만 로 잘풀고 끊어줍시다.
(난이도:★☆☆☆☆)
: ??? 있긴합니까? 있다면 도란방패 들고 우리팀 원딜과 부비부비해주면서 Q를 다맞아줍시다.
(난이도:★☆☆☆☆)
: 진짜 극악입니다. 딜과 힐이 동시에 되는 에 광역에어본에 평타강화에 소나에 버금가는 광역 궁극기... 도란방패 끼고 버티면서 정글러 부릅시다.
(난이도:★★★★★)
: 개서스폿... 그냥 슬로우 셔틀입니다. 파밍만 못하게 Q먹으러오면 밀고 띄웁시다. 단 갱킹조심!
(난이도:★☆☆☆☆)
: 한때 쓰래쉬와 애니에 필적할 강력한 챔프였지만 지금은 상당히 몰락했습니다. 천공의 검 날아오기 시작할 때 써줍시다 천공의 검 타고 오는중에 밀려납니다.
(난이도:★☆☆☆☆)
: 나미, 쓰래쉬만큼 상성이 안좋은 챔프입니다... 평타에 고정딜이 들어오고 슬로우에 헥스에 실드에... 순간적인 피뻥과 에어본을 지닌 궁극기 킬을 못따는건 물론이고 견제만 맞다가 라인전 끝납니다. 이친구도 정글러 부릅시다.
(난이도:★★★★★)
: 요즘 종종 보이는데요. W진입할때 바로 그냥 띄웁시다. 진짜 껄끄럽긴 한데 W에 놀아나지만 않으면 수월합니다.
(난이도:★★★☆☆)
: 진짜 안보이는 럭스입니다. 미드로도 서폿으로도 말이죠... 빛의 속박만 맞지 맙시다. 이 모든 스킬연계의 시작입니다.
(난이도:★★☆☆☆)
: 탑이 더 많이보이는 마오카이입니다. 뒤틀린 전진하면 우리는 상대 원딜을 밀어줍시다.
(난이도:★★☆☆☆)
: 강제이니시가되는 말파이트입니다. 6렙전 Q짤은 아프지만 버틸만 합니다. 궁타이밍만 잘봐서 안뭉치면 됩니다.
(난이도:★★☆☆☆)
: 럭스랑 같습니다. 만 잘피합시다. 속박은 모든연계의 시작입니다. 상대가 블랙실드 키고 도망가면 W로 따라붙어서 풀리자마자 Q씁시다. 하지만 포탑만큼은 유의합시다.
(난이도:★★★☆☆)
: 만 안맞으면 됩니다.
(난이도:★☆☆☆☆)
: 스킬깡딜이 높은 벨코즈입니다. 진짜 껄끄럽습니다. 계속 포킹포킹포킹포킹... 어휴 진짜 짜증납니다. 하지만 날아오는 각에서 대각으로 피해줍시다. 대각선이 정말 잘피해집니다. 특히 는 생각보다 투사체가 빠르기때문에 딜교에 유의하고 CC기는 아껴ㅤ두었다가 쓰면 벨코즈한테 써줍시다.
(난이도:★★★★☆)
: 얜 뭐... 이젠 안보입니다.쓰고 온다면 우리팀 원딜한테 부비부비 해줍시다. 날 넘기면 그대로 Q쓰면되고 원딜을 넘기면 Q쓰고 상대원딜을 밀어줍시다. 단, 상대 정글이 잇다면 오기전에 밀던지 Q W 로 확실하게 밀어줍시다.
(난이도:★☆☆☆☆)
: 브라움입니다. 소규모한타 대규모한타 모두좋고 포킹도 껄끄럽습니다. 하지만 그저 서로가 서로를 못잡는거지 어려운 상대는 아닙니다. 그냥 후반캐리형 원딜 뽑아달라고 해서 같이 무한하게 커서 싸웁시다.
(난이도:★★★☆☆)
: 콤보로 스킬이 시작되는 브랜드인 만큼 만 잘피해줍시다. 이 날아오면 깔끔하게 산개하면됩니다. 종종로도 스킬을 시작하지만 주로는 입니다.
(난이도:★★★☆☆)
: 시즌 2때부터 블크의 하드카운터는 였습니다. 끌면 자연스럽게 콤보로 알아서 죽어주거나 원딜도 에 휘말리게해 더블킬을 내주게합니다. 그냥 우리 원딜 안끌리게 블크랑 우리 원딜 사이에서 얼쩡거려줍시다.
잘하는 블크들은 AD를 완전히 높혀서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AD가 높다면 첫템을 들어도 무방합니다.
(난이도:★☆☆☆☆)
: 소나는 사랑입니다. 는 둘째치고 평타견제가 은근히 신경쓰이는 소나입니다만... 소나는 워낙에 몸이 약하기때문에 과감히 콤보로 치고들어가도 딜교이득을 많이보는 편입니다. 특히 갱을 불렀다 하면 필킬이구요. 들어오면 로 풀어줍시다.
(난이도:★★☆☆☆)
: 이번에 리메이크된 소라카입니다. 예전만큼 막강한 면모는 보여주지않지만 그마만큼 힐량이 많아졌습니다. 서로 잡을 생각 말고 같이 커갑시다. 한타존재감은 우리가 우위고 한타 지속력은 상대가 우위입니다.
(난이도:★★★☆☆)
: 난이도가 상당히높은 쓰레쉬입니다. 로 평타도 쎄고 로 원딜이 생존기 하나 더있거나 정글러의 돌진기가 하나 생기고 의 딜로스는 엄청나고 는 한타 존재감을 늘려주죠. 하지만 힐이 없다는게 쓰래쉬의 크나큰 단점이면 크나큰 단점입니다. 딜교시에 만 맞지맙시다. 그러면 50%는 이기고 들어갑니다.
(난이도:★★★★☆)
: 소(온)싸움
(난이도:★☆☆☆☆~★★★★★)
: 요즘 안보이는 애니입니다. 평타가 625라는 경이로운 사거리를 갖고있지만 너무약합니다. 만 조심합시다. 들어오자마자 로 풀고 에어본 및 상대원딜 격리는 필수입니다.
(난이도:★★★☆☆)
: 보이지 않습니다만... 있다면 만 조심하고 콤보만 안당하게 유의합시다.
(난이도:★★☆☆☆)
: 미드로 더 많이 보이는 오리아납니다. 상대해본적은 거의 없네요... 공 위치만 잘보며 딜교합시다.
(난이도:★★★☆☆)
: 스킬깡딜이 만큼 엄청난 자이랍니다. 마저 두르고 버팁시다. 는 직선이라 피하기 수월합니다.
(난이도:★★★☆☆)
: 알리스타와 서로 못잡는 사이인 잔나입니다. 서로 안쪽으로 밀어내려다VS 서로역관광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딜교에서 로 우위를 점하려 하면쓰고 유유히 도망갑니다.
라인 당기고 정글러 부릅시다.
(난이도:★★★☆☆)
: 잠깐 보였던 제라스입니다. 두개만 잘피하고 를 쓰면 로 가볍게 캔슬시켜줍시다.
(난이도:★★★☆☆)
: 진짜 짜증난다는 말은 질리언 서폿한테 하는말입니다. 끊임없는콤보는 만으로 버티기 정말 힘듭니다. 거기에 6렙이되면로 한번 더살아나니 6렙전에 정글러불러서 말리게합시다.
(난이도:★★★★☆)
: 만큼 깡딜이 쎈 카르마입니다.로 따라붙으면 바로 밀어줍시다. 맞다보면 어느샌가 죽어있으니 잘 피합시다.는 피하면 그만이지만 는 2차폭발이 있기때문에 유의합시다.
(난이도:★★★☆☆)
: 탑이 더 많이보이는 케일입니다. 견제와 로 전투지속력 로 딜로스를 만들어내는 무시무시한 녀석이지만 생존기가 없다는것만큼 갱의 먹이에 좋은건 없고 를 남발하다보면 마나가 없기때문에 로 버텨주면서 정글러 부릅시다.
(난이도:★★★☆☆)
: 안보이는 게이입니다. 로 꾸준한 힐과 로 인한 높은 방어력 인한 갱호응까지 모든게 완벽하
지만 한타에선 존재감이 없습니다. 라인전단계에서 버티기 상당히 쉽기때문에 한타까지갑시다. 한타의 존재감은 게이
보단 소가 존재감이 큽니다.
(난이도:★★☆☆☆)
: 질리언 다음으로 짜증나는놈입니다. 정말정말 거슬려서 진입하면 먹이고 유유히 빠집니다. 그냥 던지려는 모션에 플래쉬 Q진입합시다.은 로 끊어줍시다. 몸은 약해서 금방 찢습니다. 6렙이후엔로 인한 불상사가 없도록 시야를 꼼꼼히 장악해두고 스킬집중시 바로 , 로 끊어줍시다.
(난이도:★★★☆☆)
: 예전에는 와 조합이 정말 껄끄러웠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만 잘피하고 라인 당기고 정글러 불러서 로 당겨와 잡아줍시다. 6렙 이후 세개 모두 조심합시(난이도:★★★☆☆)
※ 칼리스타에 관하여,
칼리스타는 서포터와 유기적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며, 카이팅이 쉽게 되는 챔프입니다.
칼리스타를 상대로 할때는 절대 선진입을 하셔선 안됩니다. 진입을 하더라도 칼리스타를 노리고 진입하셔야합니다.
칼리스타를 노리지 않고 서포터나, 원딜(칼리스타서폿시)를 노린다면 으로 인하여 역관광을 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각을 재거나, 노리더라도 칼리스타를 노려줍시다.
꼭 챙겨듭시다. 우리는 서포터입니다. 탑이아닙니다.
주요지역 시야장악은 소규모 교전부터 큰 한타까지 승리로 대려다 줄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