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1명

0% (0표)

0% (0표)

100% (1표)
시즌6 탈론 육성법
탈론 육성법
룬 특 템트리만 공유

소환사 주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58 (+109) | 2511 | 마나 | 400 (+37.0) | 1029 |
공격력 | 68 (+3.1) | 120.7 | 공격 속도 | 0.625 (+2.9%) | 0.933 |
5초당 체력회복 | 8.51 (+0.75) | 21.26 | 5초당 마나회복 | 7.59 (+0.5) | 16.09 |
방어력 | 30 (+4.7) | 109.9 | 마법 저항력 | 36 (+2.05) | 70.85 |
이동 속도 | 335.0 | 335 | 사정 거리 | 125.0 | 125.0 |
- 방어구 관통력 +1.6x9
- 방어 +1x9
- 마법 저항력 +1.34x9
- 공격력 +2.25x3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방어구 관통력+14.4
- 방어+9
- 마법 저항력+12.06
- 공격력+6.75
총 가격 : 7,062 IP
1. 빨강은 방관입니다.


시즌6에서 퍼센트방관의 상징인 최후의속삭임이 너프? 를 당했습니다.
더이상 총 방어력에서 %로 계산하는게 아닌. 추가방어력에서 %로 계산합니다.
그러므로 이제는 오직 탱커를 조지는 아이템이 되어버렸고
최후의 속삭임의 분기점인


이 경우도 체력게이냐 회복게이냐 에 따라 나뉘기 때문에
이제는 탱커는 원딜에게 맡기고
우리는 하던대로 원딜이나 조집시다(시즌6는 원딜오브레전드)
그리고 요우무가 상향되었습니다.
공격력이 35증가하였고
(대신 치명타율은 없어짐)
가격은 조금더 비싸졌습니다.
그러므로 과거 요우무-히드라-라위 삼신기가 그냥 요우무-히드라 정도로 줄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무튼 퍼센트방관을 잃은 우리는 고정방관을 10정도 쌓고 시작합시다.
2. 노랑은 취향입니다. 고정방어든 고정체력이든 성장체력이든 저는 고정방어가 가장 몸에 익어서....
3. 파랑은 핵심입니다. 본래 저는 성장쿨감룬은 들었습니다.
그리하여 18레벨 15%쿨감 + 특성5% + 요우무10% 거기에 +@로 블루10%로 만쿨감을 했었지요......(시즌5)
지금은 특성5%가 너무 상위특성인데다가 교차하는 특성이 고정방관특성이라..... 찍지못하고
하여 지금 가장 핫한 인피+정수 의 사기성을 알려드리려고. 인피+정수가면 쿨감30%임 ㅇㅇㅎㅇㅎㅇㅎㅇ
그래서 성장쿨감 안들고 그냥 마저룬꼈어요. 사실 성장쿨감끼고도 라인전 잘 버텼는데
마저룬끼면 상대 딜을 조금이라도 더 버틸 수 있으니까요.
4. 왕룬은 고정ad꼈습니다. 왜냐면 왕룬도 방관들면 고정방관20이 가능하지만.... cs는 먹어야지요 ㅎㅎ
왕룬도 방관끼고도 cs잘드신다면 꼭 끼세요. 효율은 보장합니다. 전 못먹겠어요.
- 흉포: 0
- 책략: 0
- 결의: 0
탈론은 롤 내에서 매우 특이한 챔프입니다.
와
에 있습니다.
근접3% 추뎀
슬로우 걸린 적에게 2.5% 증뎀
HP40%이하 5% 증뎀
마술의 2%는 W와R에 2%증뎀을 줍니다.
마치 던전x파이x 나 메이x스토x 등등 RPG게임에서 좋아할법한
추뎀 증뎀 케릭터 거든요.
사실 탈론은 초중반까지는 W와R의 광역딜이 주를 이룹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후반에가면 광역딜은 겉치레고
E평Q 라는 어이없는 딜이 나온다는거 아시죠?
사실 치명탈론이어서 그런거 아니냐? 하시겠지만.
과거 탈론이 가봤자 요우무 인피입니다. 치명타율30% 끝이라구요. 그럼 원딜도 탈론만큼 강해야하죠? 그런데 그렇지않아요.
탈론의 후반 누킹 E평Q 그 비밀은


각각 슬로우걸린 적에게 평타에 추뎀10%와
슬로우를 걸고 3초간 증뎀15%를 주는 무시무시한 효과를 가지고 있죠.
이번시즌에서 특성에 증 추뎀을 줄 수 있는 특성은



입니다.

아무튼 증추뎀은 다 조지세요. 물론 곱연산이 되서 효율이 낮아지는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체력1-2로 왔다리 갔다리 하는 롤세상이라고 생각하신다면. 그냥 찍으세요.
사실
이녀석이 꽤나 라인유지력에 도움을 주긴합니다.

그러나 3%추뎀을 버리긴 좀 아깝고. 플라스크 쪽쪽 +
흡혈귀의 피흡2%와 주문흡혈2%로 버텨봅시다...

사실 정밀함의 고정방관과. 폭풍전사의 포효의 이속증가옵션이 너무 매력적이라 책략에 18포인트를 주었습니다.
사실 흉포 맨 아래에서 이득볼만한 특성은 죽음불꽃손길 뿐인데. WR은 광역이라 효율이 반토막나요...
물론 흉포는 퍼센트방관도 가지고 있죠 (7%)
하지만 책략의 정밀함도 기본 3에다가 18레벨시 8의 고정방관은 줍니다.
폭풍전사는 중후반 탈론의 히트앤런에 큰 효율을 줍니다.
들어와서 광역딜하고 빠져나가는 것도 좋지만. 호락호락하지는 않죠.
멀리서 기동력+요우무+궁극기의 3이속뻥 은신으로 달려와 E평QW 이후 도망가는 경우가 많아요.
후반의 경우 물몸에게 무조건 저 효과를 발동할 수 있고(2초안에 적 최대체력30%까면 됨)
발동순간 이속 무지막지하게 빨라집니다. 혹시 CC에 걸려도 시미터로 풀고 총알처럼 도망쳐나오는게 가능합니다.
추가) 책략의 마지막 특성은 텔포를 들었으면 천둥군주를 찍어주시고
점화를 들었으면 폭풍전사를 찍어주세요.
만약 텔포를 들어도 폭풍전사효과에 적응이 되셨다면 텔포+폭풍전사를 가셔도 됨










검의 최후 (Blade's End)
탈론의 스킬은 챔피언과 모든 몬스터에게 짧은 시간 동안 상처를 입히며 3회까지 중첩됩니다. 중첩이 모두 쌓인 대상에게 탈론이 기본 공격을 가하면 출혈을 일으켜 2초에 걸쳐 80~280 (레벨 1 ~ 18에서) (+2.1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녹서스식 외교 (Noxian Diplomacy)
마나 소모: 40
재사용 대기시간: 8/7.5/7/6.5/5초
재사용 대기시간: 8/7.5/7/6.5/5초
탈론이 대상에게 도약해 65/85/105/125/145 +(+1.0 추가AD)(근접 시전 시 120/150/180/210/240 (+1.5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근접전 거리에서 시전하면 탈론은 도약하지 않지만 대상에게 150%의 치명타 피해를 입힙니다.
녹서스식 외교로 유닛을 처치할 때마다 탈론은 (1~18레벨에) 9~55의 체력을 회복 하며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의 50%를 돌려받습니다. (사정거리: 575)
근접전 거리에서 시전하면 탈론은 도약하지 않지만 대상에게 150%의 치명타 피해를 입힙니다.
녹서스식 외교로 유닛을 처치할 때마다 탈론은 (1~18레벨에) 9~55의 체력을 회복 하며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의 50%를 돌려받습니다. (사정거리: 575)

갈퀴손 (Rake)
마나 소모: 50/55/60/65/70
재사용 대기시간: 9/8.5/8/7.5/7초
재사용 대기시간: 9/8.5/8/7.5/7초
탈론이 부메랑 단검을 여러 개 던져 명중하는 적에게 칼날이 날아갈 때 50/60/70/80/90(+0.4 추가AD), 돌아올 때 60/90/120/150/180(+0.9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줍니다. 검에 맞은 적은 1초 동안 40/45/50/55/60%만큼 느려집니다.
몬스터에게 100%의 피해를 입힙니다. (범위: 900)
몬스터에게 100%의 피해를 입힙니다. (범위: 900)

암살자의 길 (Assassin's Path)
재사용 대기시간: 2초
탈론이 도약해서 지정한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구조물이나 지 형지물을 뛰어넘습니다. 도약 속도는 탈론의 이동 속도에 영향받습니다. 같은 지형지물은 160/135/110/85/60초 후에 다시 넘을 수 있습니다.

그림자 공격 (Shadow Assault)
마나 소모: 100
재사용 대기시간: 100/80/60초
재사용 대기시간: 100/80/60초
탈론이 사방에 검을 던지면서 최대 2.5초 동안 투명 상태가 되며 이동 속도가 40% 상승합니다. 투명 상태가 풀리면 검이 다시 탈론이 있는 곳으로 모여듭니다. 검이 움직일 때마다, 한 개 이상의 검에 맞은 적은 그림자 공격으로 80/120/160(+1.0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습니다. (범위: 500)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콤보
E평QWR 입니다.
다만 초반에 공속이 안따라준다면 Q를 장전하고 EQWR만 하셔도 됩니다.
중후반에는 성장공속으로 공속도 올라가고 요우무 공속뻥도 있으니 E평Q가 삑사리 나는 경우는 적지만요.
스킬
저레벨에 탈론이 강력하게 나갈 수 있는 상대는 거의 없다고 보면됩니다.
첫 라인은 아마 무조건 타워에 박힐꺼고.
아이템이 구비되지않고 레벨링이 안되어 증뎀수치가 미미한 목긋기는 초반에는 그냥 이동기입니다.
(초중반은 WR의 딜로 먹고삽니다.)
그러므로 WQWE 순으로 찍어주시고.
정글이 3렙에 갱오면 호응해야하니까 우리 정글 위치랑 신호보고 WQE찍어도 됩니다.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기존 탈론 플라스크 시작처럼 쓰시고. 중반까지는 팔지말고 쭉쭉 빨아대다가 파세요. 그리고 이거있는동안에는 교전하기직전에 한번 빨고 시작하세요(도트딜 조금 들어감)
이번 시즌6의 공템들은 다들 비쌉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템이 뭐 저리 비싼것만 가냐. 이럴지모르지만 사실 지금 왠만한건 다 3000원 넘깁니다(라위빼고 근데 안갈꺼잖아?)
그러므로 완성할때 하위템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느냐에 승패가 갈리게 되었습니다.
추가) 상대가 엄청 쉬운 챔프다 or 아군정글러와 의사소통이 되는 상황이다 -> 롱소드 3포션 스타트하셔도 됩니다.

그러므로
톱날단검(야몽에서 쿨감빠진거라 보면됨)을 구입하고
티아멧을 들어줍니다


티아멧이 이제는 평타에 터지진않지만 가격이 1250원으로 싸졌으며 원래 탈론이 티아멧가는 이유도
원거리미니언을 W+액티브로 정리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톱날단검 + 티아멧은
1100원+1250원 = 2350원으로
요우무보다 약 900원가략 저렴한데 정작 공격력은 5차이밖에 나질않고, 쿨감10%는 없지만 라인푸쉬 + 콤보데미지상승 이라는 효율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톱날단검 이후 티아멧을 갑니다.


티아멧 이후 요우무를 완성시켜주시고. 여기서부터 분기점이 갈립니다.
CC가 빡친다 ->
수은가세요 이후 히드라를 당장 갈 필요가 없다. 그럼 시미터가세요.(피흡 꿀...)

피흡 + 상대정글좀 맛보자(이건 상대정글시야장악 + 짜르기 등도 포함됨) ->
히드라

이후
정수약탈자를 먼저올리고
인피를 올려줍니다.


그럼 순서가
CC빡침








cc 안빡침








cc는 빡치는데 우리팀은 상대정글에서 놀겠음(또는 시야싸움에서 유리하거나 짜르기 편함)








이정도 입니다.
결국 시미터와 히드라는 흡혈이라는 공통된 효과가 있기때문에 굳이 두개를 연속으로 올릴 필요가 없습니다.
히드라는 라인푸쉬, 정글링에 더욱 힘들 실어주는데다가 피흡으로 유지력을 올려주기때문에
상대정글캠프를 말리기 쉽고 순간폭딜은 시미터보다 우위입니다. (보통 시미터가는 이유는 수은 효과때문이라)
즉 상대정글캠프말리기 + 시야장악유리 + 짜르기쉬움 에 적합하고
시미터는 수은장식띠의 CC해제라는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있으며
사실 수은을 사고 티아멧을 산 시점에서 히드라나 시미터나 둘다 약 2400원이 추가로 필요합니다만
과거라면 히드라를 갔겠지요(피흡이 없어서) 하지만 지금은 시미터에 피흡이 붙어서
만약 적의 CC가 너무 빡친다면 시미터를 먼저올려도 됩니다.
시미터는 발동순간 부스터효과가 있답니다!!!
마지막으로 정수약탈자와 무한의대검은 무조건 정수부터 올리세요.
가격동일, 공격력동일, 치명타율동일인데
정수는 쿨감10%에 크리터지면 마나3%회복이고
무대는 크리터지면 50%증뎀이 끝(물론 이게 쌔긴하지만)
일단 정수는 크리가 안터져도 쿨감10%라는 옵션때문에 쿨감20%(블루까지 30%)를 중후반에 가져갈 수 있습니다.
요우무 크리가 없어져서 20%는 너무 미약해요.
더구나 정수약탈자는 추가 치명타율만큼 20%까지 쿨감이 되는 스펙이 있습니다.
즉 정수약탈자를 먼저 구입하고. 무대를 맞추는 과정에서 치명타의 망토를 먼저 구입해주시면 쿨감40%가 가능합니다.
효율상 정수 - 치명망토 - 무한의대검 템트리가 가장 좋다는 말입니다.
라인 / 정글 운영법
초반 운영법
중반 운영법
후반 운영법
팀파이트시 역할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1명

0% (0표)

0% (0표)

100% (1표)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