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25 (+106) | 2427 | 마나 | 325 (+40.0) | 1005 |
공격력 | 68 (+4) | 136 | 공격 속도 | 0.625 (+2.9%) | 0.933 |
5초당 체력회복 | 6.68 (+0.7) | 18.58 | 5초당 마나회복 | 8 (+0.7) | 19.9 |
방어력 | 33 (+4.6) | 111.2 | 마법 저항력 | 32 (+2.05) | 66.85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425.0 | 425.0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 탄환 두 발을 발사하면 재장전해야 합니다. 공격 속도가 재장전 시간은 약간 줄이지만, 공격 후 다음 공격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폭 감소시킵니다.
- 공격 시 4개의 탄환을 발사합니다. 대상에 적중한 첫 번째 탄환은 70~100%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이후의 탄환은 각각 23.3~33.3%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치명타 공격 시 일반 치명타 효과 대신 6발의 탄환을 발사하고 30%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구조물의 경우 피해량이 25% 감소합니다.
- 탄환은 적중한 첫 번째 유닛을 관통할 수 없습니다. 챔피언이 아닌 유닛이 탄환을 여러 개 맞으면 뒤로 밀려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13/11.25/9.5/7.75/6초
화약 궤적은 2초 후 혹은 지형 충돌 시 폭발하며 근처의 모든 적에게 85/120/155/190/225(+0.4/0.65/0.9/1.15/1.4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20/19/18/17/16초

재사용 대기시간: 16/15/14/13/12초
기본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빨리 뽑기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0.5초씩 감소하고, 미니언이 아닌 대상을 맞힐 때마다 진정한 용기 지속 시간이 초기화됩니다.
진정한 용기가 활성화되면 방어력이 4/7/10/13/16 증가합니다.(8회까지 중첩됩니다.) (사정거리: 425)

재사용 대기시간: 100/80/60초
탄환은 챔피언을 맞히거나 사거리 끝까지 날아간 다음 폭발하여 원뿔 형태의 범위에 200/320/440 (+1.2 AD)의 물리 피해를 줍니다. (사정거리: 1000, 범위: 80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초반 칼날이 정석이 됨에 따라 1렙땐 Q찍음.
선버프시 E 먼저
그 뒤엔 QREW순 마스터
일단 보여주자면 Q플.
로 딜레이를 최대한 줄이는거임.
,
과 원리가 같다.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요렇게 써지는 거임


그 외에도 이 영상처럼 상대 딸피 마무리 용도로도 쓸 수 있다.
참고로 R플도 된다. 영상처럼 말이다.
다음으로 소개할건 궁모션(넉백) 캔슬
평타를 1~2대정도 쳐서 탄창이 1~2개정도 빈 상태에서 를 쓰면 궁 넉백 모션이 사라진다.
참고로 ,
도 이렇게 모션캔슬 됨. 상황따라 잘 쓰도록.
이런걸 활용해 풀콤을 넣어보면 다음과 같다.
평
,
평
평을 예시로 보여줬음
모션 캔슬도 익숙해지면 확실히 폭딜에 도움된다. 상황따라 잘 쓰셈.
주로 '딜러'를 터트릴 때 활용하면 좋다. 평타 1~2대정도 이득 볼 수 있음.



그브 RE 막힘, 이제 RE쓰면 E방향으로 날아가다가 다시 궁으로 튕겨나감
사실 다음과 같은 스킬콤보에서 제일 많이 활용되는건 임.
이거 하나만 잘써도 초반 그브를 훨씬 과감하고 공격적으로 쓸수있다. 잘쓰시길
초반 점멸을 과감하게 활용해라. 플을 씀으로서 상대가 피하기도 전에 빠르고 강하게 딜을 넣을 수 있다.
교전이 일어나 상대가 빈사상태일때 빠르게 합류해서 마무리. 깔끔하게 끝낸다.
이럴때 천둥딜이 진짜 깨알같고 세다. 짱짱맨





벽Q각은 확실히 그때그때 다른데, 상대 챔피언을 벽쪽으로 몰아가는 무빙을 쳐주거나, 나를 상대가 못보는 상태에서 기습적으로 들어가는 방식이다.
보통 이런 방식이다.
이외에 진짜 자주 쓰는 벽Q각 하나를 주자면.
탑 타워를 예시로 들었다.
상대 챔피언이 타워쪽으로 갈때, 타워를 활용해서 벽Q를 터트려준다.
까만선은 벽Q를 쓸수 있는 앵글들임. 옆의 벽도 당연 이용 가능
초반 갱킹에서 상대가 뒤로 뺄때 진짜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벽Q각이다.
이 외에도 내 뒤에 벽이 있는데 상대가 초 근접으로 들어온다면
뒤로 Q를 써서 Q 2타 뎀을 터트리는 방법도 있다. 잘 쓰도록.
한타할때 스텍 유지를 위해 계속해서 근처 미니언, 와드같은거 툭툭 치면 좋다.
스텍 유지할 시 방, 마방 증가하는게 장난 아니라서 개꿀
정버프시엔 활용에 신경써야 한다. 반대쪽 정글로 넘어가기 전에
아꼈다가
스텍 끝나갈 시점에 써서 유지. 8스텍 채우고 바위게 먹을 수 있다. 바위게 먹다가 상대 정글 만나도 걱정 안해도 됨.
시야 가리기. 진짜 좋다. 이걸 활용하자면


연막탄을 맞고 내가 플로 빠지자 갑자기 리신이 방향을 잃고 어리둥절하는 모습이 보인다.
이게 리신이 빡대가리인게 아니라 연막탄 때문에 내가 안보여서 이러는 거임.
의 활용도는 진짜 높다. 잘 써먹어라.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정글러의 기본원칙에 따른 플레이를 한다.
1. 달려갈 수 있다면 언제든지 합류해서 족쳐라. 너가 초반 4캠이든 5캠이든 항상 바뀌는거다.
2. 너무 멀어서 합류가 안된다면, 반대쪽에서 이득을 보아라.(카운터 정글, 갱킹 등으로)
3. 바위게는 중요하다. 꼬박꼬박 챙겨라.
4. 두꺼비가 골렘보다 먹기도 쉽고 이득 챙기기 좋다.
일단 초반 루트들을 전체적으로 소개시켜주려 한다.
먼저 말하자면, 평범한 루트들의 경우에는 두꺼비가 있는 쪽에서 시작하는게 효율적이다. 3캠먹으면 편하게 3렙찍음.
초반 루트들을 미니맵과 저퀄 숫자와 함께 설명해봄.
현재로선 정석으로 자리잡은 칼날루트
Q찍고 시작한다.
확실히 5캠만으로 4렙을 찍고 빠르게 카정, 싸움 플레이를 할수 있다는 점에서 좋다.
참고로 칼날부리 스타트시에도 스택 중첩 유지가 가능하다. 자세한 건 영상 보면서.
탑은 중간중간에 심심해서 보여줌.
E스텍 유지하는 법은 50초부터 참조하셈
칼날부리 시작 - 레드 - 이후 쿨 남겨놨다가 레드 부쉬 끝에서 E쓰면서 스택 유지 - 늑대 - 블루 - 두꺼비
이러면 4렙이 찍힘. 이후에는 바위게 - 상대 칼날부리 - 상대 작골 순으로 가는게 보통임. 이 경우에는 상대가 칼날을 먹었고 미드가 딱 각이라서 그냥 가서 다 때려잡음. 게임은 유동적으로~
칼날 먹을 때는 산탄이 2~3마리 이상 맞을 수 있도록 거리를 두고 각을 잘 맞춰서 쏘도록 하자. 그래야 피관리가 잘 되고 마스터리에 포악함 찍어놓은거 최대한 활용 가능.
블루팀일때 쓰는 변칙루트인데, 초반 탑쪽 시야를 보다가 상대 칼날부리 스타트, 이후 레드를 먹고 바로 2렙 탑갱.
물론 이때도 1렙 Q
강타는 우리 블루or두꺼비에 주로 씀
그 다음 바로 우리 정글 3캠으로 4렙 빠르게 찍는 루트이다.
상대가 선 레드까진 예상하는데 칼날부리까지 먹는건 예상 못하기에 레벨링, 탑 스펠등에서 앞서갈 수 있다.
이때는 보통 우리 레드 뺏길걸 예상하고 도는 루트임. 뺏겨도 이득인 경우가 많이 생긴다.
다음과 같이 활용한다. 갱킹을 성공한 예시는 아니지만, 상대 카사딘의 플래시가 빠졌고, 레벨링도 빠르게 진행되므로 나중에 리신이 우리 레드를 먹은 상황에서도 이득을 가져간다.
성공하면 이렇게 된다. 그대로 탑은 주도권 무조건 쥐고 게임 폭파 가능. 봇듀가 라인밀고 깝치다가 더블킬 당하지만 않으면 된다.
바텀에 레드 쪽, 삼거리 쪽 위험 핑 찍어주자. 이 게임은 마음이 급했던 자크가 봇에서 갱승까지 하면서 게임이 완전 터져버림.
적버프 루트, 상대 버프를 시작으로 정글을 도는 루트임.
바텀 쪽 정글 2개는 상대가 역버프일시 활용가능한 루트. 다만 위험천만하고 사용할 상황이 딱히 잘 나오진 않음.
상황따라 유동적으로 상대 1캠프 카정하고 빼거나 싸우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플레이가 가능함.
저라뎃 영상보면 상대버프 스타트하는 영상들이 좀 많다. 확인해봐도 좋음.
초반 루트들의 예시를 보여줬다. 전체적으로 시험해보고, 변칙 루트들도 시험해보며 초반을 어떻게 넘길지 고민해보자.
이 외에는 초반 교전에서 강타를 적극적으로 이용해라. 질 교전도 얘로 비빌 수 있다.
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기도 함.
초중반에 제일 중요한 운영은 '포블'이다.
첫 포탑 골드 추가로 포탑깨기가 굉장히 중요해졌기에 갱이 그리 좋지 않은 그레이브즈는 포탑갱을 활용한다.
포탑 근처에 벽도 많기에 그냥 터트려 버려도 됨. 아까 얘기했던 벽Q각 이용하자.

중반부터의 포지션은 말 그대로 '파괴자'이다.
일단 이 녀석은 원거리 딜러기에 최전방에 서진 않는다.
이렇게 보통 중간~뒤 정도의 포지션에서 우리팀 원딜을 물러오는
에게
을 깔고 이녀석과 과
같은 상대 주요딜러에게
로 광역딜을 선사한다. CC기 하나 없는 그브가 확실하게 상대팀 진영을 붕괴시킬수 있다.
좁은 정글진형, 또는 옆에 벽이 있을때 더더욱 효과를 발휘함.
예시로 가져온 영상이다.
미스포츈을 미드 억제기 타워쪽에서 자르는 장면인데,
바루스가 밤의 끝자락으로 궁을 막았음에도 불구하고 Q 2타만으로도 유효할 정도의 데미지가 들어간다.
물론 다맞은 미스포츈은 그냥 터져버림
이 이리 강하기 때문에 뒤쪽의 딜러진에게도 위협적인 딜링을 펼칠 수 있다.
그브가 물관을 가는 이유기도 함. 치명타로 평타 치는것보다 빠른 타이밍에, 더 강하게, 상대팀에게 위협을 가져다 줄 수 있다. 광역으로!
후반 그레이브즈보다 성장 포텐셜이 센 챔피언은 사실상 없다. 게임 터트려라.
위에서 얘기했던것처럼 '파괴자'임
얘는 스킬 특성상 으로 상대 무력화 시키면서
로 상대 딜러고 탱커고 한방에 치명타를 먹여줄 수 있음.
킬 캐치력도 좋고 딜도 강하기 때문에 항상 급하게 로 암살만 할려고 하지말고 각을 잘 보자.
하다보면 상대가 일자로 서주는 타이밍이 많다.
카르마 탈진걸려도 더럽게 셈. 마침 우리팀 원딜도 드레이븐이라 그냥 게임이 터져버렸다.
이런 그브의 안 좋은 이미지에는 를 이용한 그브 유저들의 안 좋은 플레이 때문이 큰데,
탑신병자도 그브를 사랑할 수 있도록 그브 유저들에게 당부한다.
제발 남이 먹고 있는 라인 억지로 다 뺏어먹지 말고 정글 먹어라.
롤은 성장력이 무한한 게임이 아니다. 같은팀 5명의 유저들이 한정된 전 라인의 성장력을 나눠먹으면서 플레이 하는 게임인데, 그브가 현 메타에서 좋은 이유는 '정글에 있는 성장력'을 최대한 이용해서 특별한 뺏어먹기 없이 지 혼자 압도적으로 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냥 혼자 커도 될텐데 남이 먹고 있는 라인을 다 뺏어먹으면서 크지 말자. 니가 그렇게 혼자 빨아먹으면서 커봤자 우리 라이너들 븅신되서 혼자 쳐맞고 디진다음 '아 팀운 ;;' 이 난리 치지 마라.
너가 빨아 먹을 건 우리 팀이 아닌 상대 정글과 상대 팀이다. 다 같이 커서 다 같이 승리를 맞이하자.
빈 라인 포탑에 다 꼬라박히는건 어짜피 아무도 안 먹는거 너가 먹어라. 냠냠
제발 초반부터 끝까지 우리 정글만 쳐 먹지 마라.
얘는 갱이 안 좋기 때문에 아까 말했다시피 성장 방법은 상대를 못 크게 해서 성장력을 극대화 시키든가, 포블, 봇 갱 대박 등으로 팀을 같이 키워서 프리딜 조건을 만들어야 된다. 우리 정글만 열심히 빨아먹다가 우리팀 한테 다 터지는 꼴 구경만 하지 마라. 얘는 이런 갱킹형 정글러들이랑 싸움이 되는 정글러다.
정 안되면 불용같은건 몰래 빼먹어라. 팀이 같이 커줄 여지를 만들어라.
마지막 껀 모든를 이기고 싶은 유저들에게 하고 싶은 얘기다.
롤은 팀 게임이다.
위에서 계속해서 팀을 언급한 이유는 롤은 팀 게임이기 때문이다.
'팀운땜에 캐리가 안돼요 ㅠㅠ 혼자 성장해서 캐리 가능한 정글러 추천좀요 ㅠㅠ'
개소리다. 애초에 혼자 성장해서 캐리가 가능한 챔피언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애초에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혼자 캐리한다'라는 조건은 '내가 잘 커서' 캐리하는게 아닌, 상대팀 5명을 모두 디나이 시켜서 상대적으로 졸라 쎈 내가 다 때려잡는거다.
이게 가능한 사람들은 팀운팀운 거리면서 현지에 있을리가 없다.
물론 롤은 팀게임인 만큼 팀운도 존재한다. 단, 계속 꼬라박혀서 찡찡댄다면 그건 자기 잘못이다.
양학을 할때는 확실히 상대팀 5명을 모두 등신을 만들어서 게임을 터트리는게 훨~씬 고효율적이다. 단, 양학이 아니라면 그건 불가능하다.
자신이 티어를 올리고 싶다면, 상대 5명을 모두 등신을 만드는 것보다, 우리팀 5명을 모두 같이 키워서 이기는 걸 생각하자. 이렇게 게임하면 적어도 반반인 게임, 질 게임 한 두판 씩은 더 이길 수 있다.
추후 수정. 다만 얘를 굳이 쓸 정도로 좋은 챔은 아님.
(P.S:진짜 공략쓰면서 역대급으로 정성들인 것 같다. 잘 봐주시길. 댓글 평가 잘받겠음)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