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25 (+106) | 2427 | 마나 | 325 (+40.0) | 1005 |
공격력 | 68 (+4) | 136 | 공격 속도 | 0.625 (+2.9%) | 0.933 |
5초당 체력회복 | 6.68 (+0.7) | 18.58 | 5초당 마나회복 | 8 (+0.7) | 19.9 |
방어력 | 33 (+4.6) | 111.2 | 마법 저항력 | 32 (+2.05) | 66.85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425.0 | 425.0 |
- 방어구 관통력 +1.6x3
- 공격력 +0.95x6
- 레벨당 체력 +1.34x9
- 레벨당 마법 저항력 +0.167x9
- 공격 속도 +4.5%x3
- 방어구 관통력+4.8
- 공격력+5.7
- 체력+217.08
- 마법 저항력+27.054
- 공격 속도+13.5%
- 흉포: 0
- 책략: 0
- 결의: 0
- 탄환 두 발을 발사하면 재장전해야 합니다. 공격 속도가 재장전 시간은 약간 줄이지만, 공격 후 다음 공격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폭 감소시킵니다.
- 공격 시 4개의 탄환을 발사합니다. 대상에 적중한 첫 번째 탄환은 70~100%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이후의 탄환은 각각 23.3~33.3%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치명타 공격 시 일반 치명타 효과 대신 6발의 탄환을 발사하고 30%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구조물의 경우 피해량이 25% 감소합니다.
- 탄환은 적중한 첫 번째 유닛을 관통할 수 없습니다. 챔피언이 아닌 유닛이 탄환을 여러 개 맞으면 뒤로 밀려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13/11.25/9.5/7.75/6초
화약 궤적은 2초 후 혹은 지형 충돌 시 폭발하며 근처의 모든 적에게 85/120/155/190/225(+0.4/0.65/0.9/1.15/1.4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20/19/18/17/16초
재사용 대기시간: 16/15/14/13/12초
기본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빨리 뽑기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0.5초씩 감소하고, 미니언이 아닌 대상을 맞힐 때마다 진정한 용기 지속 시간이 초기화됩니다.
진정한 용기가 활성화되면 방어력이 4/7/10/13/16 증가합니다.(8회까지 중첩됩니다.) (사정거리: 425)
재사용 대기시간: 100/80/60초
탄환은 챔피언을 맞히거나 사거리 끝까지 날아간 다음 폭발하여 원뿔 형태의 범위에 200/320/440 (+1.2 AD)의 물리 피해를 줍니다. (사정거리: 1000, 범위: 80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유일하게 기본사거리 650을 가지고있는 케이틀린이 상대팀에 있을경우,
정말 힘듭니다. 딜 넣기가 힘들어요. 한타포지션도 잡기 힘듭니다.
그브도 성장정글러의 특성상 초반이아닌, 후반을 바라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케이틀린이 있다면 후반에 케이틀린 위력또한 상당해서 평타 한방 한방에 진짜 뼈도 못추리게 아프고,그브를 소심하게 만드는 대표 원거리 딜러중 하나입니다.
엘리스는 초반갱킹을 이점으로해서, 빠르게 이득을봅니다.
그렇게 라이너들을 전체적으로 성장시켜 20~30분정도로 게임을 끝내기에 좋은 챔피언이구요.그레이브즈는 초반갱킹이 상당히 안 좋은편이에요. 그나마 궁극기를 찍고 딜갱으로 밀어붙이면 할 만하지만.. 기동력을 신은 엘리스의 갱킹을 아군라이너들이 얼마나 버텨주느냐가 관건이 되겠네요.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렉사이가 초반갱킹이 좋긴하지만, 엘리스나 리신 타 챔피언처럼 강하지는 않아요.
땅굴은 보이는데로 깨주세요.
렉사이도 성장형 정글러의 운영챔피언이다보니, 카정가셔도 좋은선택!
블루팀
선칼날루트 5캠 칼날 - 레드 - 늑대 - 블루 - 두꺼비
일반루트 레드 - 칼날 - 늑대 - 블루 - 두꺼비
적칼날부리루트 적칼날 - 블루 - 늑대 - 칼날 - 레드
적버프몹루트 적레드 - (유동) - 블루 - 늑대 - 칼날 - 레드
(유동)의 의미는 제가 적 레드를 시작했을 시, 적 정글의 위치가 파악된 상태라면, 적칼날을 먹고와도됩니다.
아닐 경우에는, 그냥 우리팀 정글로 와주세요.
적 정글스타트를 먹고 우리 정글로 넘어와서, 블루버프를 잡고 두꺼비를 안 먹는이유는
우리 레드가 상대 정글이 눈치채고 와서 카정을 할수 있기때문에 얼른 잡고 가기 위함입니다.
퍼플팀
선칼날루트 5캠 칼날 - 레드 - 늑대 - 블루 - 두꺼비
일반루트 블루 - 두꺼비 - 늑대 - 칼날 - 레드 - 작골
적칼날부리루트 적칼날 - 블루 - 늑대 - 칼날 - 레드
적버프몹루트 적블루 - (유동) - 블루 - 늑대 - 칼날 - 레드
퍼플팀의 (유동)의 의미는 마찬가지로 적 정글위치가 파악이되면, 두꺼비를 먹고오면 되겠지요.
1. 갱을 가거나,용을 먹거나, 무슨 행동을 취할 때라도 시야는 항상 넓게봐야합니다.
2. 우리팀 라이너 적팀라이너 적정글 상성을 게임픽창부터 비교해서, 내가 어떻게 정글루트를 짜면 좋을지,
카정을 갈지 동선루트를 미리 계획합니다.
3.정글러는 팀에서 오더를해서 행동을 하기보다는, 보통 먼저 오더를해서 팀을 이끄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러기에는 내가 오더를 할때 본인 동선, 또는 플레이에 확신을 가지고해야합니다.
4.예시로 적 미드로 갱을 가거나,적 블루몹을 카정하러 가는 도중에 갑자기 적이 나의 낌새를 알아챈거같은 무빙이나
행동을 취한다면, 당연히 가면안됩니다.
(1번의 이유와 같은거죠.)
5. 2:2 3:3교전 상황 시 다른 라인의 개입을 잘 살피세요.
(ex 미드정글 2:2 싸움인데 상대 서폿이 시야에서 사라졌다. 교전 중단 및 상황에 맞는 조치)
ex)
저희가 아래팀 정글로 시작한다는 가정하에,
레드 -> 늑대 -> 블루 이후 3렙후 적 탑으로 갱루트를 잡았습니다.
하지만, 적 탑라이너의 장신구 와드로 인해, 발각되어 루트가 꼬인 상황이 되어버렸죠.
이러면, 보통 취할 수 있는 행동은,
1.바론 옆 바위게 먹기
2.상대 정글 카정가기
3.미드 또는 봇으로 동선 바꾸기
4.독 두꺼비 먹은 후, 정글링
크게 이 네가지 정도가 있는데요.
바위게 먹는거는, 잡을때 적 팀의 무빙 또는 행동만 잘 확인해주시면 안정합니다.
하지만, 카정으로 방향을 틀었을경우,
조건이 있습니다.
현재 내가 적 레드 또는 작골 쪽으로 카정을 잡고 이동을할때,
미드,탑 라인의 상황에 따라 결정됩니다.
왜냐하면, 이 상황에서 현재 상대 레드쪽으로 카정을 갈때,
아군 탑라인과 미드라인이 밀리고 있을 경우 카정을가면 1킬을 내어주는 것과 같습니다.
이에 최소 우리팀에 1라인 이상은 라인을 밀고있거나, 또는 적 라인보다 기동성이 훨씬 능한 챔피언 일경우 한에서 갑니다.
위에 제가 말씀드린 것만 기억하셔도 정글하시는데 충분히 도움이 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위 2번에서 말한 항목의 이유가 지금 말하는 것과도 동일합니다.
그래서 픽창부터 아군미드 적미드 등 라이너 상성을보고
누가 더 유리하고, 백업 상황 시 누가 더 합류가 빠르겠다.
이렇게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