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0명
				0% (0표)
					0% (0표)
					0% (0표)
					탑 람머스를 하고 싶은 한 유저의 몸부림
							최근에 람머스 공략을 쓰게된 실레기라 합니다,
엑셀 공략이 되었고 그것에 대해 감사를 드립니다, 모두들 감사드립니다.
현제 는 정글
는 정글 
이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습니다. 물론 정글이 에게 훨씬 더 좋은 건 사실입니다만,
에게 훨씬 더 좋은 건 사실입니다만,
" 유저의 애정"로써 탑으로 람머스를 보내고 싶은 맘이 생겨서 이 공략을 작성함을 알려드립니다.
								엑셀 공략이 되었고 그것에 대해 감사를 드립니다, 모두들 감사드립니다.
현제
이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습니다. 물론 정글이
" 유저의 애정"로써 탑으로 람머스를 보내고 싶은 맘이 생겨서 이 공략을 작성함을 알려드립니다.
                    소환사 주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 체력 | 675 (+100) | 2375 | 마나 | 310.44 (+33.0) | 871.44 | 
| 공격력 | 65 (+2.75) | 111.8 | 공격 속도 | 0.625 (+2.22%) | 0.861 | 
| 5초당 체력회복 | 7.92 (+0.55) | 17.27 | 5초당 마나회복 | 7.84 (+0.5) | 16.34 | 
| 방어력 | 35 (+4.5) | 111.5 | 마법 저항력 | 32.1 (+2.05) | 66.95 | 
| 이동 속도 | 335.0 | 335 | 사정 거리 | 125.0 | 125.0 | 
 공격 속도 +1.7%x9 공격 속도 +1.7%x9
 방어 +1x4 방어 +1x4
 레벨당 체력 +1.34x5 레벨당 체력 +1.34x5
 마법 저항력 +1.34x9 마법 저항력 +1.34x9
 방어 +4.26x1 방어 +4.26x1
 체력 재생 +2.7x2 체력 재생 +2.7x2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공격 속도+15.3%
- 방어+8.26
- 체력+120.6
- 마법 저항력+12.06
- 체력 재생+5.4
총 가격 : 12,191 IP
                                							기존  룬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룬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파랑에 성체를 박은 이유는 정글과 탑의 차이이기때문입니다.
 가 성장 쿨감을 가는 이유는 중후반때
가 성장 쿨감을 가는 이유는 중후반때 
 같은
같은  의 스킬을 무시할 수 있는 것들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의 스킬을 무시할 수 있는 것들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즉, 중 후반을 노리고 간다는 말 입니다.
하지만 탑에 올라오는 얘들을 생각해봅시다,

 등등 지속적 AP데미지를 주는 얘들이 많습니다.
등등 지속적 AP데미지를 주는 얘들이 많습니다.
아무리 가 버틴다 해도 까딱하면 회색화면보기 일수 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마저를 박는 게 좋습니다
가 버틴다 해도 까딱하면 회색화면보기 일수 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마저를 박는 게 좋습니다
6렙 이후부턴 성장 룬이 좋습니다, 버틸 수 있구나 생각하시면 성장마방 박으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등등 견제 강한 얘들 버틸 수 있게 체젠룬 박는 게 좋습니다.
등등 견제 강한 얘들 버틸 수 있게 체젠룬 박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파랑에 성체를 박은 이유는 정글과 탑의 차이이기때문입니다.
즉, 중 후반을 노리고 간다는 말 입니다.
하지만 탑에 올라오는 얘들을 생각해봅시다,
아무리
6렙 이후부턴 성장 룬이 좋습니다, 버틸 수 있구나 생각하시면 성장마방 박으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 흉포: 0
- 책략: 0
- 결의: 0
정글과 다르게 탑은 공격적인 것보단 수비적인 것이 좋습니다,
초반 는 적어도
는 적어도  뜨기 전까지는 매우 약하기 떄문에, 초반 견제를 버티기 위해서
뜨기 전까지는 매우 약하기 떄문에, 초반 견제를 버티기 위해서 
수비적이게 들어주는 게 좋습니다,
 드는 이유는 탑
드는 이유는 탑 할떄 초반에선 CS를 먹지못하고 버리고 미는 경우가 많습니다.
할떄 초반에선 CS를 먹지못하고 버리고 미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이걸 들어줘서 방지해줍니다.
 를 왜 찍냐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를 왜 찍냐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탑 는 대부분 초반을 포탑에서 있기 떄문에, 다이브나 포탑 근처 싸움을 위해
는 대부분 초반을 포탑에서 있기 떄문에, 다이브나 포탑 근처 싸움을 위해  보다 좋습니다.
보다 좋습니다.
 은
은  과 체젠룬과의 시너지가 좋습니다.
과 체젠룬과의 시너지가 좋습니다.
								초반
수비적이게 들어주는 게 좋습니다,
그러므로 이걸 들어줘서 방지해줍니다.
탑
할떄 갑니다
어짜피
선택
											가시박힌 껍질 (Spiked Shell)
										
										
											람머스의 기본 공격이 10 (+방어력의 10%)의 추가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대회전 (Powerball)
										
										
											마나 소모: 60
재사용 대기시간: 12/10.5/9/7.5/6초
										재사용 대기시간: 12/10.5/9/7.5/6초
											람머스가 6초 동안 공 모양으로 몸을 만 후 적을 향해 돌진하여 이동 속도가 150~235%만큼 증가하며, 충돌 시 80/110/140/170/200 (+1.0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1초 동안 이동 속도를 40/50/60/70/80%만큼 낮춥니다.
몸 말아 웅크리기를 사용하면 대회전의 효과가 취소됩니다.
									몸 말아 웅크리기를 사용하면 대회전의 효과가 취소됩니다.
											몸 말아 웅크리기 (Defensive Ball Curl)
										
										
											마나 소모: 40
재사용 대기시간: 7초
										재사용 대기시간: 7초
											람머스가 최대 6초 동안 몸을 말아 웅크려 자신의 방어력을 40 (+방어력의 40/50/60/70/80%) 만큼 상승하고, 마법 저항력은 10 (+마법 저항력의 30/35/40/45/50%)만큼 상승합니다.
기본 공격 시 이 효과의 지속시간이 0.4초씩 증가합니다. (최대 4초)
몸 말아 웅크리기를 사용하는 동안 가시박힌 껍질 효과가 150%로 강화되며, 자신에게 기본 공격을 하는 대상에게도 동일한 피해를 입힙니다. 다시 사용하면 몸 말아 웅크리기가 원래 지속 시간보다 더 빨리 종료되며, 재사용 대기시간이 시작됩니다.
몸 말아 웅크리기를 사용하면 대회전이 취소되며 재사용 대기시간이 시작됩니다.
									기본 공격 시 이 효과의 지속시간이 0.4초씩 증가합니다. (최대 4초)
몸 말아 웅크리기를 사용하는 동안 가시박힌 껍질 효과가 150%로 강화되며, 자신에게 기본 공격을 하는 대상에게도 동일한 피해를 입힙니다. 다시 사용하면 몸 말아 웅크리기가 원래 지속 시간보다 더 빨리 종료되며, 재사용 대기시간이 시작됩니다.
몸 말아 웅크리기를 사용하면 대회전이 취소되며 재사용 대기시간이 시작됩니다.
											광란의 도발 (Puncturing Taunt)
										
										
											마나 소모: 50
재사용 대기시간: 12/11.5/11/10.5/10초
										재사용 대기시간: 12/11.5/11/10.5/10초
											람머스가 적 챔피언이나 몬스터를 1.2/1.4/1.6/1.8/2초 동안 도발하며 지속시간 동안 람머스의 공격 속도가 20/25/30/35/40% 증가합니다.
공격 속도 증가의 이로운 효과 지속시간이 람머스의 다른 스킬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초기화됩니다. (사정거리: 325)
									공격 속도 증가의 이로운 효과 지속시간이 람머스의 다른 스킬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초기화됩니다. (사정거리: 325)
											지진 폭격 (Soaring Slam)
										
										
											마나 소모: 100
재사용 대기시간: 90초
										재사용 대기시간: 90초
											람머스가 공중으로 뛰어오른 후 지점에 착지하여 100/175/250 (+0.6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적을 1.5초 동안 15/17.5/20% 둔화시킵니다. 범위 중앙 근처에 있는 적에게는 이동 거리에 비례해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대회전 중에 사용했다면 중앙에 있는 적들은 0.75초 동안 공중에 뜹니다.
이후 3.5초 동안 해당 지점에 여진이 3회 발생하며, 각각 20/30/40 (+0.1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둔화 효과를 중첩합니다. (최대 3회)
이 스킬의 범위는 람머스의 이동 속도에 따라 증가합니다.
첫 착지와 여진 발생 시 포탑에 200%의 피해를 입힙니다. (사정거리: 800~2000, 범위: 300)
									이후 3.5초 동안 해당 지점에 여진이 3회 발생하며, 각각 20/30/40 (+0.1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둔화 효과를 중첩합니다. (최대 3회)
이 스킬의 범위는 람머스의 이동 속도에 따라 증가합니다.
첫 착지와 여진 발생 시 포탑에 200%의 피해를 입힙니다. (사정거리: 800~2000, 범위: 300)
스킬 빌드
  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
  9 9
  10 10
  11 11
  12 12
  13 13
  14 14
  15 15
  16 16
  17 17
  18 18
무슨 챔프가 라인에 오느냐에 따라 스킬 선마 순서도 다릅니다.
 선마: 지속적으로 집을 가야할떄, 로밍을 자주 가야할떄  견제가 쎄거나, AP챔프거나 할떄 갑니다.
선마: 지속적으로 집을 가야할떄, 로밍을 자주 가야할떄  견제가 쎄거나, AP챔프거나 할떄 갑니다.
 선마:
선마: 
 처럼 지속적으로 싸움을 걸어줘야하는 상대일때 갑니다.
처럼 지속적으로 싸움을 걸어줘야하는 상대일때 갑니다.
스킬 콤보
간단해요, 

 쓰고 때리다가 도망가면
쓰고 때리다가 도망가면  끄고
끄고  키고 따라가기
키고 따라가기
스킬 활용 팁
(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오류생겼나  이 안보이네요
이 안보이네요
시작템은 무조건



 가 좋습니다,
가 좋습니다, 
지속적으로 싸우겠다 싶으면 를 바로 올릴 수 있고
를 바로 올릴 수 있고
자주 라인 복귀를 해야겠다싶으시면 갈수도 있고
갈수도 있고
AP가 아프다싶으면 을 갈 수도 있어요, 또한
을 갈 수도 있어요, 또한  필요한 방어력, 유지력에 필요한 포션이 많죠
필요한 방어력, 유지력에 필요한 포션이 많죠
여려가지를 봤을떄 가장좋습니다.
그리고 제 공략에서 가장 놀라실 부분이 있는데 입니다.
입니다.
바로 AP챔피언 대 카운터 용이죠,
 를 대포한테 쓰고 로밍다니시면 됩니다.
를 대포한테 쓰고 로밍다니시면 됩니다.
상대가 지속적으로 라인을 빨리 미는 ,
,
 등등(
등등( ,
, 는 AP라는 가정 하에)
는 AP라는 가정 하에)
AP챔프일시 상당히 좋은 효율을 보여주고 있답니다.
저는 보통 AP챔프다 싶으면

 식으로 가고 있어요.
식으로 가고 있어요.
중후반떄부터 약간 애매하니 AP가 4AP가 아닌 이상 팔아주세요.
탑 는 아이템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는 아이템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AP가 아프다싶음 대신
대신  갈수도,
갈수도, 
지속AP가 많으면 을 갈 수도 있고요
을 갈 수도 있고요
.
기본적인 AD상대법은

 씁니다,
씁니다, 
혹은
 같이 견제 쎈 얘들 상대로는
같이 견제 쎈 얘들 상대로는  을 섞을 수도 있습니다.
을 섞을 수도 있습니다.
상당히 자유로움으로 상황에 맞게 가주시면 되겠습니다.
								시작템은 무조건
지속적으로 싸우겠다 싶으면
자주 라인 복귀를 해야겠다싶으시면
AP가 아프다싶으면
여려가지를 봤을떄 가장좋습니다.
그리고 제 공략에서 가장 놀라실 부분이 있는데
바로 AP챔피언 대 카운터 용이죠,
상대가 지속적으로 라인을 빨리 미는
AP챔프일시 상당히 좋은 효율을 보여주고 있답니다.
저는 보통 AP챔프다 싶으면
중후반떄부터 약간 애매하니 AP가 4AP가 아닌 이상 팔아주세요.
탑
AP가 아프다싶음
지속AP가 많으면
.
기본적인 AD상대법은
혹은
상당히 자유로움으로 상황에 맞게 가주시면 되겠습니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나서스
										멍멍이가 왜 카운터냐고요?
이녀석도 라인을 당기는 녀석이기떄문에 다른 챔피언 상대할떄 보다 라인이 잘 안당겨지고
람머스가 열심히 때려본다하더라도 피흡으로 버티고
당겨서 갱 좀 당해주면 상대정글 역갱오기 시작하고....
벤하는 게 좋습니다
									이녀석도 라인을 당기는 녀석이기떄문에 다른 챔피언 상대할떄 보다 라인이 잘 안당겨지고
람머스가 열심히 때려본다하더라도 피흡으로 버티고
당겨서 갱 좀 당해주면 상대정글 역갱오기 시작하고....
벤하는 게 좋습니다
탐 켄치
										얘는 지휘관을 가도 그리 큰 효과를 발휘도 못하고
싸우면 당연히 지고, 한타에서 매우 껄끄럽습니다....
요새 잘 안나와서 다행
									싸우면 당연히 지고, 한타에서 매우 껄끄럽습니다....
요새 잘 안나와서 다행
트런들
										아...내 방마저...아 유지력...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피오라
										요새 탱커 많이나온다고 탱커 카운터 친다고 자주나오죠?
덤블, 바마 나오면 그냥 녹습니다.
									덤블, 바마 나오면 그냥 녹습니다.
리븐
										초반만 조심해주고 덤블조끼 뜨고 당겨주면 뭘 하질 못하는 앱니다.
									야스오
										아무것도 못하죠.
과학이죠
									과학이죠
라인 / 정글 운영법
초반에 사리기, 중반부터 활약
초반 운영법
 아무리 쉬운챔프가 와도 초반 ![]() 처럼 쉬운 얘 없습니다.
처럼 쉬운 얘 없습니다.
당깁니다
중반 운영법
 AP면 ![]() 이 나왔다면 슬슬 라인클리어, 로밍을 준비해주시고, 또한 싸워도 잘 안집니다.
이 나왔다면 슬슬 라인클리어, 로밍을 준비해주시고, 또한 싸워도 잘 안집니다.
후반 운영법
한타에 적극참여해줍시다. 시야관리 잘해주세요
팀파이트시 역할
딜러를 딜 못하게 만들던가, 아군 딜러 지킬 것인가 선택하세요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0명
				0% (0표)
					0% (0표)
					0% (0표)
					코멘트
코멘트(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