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넥 원챔의 레-전-설
자칭 실버 레넥장인의 뭣도 아닌 공략.
전적을 보고 와..이런 새끼도 사는구나
하고 느끼고 싶다면
성민씌
보러가라.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60 (+111) | 2547 | 마나 | 100 (+0.0) | 100 |
공격력 | 69 (+4.15) | 139.6 | 공격 속도 | 0.665 (+2.75%) | 0.976 |
5초당 체력회복 | 7.96 (+0.75) | 20.71 | 5초당 마나회복 | 0 (+0) | 0 |
방어력 | 35 (+5.2) | 123.4 | 마법 저항력 | 28 (+2.05) | 62.85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125.0 | 125.0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먼저 룬 부분.
나같은 경우는 감전과 정복자 둘중 하나를 쓰는데,
초반에 힘을 실어 킬을 따겠다! 라는 의미에서
감전과 함께 점화를 들어준다.
한번만 킬을 내면 스노우볼이 크게 굴러가는 레넥톤이기에.
정복자를 간혹 들기도 하는데,
기분 꿀꿀할 때만 드는거니까 설명은 생략한다.
감전-
w강화는 평타를 3방 치고 기절 시키는거다.
세상에.
2렙 딜교할 때 쓰고 강화 쓰고 평타만 쳐줘도 감전이 터진다!
그리도 다시로 빼주면, 일방적 딜교 성공!
돌진기가 있거나, 그랩류 챔프는 예외.
돌발일격-
설명 생략.
시야수집-
내가 라인전때 핑크와드를 안 산다,
씨맥보다 와드를 혐오한다 했을때는 좀비와드도 무난한것 같다.
그렇지 않다면 들어주는게 좋다.
굶주린 사냥꾼-
레넥톤의 Q스킬
피흡이 있는 스킬.
굶주린 사냥꾼과 함께라면 효율이 어마무시 하다.
사실 다른거 들 게 없어서 드는 특성.
요걸로 궁쿨 줄이는 것도 좋지만,
내 취향이다.
승전보-
갓전보.
최후의 일격-
정밀 3티어 특성 중에서
제일 효율이 좋다고 생각된다.
근접 브루저 챔프인 악어에게
체력차 극복은 트롤이고,
최후의 저항은 일방적 딜교를 성공적으로 마쳐야하는
레넥톤에게는 옳지 않다.
가끔 기분이 꿀꿀한날 들어주는
정복자. 돌발일격
승전보. 굶주린 사냥꾼 또는 시야수집.
강인함
최후의 일격
위에서 설명 하지 않은 부분만 설명하자면,
정복자.
전투 시작후 몇초 뒤에 챔피언에게 평타를 치면
공격력이 올라가는,
요즘 야스오에게서 많이 보이는 특성.
정복자 스텍을 쌓고
E 평 W 평 Q 해주면 너무좋다.
히드라가 있다면 히드라까지Q와 함께 써주면 된다.
전설- 강인함
적팀 cc가 많다면 꼭 들어주는 강인함.
헤르메스와 함께라면 더욱 좋다.
적 탑라이너가
킬각을 볼 수 있는 초반에 약한챔프,
즉 체력이 낮은 챔프 일때는
과 함께 를 들어준다.
그렇지 않은경우
적 탑라이너가 단단한 챔피언이거나,
원거리 챔이라 초반 2~3렙에 깔끔한 딜교가
성공하지 못 할것 같다 했을때
로밍과 신속한 라인 복귀를 위한
를 들어준다.
레넥톤의 체력이 50% 이하일 때는 50%의 분노를 더 획득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7초
미니언 공격시 2/3/4/5/6 (+0.02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12/20/28/36/44 (0.17 추가AD)의 체력을 50/75/100/125/150 까지 회복합니다.
양떼 도륙은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5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90/135/180/225/270 (+1.4 추가AD) 증가합니다. 치료 효과가 미니언 공격시 6/9/12/15/18 (+0.06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36/54/72/90/108 (+0.45 추가AD)로, 최대 200/300/400/500/600까지 증가합니다. (범위: 450)
재사용 대기시간: 16/14/12/10/8초
레넥톤의 다음 공격이 두 번 명중하여 적에게 10/40/70/100/130 (+1.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0.7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각 공격은 명중 시 발생 효과가 적용됩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레넥톤이 적의 보호막을 파괴하고, 세 번 공격하여 적에게 15/60/105/150/195 (+2.2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대상을 1.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사정거리: +50)
재사용 대기시간: 16/14.5/13/11.5/10초
토막내기: 레넥톤이 돌격하여 30/60/90/120/150 (+0.9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자르기와 토막내기는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토막내기 -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70/115/160/205/250 (+1.35 추가AD)로 증가합니다. 피격당한 적은 4초 동안 방어력이 25/27.5/30/32.5/35% 감소합니다. (사정거리: 55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1렙에 W를찍어주는 이유는,
감전을 들었을때, 평타 2대 판정으로
감전을 터트리기가 좋고,
2레벨에 찍을 E와 함께 적 정글이 2렙갱을 왔을때
생존성 보장을 위함이다.
Q다음으로 E선마를 하는 이유는,
레넥톤의 딜교는 로 시작해서
로 끝나기 때문이다.
스킬을 찍을수록 쿨타임이 감소하기 때문에,
더 잦은 딜교를 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스킬 콤보
다시 말하지만 레넥톤의 콤보는 로 시작해서
로 끝난다.
2렙에 일방적 딜교를 위해선
E 강화 W 평 E
1렙 W 가 싫어서 Q를 찍었다면,
E Q E
가 제일 무난하다.
레넥톤은 오래 싸우는 챔프가 아니라, 순간적인 딜이 좋은 챔프이기 때문에
만약 E스킬이 삑사리나면, 도망가지 못해서 딜교에 질 확률이 크다
3~5렙 풀콤보
평 평 평
가장 이상적인 콤보다.
적이 미친척하고 헤르메스를 사왔다면
기절 시간 감소로 인해 두번째로 도망갈 때
얻어맞을 수도 있다.
탑 레넥톤한테 헤르메스를 사는 사람이 만약 있다극면,
그사람이 우리팀이 아닌것에 감사하자.
레넥톤이 잘 크고, 한타시에 적 딜러를 물어야 하는 상황에 콤보
잠깐의 비비기 후 평 ...후 사망
사실상 E스킬이 없는 레넥톤이 전방을 향해 E를 두번이나 시전하고
살아남는것은 욕심이다.
적 딜러를 빈사상태, 혹은 회색화면을 보게 한 후 적당한 탱킹을 하다가 죽는것이 역할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E쿨타임이 돌아서 나올수 있다면 이상적.
E다음에 잠깐의 비비기 후 궁을 쓰고 E를 쓰는건,
적 딜러가 왜 안들어오지? 라는 의문을 가지면서도 일단 나를 치러 오기 때문에,
그 순간을 이용하기 위함이다.
플래시가 함께라면 금상첨화.
시작템을 도란 검으로 한 이유는,
입이 닳도록 말했듯이 레넥톤은 초반 일방적 딜교를 통해
이득을 보는 챔프이기 때문에
초반 딜에 힘을 줄 수 있는 도란검을 사준다.
블클
레넥톤 W가 다중공격이기 때문에,
1회 타격당 방어력을 감소시키는 블클은
최적의 아이템이다.
거드라
레넥톤의 폭팔적 데미지에 이바지하는 1등공신.
강화 W와 함께 한방 쎄게 주면 정신 못차리는 상대를 볼 수 있다.
요림의 주먹은 레넥톤에게 옳은 템이다.
스테락
순간적인 보호막과, 공격력 비례증가는
솔깃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한타시에 적진 깊숙하게 들어가야하는 레넥톤 특성상
폭팔적인 딜을 견뎌내기 위해 꼭 필요한 아이템이다.
템을 올리는 순서는 취향따라
나뉜다.
나머지 템은 더이상의 딜템이 없어도, 적 딜러에게 충분한 위협이 되므로
잘큰 적 딜러에 맞춰서 사준다.
마저를 올릴땐 Q피흡과 시너지가 좋은 정령의 형상,
방어력을 올릴땐 뚜벅이들의 구세주 망자의 갑옷
적팀이 올 AD일때 이정도의 템을 추천한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레넥톤이 E로 들어간 타이밍에 오른이 W를 쓴다면 아무고토 못하고 쳐맞는 레넥톤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고인.
라인전 단계는 손싸움이긴 하나, 리븐이 레넥톤 보다는 후반 캐리력이 좋음.
2렙에 상당히 강한친구. 초반 딜이 레넥과 비슷해서 이후에 갱을 불러서 따야한다.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원거리 탑라이너는 레넥톤의 카운터.
티모빼고 ㅎ
잭스가 먼저 EQ로 들어온다면
E로 빠졌다가, 잭스 E가 끝나면 다시 진입 후 딜교.
2~3렙 구간에 딜교를 확실히 하지 못한다면
이후로 고통받을 수 있다.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