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10명

90% (9표)

0% (0표)

10% (1표)
D1) 초보들을 위한 레넥톤 공략

다이아 1 구간에서 레넥톤 자주하는 문선창2 입니다.
이 공략에선 레넥톤의 기본과 라인전에서의 요령들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소환사 주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60 (+111) | 2547 | 마나 | 100 (+0.0) | 100 |
공격력 | 69 (+4.15) | 139.6 | 공격 속도 | 0.665 (+2.75%) | 0.976 |
5초당 체력회복 | 7.96 (+0.75) | 20.71 | 5초당 마나회복 | 0 (+0) | 0 |
방어력 | 35 (+5.2) | 123.4 | 마법 저항력 | 28 (+2.05) | 62.85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125.0 | 125.0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레넥톤의 핵심 룬은
입니다.






그 외엔 전부
입니다.

결의의 경우
의 철거 능력을 보고 선택하는 보조 룬입니다. 어느 탑솔러와 어느 정글러를 만나서도 무난한 선택입니다.
를 들기 비교적 수월해집니다.
를 들면 상대 탑솔러가
로 지원을 떠났을때, 빠른 푸쉬와 타워링을 통해 성장을 도모해야 하는데, 빠른 푸쉬력만 가진 레넥톤에게 부족한 철거능력을 메꿔줍니다. 상대 탑미드정글의 조합에 구애받지 않고 무난하게 사용 할 수 있는 보조룬입니다.








현재 대세 룬은
입니다.

다른 하나는
와
를 놓고 선택이 갈립니다.


물론 
의 선택지가 나쁜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의 경우 회복량을 눈에 띄게 체감하기 힘듭니다.
의 미니언 대상 흡혈량이 보잘것 없는데다 쿨타임도 길어 꾸준히 적 챔피언과 함께 미니언 6마리를 쿨타임마다 긁어줘야
의 회복량을 겨우 따라잡을까 말까 합니다. 후반으로 가서 

와 같은 아이템을 갖춘다면 물론 강력합니다만, 저 아이템을 올리는 게임들은 굉장히 한정적입니다. 초반의 체력 관리에 집중하기 위해
을 드는 것을 추천합니다.









상대방이 




















의 챔피언이 나올 경우,
을 들어 줍니다.























상대방이 









의 챔피언이 나올경우
를 들어 줍니다.












지배의 경우 강력한 공격력을 바탕으로 교전능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선택입니다. 상대방이 견제기가 빈약하지만 타워 아래에서 농성하는 능력이 강할경우 고려 할 만한 룬입니다. 아군 정글러가 초반이 강력한 

일 경우, 그리고 상대 탑솔러와 정글러의 조합이 약하여 적 정글러가 탑쪽 정글을 자주 비우고 상대적으로 하체에 더 힘을 줄 경우, 따라서 탑보다는 미드를 압박해야 할 경우 찍으시면 매우 좋습니다.



적 미드가 로밍이 강력한 


일 경우가 대표적인데,
를 터트리기 위해 라인을 압박하다간 로밍에 취약해집니다. 이를 극복하려면 라인을 당기고 슬로우 푸쉬로 상대방을 디나이 하기보단, 역으로 라인푸쉬를 강하게 넣어 상대방을 타워에 몰아넣고
와 
를 적 정글에 박아 적 미드와 정글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우리 바텀에 알리시는게 좋고, 우리팀 미드에 힘을 주어 적 미드가 섣불리 미드를 비우지 못하도록 막거나 가급적 교전 위치를 미드 근처로 가깝게 당기시는게 좋습니다.








이런 플레이를 위해 스펠 역시
보단
로 혹시 모를 적 미드의 바텀 로밍, 카운터 정글링에 대비하시는게 좋습니다.
























상대 탑솔에 따라 보조 룬을 고른다기 보단, 
을 고정으로 드시다 적팀의 조합이 근접딜러가 많을경우
만
로 바꿔 끼워주시는게 좋습니다.




마법의 경우 드는 경우가 굉장히 한정적입니다. 사실 왠만하면 지배나 결의를 찍는 것이 더 좋습니다.
다만 상대방의 조합이 AP가 많을 경우,
의 생존성이 강력하므로 고려해볼만 합니다. 특히 상대방 탑과 정글이 
일 경우엔, 적응형 능력치 3번째 줄을 마방으로 드시고
를 들어서 생존력을 확보하심이 좋습니다.




그 외의 룬은 선택지가 다양합니다.






그 외 


고려하지 않습니다.




영감의 경우 전 찍지 않습니다만 다른 레넥톤 하시는 분들은 찍는 경우가 목격되어 이론상으로만 적습니다.




대개 레넥톤이 영감을 보조 룬으로 채택하는 이유는
와
입니다.







자잘하게 줄어드는 스펠 쿨타임이라던가, 만쿨감시 얻는 베네핏 등 자잘한 점에서 좋습니다. 그러나 레넥톤은 스킬을 대개 한쿨이상 돌리는것이 어려운 챔피언입니다. 그 이후론 전장에서 이탈당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 룬은 좋은것 같습니다. 이른 타이밍에 공짜로
가 나와 다이브, 다인 갱킹등의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적응형 능력치는 공격력 2개 고정입니다. 방어룬은 상대 챔피언에 맞는 방어력 & 마법 저항력 들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신중한
로 게임을 뒤집기보단 엉뚱한
로 게임을 말아먹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특히 다이아 이하 티어의 유저분들은
판단에 어려움을 겪기 쉽습니다.

차라리
를 드는게 좋습니다.











분노의 지배 (Reign of Anger)
레넥톤이 매번 공격할 때마다 분노를 5씩 획득합니다. 분노가 50 이상 쌓이면 스킬에 추가 효과를 부여할 수 있지만 이렇게 사용한 스킬은 분노 50을 소모합니다. 비전투 중일 때는 분노가 매 초마다 4씩 감소합니다.
레넥톤의 체력이 50% 이하일 때는 50%의 분노를 더 획득합니다.
레넥톤의 체력이 50% 이하일 때는 50%의 분노를 더 획득합니다.

양떼 도륙 (Cull the Meek)
분노 소모: 0 (50)
재사용 대기시간: 7초
재사용 대기시간: 7초
레넥톤이 검을 휘둘러 주변의 모든 적에게 60/90/120/150/180 (+1.0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미니언 공격시 2/3/4/5/6 (+0.02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12/20/28/36/44 (0.17 추가AD)의 체력을 50/75/100/125/150 까지 회복합니다.
양떼 도륙은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5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90/135/180/225/270 (+1.4 추가AD) 증가합니다. 치료 효과가 미니언 공격시 6/9/12/15/18 (+0.06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36/54/72/90/108 (+0.45 추가AD)로, 최대 200/300/400/500/600까지 증가합니다. (범위: 450)
미니언 공격시 2/3/4/5/6 (+0.02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12/20/28/36/44 (0.17 추가AD)의 체력을 50/75/100/125/150 까지 회복합니다.
양떼 도륙은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5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90/135/180/225/270 (+1.4 추가AD) 증가합니다. 치료 효과가 미니언 공격시 6/9/12/15/18 (+0.06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36/54/72/90/108 (+0.45 추가AD)로, 최대 200/300/400/500/600까지 증가합니다. (범위: 450)

무자비한 포식자 (Ruthless Predator)
분노 소모: 0 (50)
재사용 대기시간: 16/14/12/10/8초
재사용 대기시간: 16/14/12/10/8초
챔피언 공격 시 분노 10을 얻습니다.
레넥톤의 다음 공격이 두 번 명중하여 적에게 10/40/70/100/130 (+1.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0.7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각 공격은 명중 시 발생 효과가 적용됩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레넥톤이 적의 보호막을 파괴하고, 세 번 공격하여 적에게 15/60/105/150/195 (+2.2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대상을 1.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사정거리: +50)
레넥톤의 다음 공격이 두 번 명중하여 적에게 10/40/70/100/130 (+1.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0.7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각 공격은 명중 시 발생 효과가 적용됩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레넥톤이 적의 보호막을 파괴하고, 세 번 공격하여 적에게 15/60/105/150/195 (+2.2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대상을 1.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사정거리: +50)

자르고 토막내기 (Slice and Dice)
분노 소모: 0 (50)
재사용 대기시간: 16/14.5/13/11.5/10초
재사용 대기시간: 16/14.5/13/11.5/10초
자르기: 레넥톤이 돌격하여 40/70/100/130/160 (+0.9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적을 맞히면 4초 이내에 토막내기를 쓸 수 있습니다.
토막내기: 레넥톤이 돌격하여 30/60/90/120/150 (+0.9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자르기와 토막내기는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토막내기 -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70/115/160/205/250 (+1.35 추가AD)로 증가합니다. 피격당한 적은 4초 동안 방어력이 25/27.5/30/32.5/35% 감소합니다. (사정거리: 550)
토막내기: 레넥톤이 돌격하여 30/60/90/120/150 (+0.9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자르기와 토막내기는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토막내기 -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70/115/160/205/250 (+1.35 추가AD)로 증가합니다. 피격당한 적은 4초 동안 방어력이 25/27.5/30/32.5/35% 감소합니다. (사정거리: 550)

강신 (Dominus)
재사용 대기시간: 120/100/80초
레넥톤이 15초 동안 어둠의 기운으로 자신을 감싸며 300/500/700의 체력과 20의 분노를 얻습니다. 스킬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레넥톤은 근처의 적들에게 30/75/120 (+0.05AP)(+0.05 추가 AD)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초당 5의 분노를 획득합니다.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활용 팁
※ 레넥톤은 모든 스킬이 즉발형 딜스킬 입니다. 스킬 - 점멸같은 테크닉은 활용 할 수 없습니다.
※ 평타를 섞는 콤보가 일반적이나,
처럼 딜교환을 오래 끌면 안되는 챔피언들을 상대로는 역공의 위험이 있어 섞지 않습니다.
의
,
의
처럼 공격속도 감소가 달린 스킬을 맞았을 경우에도 평타를 섞지않고 스킬만 돌려주고 신속히 빠져나오는 것이 좋습니다.





※
는 체력이 절반 이하일떄 분노 수급량을 50% 늘려줍니다. 분노 계산하실떄 이를 인지하신다면 분노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갑작스런 분노콤보가 가능합니다.

※ 1레벨에
를 먼저 찍는 스킬트리가 일반적이나, 


처럼 저레벨 딜교환을 즐겨하면서
로 이를 차단하기 쉬운 챔피언들을 상대론 1레벨에
를 찍습니다.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은 언제나 유동적으로 구매하셔야 합니다.
칠흑의 양날도끼 (★★★★★) - 레넥톤의 주력 데미지인 물리 데미지를 극대화 하기 위해 상대방의 방어력을 깎고, 교전 사거리가 짧은 레넥톤에게 체력을 부여하며, 스킬들의 쿨타임이 극히 긴 레넥톤에게 20%라는 높은 쿨타임 감소를 주고, 상대방의 카이팅을 쫓아가기 위한 이동속도에 적잖은 공격력까지 있습니다. 안 사는게 이상한 최고의 공격 아이템입니다.
티아맷 (★★★★☆) - 레넥톤의 푸쉬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아이템입니다. 레넥톤이 분노와 스킬을 아끼면서 라인을 밀 수 있도록 도와주고, 사용 효과로 콤보의 화력도 증강시켜줍니다.
의 딜레이 캔슬도 가능합니다. 여러모로 좋은 공격 아이템입니다.
는 스플릿 상황에서 라인 유지력을 극대화하고, 높은 공격력을 갖고 있지만 2300골드씩이나 투자하여 얻는 방어 능력치가 전무합니다. 교전거리가 짧은 레넥톤에게 쏟아지는 집중포화는 필연적이므로, 어느정도의 방어 능력치는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는 높은 체력과 강력한 한방이 특징입니다. 콤보 한 번의 데미지를 왠만한 딜러들은 그 자리에서 절명시킬 정도로 파격적으로 끌어올려줍니다.
보다 콤보 데미지가 월등합니다. 콤보는 기존 티아맷과는 좀 다르게 사용 효과를
처럼 딜레이 캔슬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레넥톤에게 어울리는 아이템이라 할 수 있지만, 역시 얻는 능력치가 체력뿐입니다.
와
의 방어적인 면을 따라가기엔 역부족입니다.
스테락의 도전 (★★★★★) - 높은 공격력, 높은 체력, 위급시 발동되는 어마어마한 방어막과 강인함. 레넥톤에게 필수적인 아이템입니다.
수호 천사 (★★★★☆) - 적정량의 공격력과 방어력, 그리고 부활 효과가 메리트인 아이템입니다.
맬모셔스의 아귀 (★★★★☆) - 높은 마법 저항력과 공격력, 그리고 강력한 마법 방어막이 핵심인 아이템입니다. 고유 지속 효과인 생명선이
과 겹치기 때문에 자주 빌드 되는 아이템은 아니지만, 상대방의 딜링이 AP로 극히 치중되어 있을땐 오히려 이쪽을 빌드 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쇼진의 창 (★★☆☆☆) - 나쁜 아이템이란 소리가 아닙니다. 근데 스플릿 상황에서나, 그리고 자신이 매우 성장을 잘해서 어지간한 아이템으로 방어 능력치를 다 갖춰놓고 사용하는게 아닌 이상 구매할 이유가 없습니다.
죽음의 무도 (★★★☆☆) - 매우 높은 공격력, 물리 피해 흡혈과 받은 데미지 지연 피해로 전투 지속력을 끌어 올려주는 공격 아이템입니다.
가고일 돌갑옷 (★★★★☆) - 매우 높은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 현재 체력이 100% 증가하는 강철화로 위급 상황시 탈출 용도로 적합합니다.




- 적 딜러진의 화력 상황에 맞춰 사주시면 좋은 아이템들입니다.
상대 탑솔러가 




처럼 원거리 챔피언일 경우 
전부 생략하고 방어 아이템을 올려주셔야 합니다.








대부분의 원거리 챔피언들은 화력이 출중하고, 또 레넥톤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많이 얻어맞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공격 아이템을 먼저 빌드한다면 몇 번 안되는 딜교환으로 금새 체력상황이 위급해져 라인을 버리거나, 최악의 경우 킬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어 아이템을 올려 라인에서 오래 버티는것을 목표로 하고, 최대한 유지력을 발휘해 상대방의 자원을 소진시켜가며 싸운다는 마음가짐으로 소모전을 펼치셔야 합니다.
반면 상대 탑솔러가 근접 챔피언일 경우, 방어력은 최소화 하시고 공격력을 극대화 하시는게 좋습니다.
레넥톤이 데미지를 넣을 수 있는 상황이면 당연히 방어 아이템보다 공격 아이템의 효율이 더 큽니다. 레넥톤의 데미지 딜링은 일반적인 AD 암살자나 전사 챔피언들을 아득히 초월합니다.
아직 레넥톤을 잡은지 얼마 안되시는 초보분들은 아이템 빌드 요령을 잘 모르실텐데요.
레넥톤이 주로 빌드하는 아이템들을 설명드리자면,

다만 하위 아이템인 
을 들고 있는 동안의 딜로스는 감안하셔야 합니다. 조합비인 950골드는 매우 비싼 가격은 아닙니다만, 결코 적은 골드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
을 구매하셔서 부족한 공격력을 보충하는 빌드도 있습니다.



빌드 할 떄의 요령은, 






상대방이 위협적인 논타게팅 스킬이 있거나, 
이동속도를 특히 신경쓰는 챔피언이거나, 
역공의 위험에서 빠르게 벗어나야 할 경우엔
를 먼저 구매해주시고, 이동속도가 필요한 매치업이 아닌 경우
를 구매할 골드가 있다면 
로 쿨타임 감소를 챙겨주시는게 좋습니다.


















다만 상위 아이템인 
는 후반에 빌드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조합비도 비쌀 뿐더러 돈을 투자한 만큼의 효율이 안나옵니다. 비슷한 골드로 레넥톤의 전투지속력을 훨씬 더 끌어올려주는 
를 구매하시는게 좋습니다.











기본 공격력이 거의 최상위권인 레넥톤에게 추가 공격력에 기본 공격력을 반영하는 이 아이템과의 조화는 뛰어납니다. 또한 레넥톤이 주로 빌드하는 아이템들의 성향상 추가 체력이 높고,
으로 체력을 펌핑 할 수 있어 최대 체력 비례로 생기는 방어막도 매우 높게 잡힙니다. 자체 체력도 450으로 매우 많습니다. 교전거리가 짧아 CC기에 노출되기 쉬운 레넥톤에게 유용한 강인함도 있습니다. 가히 공수양면으로 최고의 아이템입니다.
와 함께 필수적으로 빌드되는 아이템입니다.



공격 아이템을 빌드 하다보면 부족해지는 방어 능력치를 이 아이템이 어느정도 메꿔줍니다.
와 조합되면 방어력이 140~150 정도 맴돕니다. 공격력도 낮지 않게 붙어 있고, 무엇보다 부활이 매력적입니다.

레넥톤은 교전거리가 짧고, 스킬들의 쿨타임이 깁니다. 부활을 활용하기 좋은 조건입니다. 교전거리가 짧아 집중포화를 받았을때 부활로 기사회생 할 수 있고, 스킬 쿨타임을 벌기 좋습니다.


빌드 요령은
에서 곧장 빌드하는 것도 좋지만, 중간에 
을 빌드하셔서 마법 저항력을 갖추시고 난 뒤, 빌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레넥톤의 한타 지속력을 급격히 끌어올려줍니다. 가급적 

정도의 아이템 상황이 나와야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를 사야 한다면
을 포기합니다. 상대방이 그 정도로 딜링이 편중되어 있는 조합이라면 여러모로 마법 저항력 아이템을 하나라도 더 갖추는게 전투 지속력을 끌어올리는 방법이기 때문에, 푸쉬가 약간 불편하더라도 과감히 포기해줍니다.


이 정도의 아이템만 세팅한다면 충분합니다. 그 외의 상황에 따라 고려 될 법한 아이템들을 몇 가지 소개해드리자면,

상대방이 레넥톤을 저지할 만한 CC기, 이동기가 부족하고 딜러진들이 죄다 근접일 경우 이 아이템의 효율이 급격히 상승하여
정도의 빌드를 하셔도 무방합니다만, 문제는 그런 조합이 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5:5 팀 파이트 상황에서 레넥톤이 받을 집중포화를 생각하시면 아시겠지만, 아무리 일반 스킬들의 쿨타임이 급격히 감소한다 해도 살아있지 않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난전 상황에서나, 스플릿 상황에서나, 혹은 위의 설명대로 활약하기 좋은 환경이 아니라면 절대 구입하시면 안됩니다.


레넥톤에게 잘 어울리는 아이템입니다. 80의 공격력은
와 같이 최상위의 공격력입니다. 그럼과 동시에 적정량의 쿨타임 감소도 붙어있고, 물리 피해 흡혈은 스킬들이 전부 즉발형 물리 딜 스킬인 레넥톤에게 정말 잘 어울리는 옵션입니다. 받은 데미지 지연 피해도 탱킹에 큰 도움을 주는 아이템입니다.

지배 룬의
와 같이 조합되면 쓸만한 흡혈량이 나와 스플릿 상황에서의 라인 유지력이나 한타에서 전투 지속력에 큰 도움이 됩니다. 보통은 이 아이템을 올릴 여유가 나오지 않지만, 성장을 매우 잘 했다면 재미로 올려주셔도 무방한 아이템입니다.

어찌되었건 이 역시 극단적인 공격 아이템입니다. 상대방의 고정 피해가 뛰어나거나 지속 딜링이 강하다면 받은 데미지 지연 피해 옵션도 무의미하고, 원거리 카이팅이 뛰어난 조합 상대로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근접 챔피언이 많을 경우 구매하세요.
고려 할 만한 방어 아이템은,

레넥톤의 아이템 빌드는 초반 효율상 체력과 공격력 위주로 짜여지기 마련입니다. 당연히 고정 관통력에 취약하고, 체력 비례 피해에 극도로 취약합니다. 적 딜러진이 체력 비례 피해를 갖추고 화력이 강해지기 시작하는 후반부로 접어들면, 변변한 피해감소 스킬 하나 없는 레넥톤은 맨 몸으로 적 딜러진의 화력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의 압도적인 탱킹 효율로도 핑퐁을 할 시간이 부족해 레넥톤을 위시한 1선이 빠르게 무너지고 적 딜러진의 화력이 우리 딜러진에게 닿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는 아이템입니다.


아이템 빌드상 필연적으로 부족할 수 밖에 없는 레넥톤의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을 채우기에는 이 만한 아이템이 없습니다. 거기에 혹여나 적의 강력한 cc기에 발이 묶여 집중포화를 맞더라도 살아남을 수 있는 강철화도 있습니다. 체력이 붙은 아이템을 많이 가고,
의 추가 체력이 있는 레넥톤과 궁합이 매우 뛰어납니다.
와의 궁합 역시 좋은데,
의 강철화로 받은 체력은 추가 체력으로 취급 되기 때문에
의 쉴드가 매우 두꺼워집니다.




다만 강철화를 사용시, 화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한타상황에서 전선을 유지하는 용도로는 쓸만 하지만, 적 딜러를 직접 척살할 수는 없습니다. 사용 타이밍을 잘 잡으셔야 합니다. 가장 최선의 타이밍은, 스킬을 한 쿨 돌려 적 딜러진에 궤멸적인 타격을 입히고 뒤늦게 쏟아지는 집중포화를 강철화로 견디는 것입니다. 이렇게 사용할 수만 있다면 아군의 백업과 함께 다음 스킬 쿨을 돌리며 마무리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케넨
AD로 나오던 AP로 나오던 힘듭니다.

티모
AD로 나오던 AP로 나오던 힘듭니다.

베인
잘하는 상대 바텀은 언제나 탑솔러의 적입니다.
특히 베인같은 챔피언이 잘 컸을 경우 게임의 승패는 이미 저희의 손을 떠나 하늘과 땅에 달렸습니다.
기도합시다.
특히 베인같은 챔피언이 잘 컸을 경우 게임의 승패는 이미 저희의 손을 떠나 하늘과 땅에 달렸습니다.
기도합시다.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이렐리아
탑에서 나오는 근접 딜러는 과장 조금 보태서 레넥톤을 이길 챔피언은 단 한명도 없습니다.

사이온
탱커의 경우 정복자의 등장으로 상대하기 굉장히 수월해졌습니다.
초반의 거센 압박으로 돈과 성장에서 차이를 벌리다 아이템과 정복자의 강력한 힘으로 탱커들의 갑옷을 우그러뜨리는 그림이 상당히 자주 나옵니다.
다만 초반 압박에서 실수를 하시어 큰 손해로 직결되고 오히려 상황이 반대로 전개되면 그 게임은 돌이킬 수 없어집니다.
초반의 거센 압박으로 돈과 성장에서 차이를 벌리다 아이템과 정복자의 강력한 힘으로 탱커들의 갑옷을 우그러뜨리는 그림이 상당히 자주 나옵니다.
다만 초반 압박에서 실수를 하시어 큰 손해로 직결되고 오히려 상황이 반대로 전개되면 그 게임은 돌이킬 수 없어집니다.

진
접근하기 쉬운 원딜러는 레넥톤의 먹잇감입니다.
작성중입니다.
챔피언별 상대법













윗 사이클을 이해한 가렌은
박을때
를 의식하고
를 미리 켭니다. 신중하게 보시고 평타 때리면서 쫓아가다
꺼질 때쯤
로 들어가서 
돌리고
로 빠집시다.








가렌의
의 쿨타임은 24초로, 매우 길기 때문에 한 번 사용하면 콤보 데미지를 흘릴 수단이 전무하기 때문에 가렌이 섣불리 레넥톤에게 다가갈 수 없습니다. 또한
의 초반 데미지는 매우 약하기 때문에, 가렌의 라인전은 오로지 
의 데미지에 의존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렌은 레넥톤의
견제를 

로 버티면서
로 들어온 레넥톤의 콤보데미지, 특히
를
로 잘 흘리면서 무사히 초반을 넘기고 11레벨을 바라보아야 하고,











레넥톤은
를 수시로
로 꺼트리고,
를 의식하고
를 아껴주며
로 딜 타이밍을 흐리는것을 경계하여
로 진입하는 것을 자제해야 합니다. 초반의 데미지와 유지력 우위를 바탕으로 성장차이를 내며 11레벨 이전에 라인전을 끝내고 가렌보다 우월한 기동성과 화력을 바탕으로 맵 이곳저곳에서 영향력을 발휘하심이 좋습니다.






11레벨 이전에 라인전이 끝났다면 레넥톤이 끝까지 게임을 주도할 수 있고, 그 이후에도 라인전이 질질 끌린다면
의 유지력과
의 화력을 바탕으로 가렌이 오히려 레넥톤을 압박하는 그림이 그려집니다. 다만, 초반의 2:2 교전이 레넥톤이 포합된 쪽이 더 강하기 때문에 가렌이 11레벨을 라인전에서 찍기는 요원한 일입니다. 따라서 그렇게 어려운 상대는 아닙니다.


요약 -
견제로
꺼트리기, 
박으러 오면 후퇴,
쓰기 전까지 절대
사용금지, 
있을 때
진입금지


















까다로운 상대입니다. 1레벨부터 라인을 미시는게 좋습니다. 갱플랭크의
는 마나가 60 드는데, 갱플랭크의 기본 마나는 282입니다. 마젠 고려하면 총 5번 쏘죠. 거기에
를 다합쳐도 첫 귀환전에 아무리 쥐어짜도 마나 다 쓸때까지 15번 좀 안되게 쏩니다. 중간에
를 쓴다면 더더욱 줄어듭니다. 거기에 막타를 위해 사용하는
를 고려하면 실제로 몸으로 받는
는 10번도 안됩니다.






이 점을 공략해야 합니다. 
로 기본적인 유지력을 챙긴 뒤, 1레벨부터
로 라인을 긁으며
의 피해량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라인에
를 쓰게 만들어야 합니다. 갱플랭크까지 한꺼번에 긁을수 있다면 베스트입니다. 다만
때문에 저레벨 평타교환은 손해니 그냥
로 라인만 미는게 좋습니다.







두 번째 라인까지 확실하게 분노
도 라인에 쓰시는게 좋습니다. 어중간하게 밀면 대포 라인이 도착해버려서 타워 앞에 라인이 걸리게 되고, 
견제에 노출되는데
로 들어가면 타워 사정거리 안쪽이라 뭘 할 수도 없는 최악의 상황이 됩니다.




이후 대포라인이 오면 라인을 천천히 밀면서 분노를 쌓읍시다.
를 주변에 깔고 서성인다면
견제를 몸으로 받으면서 라인을
로 푸쉬합니다. 갱플이 푸쉬 주도권을 잡으려고 급하게 두번째
를 쓰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갱플랭크의
는 쿨타임이 18초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2개가 있어야 원거리 견제가 되기때문에 스택을 다 소모한 순간, 실질적으로 쿨타임이 36초 좀 안되는 쓰레기 견제기입니다. 따라서
스택을 소모할 수록 불리해지는건 갱플랭크입니다.
의 쿨타임동안 프리하게 라인을 밀고,
견제는 

로 견디면서 서서히 갱플랭크의 마나를 빼면 결국 집은 갱플랭크가 먼저 가게되고, 거기에
가 첫 집탐에 안나왔다면 갱플랭크는 그 순간부터 라인 주도권 없이 평생 끌려다닙니다.












우리의 목표는 갱플랭크를 죽이는 것이 아닙니다. 애초에 그럴 수도 없습니다. 우리의 진짜 목표는 갱플랭크가 마나를
에 쓰는것. 그리고
스택을 소진시키는것. 오로지 그것뿐입니다.


단, 이 전략이 성공하려면
견제를 최소한으로 맞아야 합니다.
를 피하는 테크닉을 몇 개 알려드리자면, 갱플랭크는
를 평타로 터트리고
를 쏘는 견제가 제일 강력합니다. 이 콤보만 유의하면 됩니다.
를
로 터트리는 견제는 맞을만 합니다. 따라서 갱플랭크가
의 평타 사거리에서 서성인다면 두번째
종심원에만 안들어간다는 생각으로 거리를 조절하시면서 푸쉬하시고, 부쉬플레이로 거리조절에 혼란을 줘서 헛방을 유도하거나, 최소한 갱플랭크가 화약통 근처에서 못 벗어나도록 하시면 좋습니다.








첫 
견제 이후 깔리는 두번째
는
로 깰만합니다. 만약 이
가 깨진다면 갱플랭크의
스택은 하나뿐이라 그럼 막타를
로 먹거나 버리거나, 아니면
를 레넥톤한테 박으면서 체력이라도 까려고 할텐데 셋 다 좋습니다. 기꺼이
근처로 다가가며 심리전을 유도합시다. 적 라인이 많이 안쌓여있다면 그냥
를 갱플랭크 본체에 박고
를 유도한뒤
를
로 회피해도 이득입니다.













이 점을 아는 노련한 갱플랭크들은
로 라인전을 강력하게 가져가는 선택보단,
로 유지력을 끌어올려 레넥톤의 유지력과 발을 맞추려고 합니다. 극단적인 친구들은
를 선템으로 올리기도 하며, 초반에 적당히 손을 섞다 빠른 복귀텔로 
을 들고와 레넥톤의 유지력을 오히려 앞서가기도 합니다.





마치며
부족한 공략입니다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10명

90% (9표)

0% (0표)

10% (1표)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