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5명

60% (3표)

0% (0표)

40% (2표)
상체 메타의 도래, 뽀삐는 어떻게 써야 하는가.
뽀삐는 어떤 챔프인가?

(오른이 내려가고 마오카이가 올라왔네요.)
라인전 강점을 활용하여 상대 탑 라이너의 성장을 억제하고,
타 라인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능동적으로 게임을 풀어나갈 수 있는
메타에 적합한 탱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꾸준히 업데이트 합니다! 댓글 피드백 환영합니다.
2020년 5월 주목 공략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소환사 주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10 (+110) | 2480 | 마나 | 280 (+40.0) | 960 |
공격력 | 60 (+4) | 128 | 공격 속도 | 0.658 (+2.5%) | 0.938 |
5초당 체력회복 | 8 (+0.8) | 21.6 | 5초당 마나회복 | 7 (+0.7) | 18.9 |
방어력 | 35 (+5) | 120 | 마법 저항력 | 32 (+2.05) | 66.85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125.0 | 125.0 |
이전 버전의 룬 특성이 있습니다.
룬 시뮬레이터 파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뽀삐의 룬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
1. 착취의 손아귀
2. 정복자
3. 콩콩이
===============================
먼저
입니다.

착취는 공수밸런스가 훌륭한, 뽀삐에게 잘 맞는 룬입니다.
어떤 룬을 들어야 할지 모를 때 그냥 착취를 드셔도 됩니다.

뽀삐 룬의 핵심은 "초반 유지력의 극대화"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룬을 들든 보조 룬은


결의쪽 또한 이런 맥락에서





초반의 데미지와 유지력을 높이는데 치중합니다.
상대가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짤챔이면 

한방에 콤보를 꽂는 챔프면 

==========================================
+ 9/22 추가 :
불굴의 의지가 버프를 먹고 굉장히 좋아졌습니다.

상대팀에 CC기가 많은데 평타 딜링챔프도 많아서




이외의 룬들은 고정입니다.
=============================
두번째로
입니다.

설명에 앞서, 정복자는 피지컬과 높은 이해도를 필요로 하는 룬입니다.
초반 안정성이 착취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뽀삐에 자신있다 하시는 분이 아니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세체뽀님의 경우 상성이 유리한 브루저들 상대나,
모데카이저 상대로 정복자를 드시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룬은







이렇게 찍으시면 됩니다.
=============================
마지막으로
입니다.

콩콩이 같은 경우 거의 쓰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세체뽀님의 경우 평타 딜교가 막히는
나

(요즘은 잭스상대로도 착취를 드십니다)



참고로
가 상대하기 힘들다면



(활용법은 챔프 상대법 란에)

마법 계열의 하위 룬들은 콩콩이의 짤딜과 시너지를 위해


파편의 경우 다리우스, 잭스, 케일 등 아픈 상대로는 





아니라면 

(
)를 드시면 됩니다.














강철의 외교관 (Iron Ambassador)
재사용 대기시간: 16/12/8초
기본 공격시 방패를 던져 상대에게 20~180의 마법 피해가 추가된 원거리 공격을 가합니다.
방패는 근처에 떨어지게 되며, 방패를 주우면 3초간 최대체력의 11~20%에 해당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방패는 적에게 밟히면 파괴됩니다.
강철의 외교관으로 대상을 처치할 경우, 방패가 뽀삐에게 돌아옵니다. (사정거리: 475)
방패는 근처에 떨어지게 되며, 방패를 주우면 3초간 최대체력의 11~20%에 해당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방패는 적에게 밟히면 파괴됩니다.
강철의 외교관으로 대상을 처치할 경우, 방패가 뽀삐에게 돌아옵니다. (사정거리: 475)

망치 강타 (Hammer Shock)
마나 소모: 35/40/45/50/55
재사용 대기시간: 8/7/6/5/4초
재사용 대기시간: 8/7/6/5/4초
뽀삐가 땅을 힘껏 내리쳐 30/55/80/105/130 (+0.9AD) (+ 대상의 최대 체력의 9%)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를 입히고, 지대 내부의 적을 20/25/30/35/40% 느려지게 만듭니다.
지대는 1초 뒤 폭발하며, 이때 피해량은 최초의 피해량과 동일합니다.
몬스터 대상 최대 피해량 105/160/215/270/325 (+추가 공격력의 100%)
지대는 1초 뒤 폭발하며, 이때 피해량은 최초의 피해량과 동일합니다.
몬스터 대상 최대 피해량 105/160/215/270/325 (+추가 공격력의 100%)

굳건한 태세 (Steadfast Presence)
마나 소모: 50
재사용 대기시간: 20/18/16/14/12초
재사용 대기시간: 20/18/16/14/12초
기본 지속 효과: 뽀삐가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의 12%만큼을 추가로 얻습니다. 뽀삐의 체력이 40%미만일 때는 효과가 두 배로 늘어납니다.
사용 시:뽀삐의 이동 속도가 2초동안 40%증가하며, 주변에서 돌진하는 적을 막고 70/110/150/190/230(+0.7 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가로막힌 적은 2초 동안 이동 스킬을 사용할 수 없으며 이동 속도가 25% 감소합니다.
사용 시:뽀삐의 이동 속도가 2초동안 40%증가하며, 주변에서 돌진하는 적을 막고 70/110/150/190/230(+0.7 AP)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가로막힌 적은 2초 동안 이동 스킬을 사용할 수 없으며 이동 속도가 25% 감소합니다.

용감한 돌진 (Heroic Charge)
마나 소모: 70
재사용 대기시간: 14/13/12/11/10초
재사용 대기시간: 14/13/12/11/10초
뽀삐가 지정된 대상에게 돌진하여 50/70/90/110/130 (+0.5 추가 AD)의 물리 피해를 입히며 앞으로 밀어냅니다.
이때, 상대가 지형에 부딪히면 80/120/160/200/240 (+1.2 추가 AD)의 추가 피해를 입히고 1.6/1.7/1.8/1.9/2.0초간 기절상태로 만듭니다. (사정거리: 475)
이때, 상대가 지형에 부딪히면 80/120/160/200/240 (+1.2 추가 AD)의 추가 피해를 입히고 1.6/1.7/1.8/1.9/2.0초간 기절상태로 만듭니다. (사정거리: 475)

수호자의 심판 (Diplomatic Immunity)
마나 소모: 100
재사용 대기시간: 140/120/100초
재사용 대기시간: 140/120/100초
뽀삐가 4초간 정신을 집중합니다. 이후, 지면에 강력한 일격을 날려 균열을 일으킵니다. 적중한 챔피언은 200/300/400 (+0.9 AD)의 물리 피해를 입고 적 기지쪽으로 날아갑니다. 균열이 길이와 날려버리는 거리는 정신 집중 시간에 비례합니다.
만약 정신 집중 후 사용하지 않으면, 재사용 대기 시간이 15초로 줄어듭니다. (사정거리: 900)
만약 정신 집중 후 사용하지 않으면, 재사용 대기 시간이 15초로 줄어듭니다. (사정거리: 900)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마스터
Q-E-R-W
스킬콤보
[스킬 콤보]
1. 기본 콤보





적의 이동기를 막는 용도로 사용.
2. Q플


딸피인 상대를 반응 못하게 죽이는 방법.
이후
로 막타를 쳐 보호막으로 살아나오는 각이 꽤 나옵니다.

[스킬 활용]

뽀삐의 메인 딜링기라고 볼 수 있는
Q는 적 최대체력 8%라는 괴랄한 퍼뎀을 가지고 있어
탱커든 브루저든 녹여버립니다.
1타와 2타의 피해량이 같으므로
2타까지 꼭 맞춰야 최대한 딜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Q 2타를 확정으로 맞추는 방법은
1.
E(벽꿍) -
Q


2.
Q 이후 빠르게 


2번은 Q플을 응용하여 


이런식으로도 가능합니다.





이속증가 + 돌진기 저지용으로 사용합니다.
1. 한타때 끊어야 하는 주요 돌진기 (ex : 





)가







상대방에게 있다면, w를 이속증가 접근용으로 쓰는것은 위험합니다.
적에게 붙을 이속이 필요한데 이렇게 위협적인 돌진기도 막아야 될 경우,

2. 적 돌진기가 거의 끝나갈 쯤에 사용해도 막아집니다.
그라가스 E플 아시죠?

이동기가 거의 끝나가는 딱 그 타이밍에 써도 막아집니다.



3.
와 같이 적중 시 효과가 있는 돌진기는

코앞에서 쓰는 경우
로도 막을 수 없습니다.

4.
세트의
궁극기는


처음 시전때는 저지불가여서 W를 켜도 못 막지만,
궁이 끝날 쯤에 W를 키면 막아집니다.
(왠지는 잘 모르겠음 저지불가가 끝나는건가)
5. 대부분의 돌진기는 보고 반응하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6. 개꿀팁. 이런 것도 막아져? 하는 것들이 은근 많습니다.
솔방울탄, 쓰레쉬의 랜턴
을 타는 적, 오른의 R
박치기,


그레이브즈의 R
, 헤카림의 E
, 바드의 E
,



바위게의 돌진(!) 등등.
기억나는대로 추가하겠습니다.

E에 관해서 드릴 팁은 세 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1. 뽀삐의 스킬 깡딜은 꽤 세기 때문에, 벽꿍각이 아니더라도
그냥 상대 챔피언에게 깡 E를 쓰고 Q평을 박아도 됩니다.
다만 깡E로 선 진입하면 안되는 챔피언들이 몇 명 있는데,







치고 빠지기 할려다가 오히려 끌려가서 내가 죽고,









치고 빠질때 쳐맞아서 빈사상태가 됩니다.
핵심 스킬이 빠진 경우가 아니면 엥간해선 선빵치지 마세요.
2. 적 챔피언이 E 사거리를 아슬아슬하게 안 줄경우,
미니언에게 E를 타고가서 Q평딜을 꽂는 방법도 있습니다.
E딜을 제외해도 뽀삐의 초반 깡딜은 쎄기 때문이죠.
3. 상대가 갱을 왔을 경우, 이렐리아 처럼 미니언을 타고 드리블하세요.
상대 정글이 내 뒤를 잡았을 때,
일부러 적 라이너를 노리는 척 들어가다가
적 정글이 진입기(자르반의 깃창)나 주요 CC기(엘리스의 고치)
를 썼을 때, 미니언을 타서 피하며 뒤로 빠져나오시면 됩니다.

R은 짧게 누르면 단타 에어본, 차징한 후 누르면 적을 날립니다.
그런데 차징을 너무 짧게하고 써버리면 한두번 휘두르는 모션이
나옴에도 단타로 판정이 되어 적을 날려보내지 않고 에어본만 시킵니다.
그래서 도주하는 상황에, 급하더라도 차징을 어느정도 해야합니다.
이 시간 차이는 연습모드에서 몇 번 해보시면 감이 올거에요.
그리고 팁 하나 드리면, R 차징을 끊어야 되는 상황일때 기다리지 마시고,
귀환을 누르시면 취소되고 쿨타임 돌려받습니다.
시작 아이템
초반 아이템
최종 아이템
빌드는 2가지로 나뉩니다.
1. 죽무 빌드 (팀에 탱커가 충분하고 내가 딜을 넣어야 될 때)











죽무 써보니 굉장히 좋네요.
특히 뽀삐는 2코어로 마방템을 뽑기가 굉장히 애매한 챔피언인데,
마저 30 옵션 덕분에 부담 없이 올리기 좋습니다.
다만 
를 둘다 올리는 것은 탱로스를 유발하므로,


일반적인 경우에서는
만 올리되

세체뽀님은 적 팀에 트런들이 있을 경우


(트런들의
R 때문에 방/마저를 뺏기기 때문)

2. 탱빌드 (팀 내 유일 탱커일 경우)












신발은 
중 택1


*
와
, 무엇을 가야할까?


세체뽀님 피셜
정복자일때는
,

착취일때는
.

하지만 적 팀에 





등이 있다면







정복자라도
의 효율이 좋고,

반대로 착취더라도 상대 챔피언들이 투구의 효율을 볼 수 없는
구성이라면 체력이 더 높은
가 낫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룬과 적 조합을 모두 고려해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초반에 효율이 좋은 템들]
1.

첫귀환때 돈이 맞으면 가시면 좋습니다.
초반 라인전이 훨씬 강력해집니다.
2. 



정복자챔 or 브루저들 


상대로도 좋고,




원딜챔 

상대로도 좋습니다.



평타위주 + 흡혈 있는 상대에게 굿
3. 

치감이 필요한데, 상대가 평타 위주의 챔이 아닐때 (특히 AP일때)
내가 상대보다 잘한다는 확신이 들때
가면 좋습니다.







이정도가 있겠네요.
(아트상대로는 압살한게 아니면
도 굿)

4.

딜/탱/라인클리어/착취 유지 모든 면에서 초반 효율 최고의 템입니다.
집갔을 때 900원이 딱 있다면 도란검 스킵하고 바로 삽니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다리우스
맞딜 불가

럼블
라인전 견제가 아프고 한타도 뽀삐보다 좋음

케넨
럼블과 같은 맥락, 라인전에서 근접하기가 힘듬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잭스
w로 반응만 할줄알면 쉬움. 이하 동일

리븐

사일러스
w도막히고 e도 막힘.
위 챔프들 외에 어려운 챔프들은










(견제가 빡세거나, 붙었을때 짐)
위 챔프들 외에 쉬운 챔프들은





그러나 상성이라는 것은 결국 피지컬 차이로
역전될 수 있고, 상대 챔피언에 대한 이해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너무 맹신하시면 안됩니다.
댓글로 특정 챔피언의 상대법이 궁금하시다면
물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뽀삐는 적 정글이 돌진기에 갱 의존도가 큰 챔피언
EX) 










라면












갱을 회피하기가 매우 쉬워집니다.
적 정글이 저런 챔피언들이라면 초반에 라인전을 강하게 해도
리스크가 적기에, 뽀삐 픽의 이점을 살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은근 상대하기가 힘들었던 정글챔들은






갱 회피가 힘들거나 OR 중후반에 저지하기가 힘들었던 기억이 많네요.
===========================
챔피언별 상대법 (ctrl+f 로 검색)

룬 :
(숙련자만) or 


다리우스는 맞딜로 절대 이길수 없는 상대입니다.
따라서 마법 쪽 계열의 짤짤이 룬들을 이용하여




그랩에 끌렸을때
를 써
를 안쪽으로 맞은 후




좋습니다.
참고로
의 데미지도 3회 타격에 포함되기 때문에

바미가 떴다면 

만으로 난입을 터트리고



도망가시면 됩니다.

룬 :

템트리 :
후 유리하면
, 불리하면 



======================================
모데카이저는 뽀삐와 반대로 초반이 약하고 중후반 강점이 있는데요,
따라서 초반에 강하게 압박을 해 템 차이를 벌려
최대한 주도권을 잡아야 합니다.
세체뽀님의 모데 상대법 영상입니다.
영상에서처럼 1렙부터 강하게 딜교환을 가져가시면 되는데,
적에게 선 2렙을 뺏기지 않도록 라인을 밀면서 딜교환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이후 모데카이저가 템이 좀 떴다면 무리하게 딜교하려 하지 마시고,
라인을 밀어넣은 후 로밍으로 게임을 초중반에 터트리시는게 좋습니다.

템트리 :
이후
or
(
)




상대 미드 정글이 AD이고 내가 탱을 가야겠다면 

AD/AP가 섞여있고 내가 무난히 컸다면 

워낙 뽀삐가 오른 상대로 유리해서 상대 상체가 다 AP인게 아니면
웬만해선 마저는 2~3코어로 갑니다.
======================================
제일 쉬운 매치업이 아닐까 합니다.
옛날 오른 1티어 시절에는 초반에 패놔도 중후반 존재감이 넘사였는데,
지금은 초반에 패놓으면 복구하기까지 오래걸리고
그 시간에 다른 라인을 터트리면 쉽게 이길 수 있습니다.
오른의 E를
로, 오른의 R를 

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오른을 아무것도 못 하게 만들어 버릴 수 있습니다.
다만 다이브 할때는 W
에
가 막힐 수 있으니


주의해서 플레이하시기 바랍니다.

템트리 : 
후 
중 택1. (
필수)





피오라는 상대 파일럿에 따라서 난이도가 극명하게 갈립니다.
심리전 못하는 피오라는 그냥 털 수 있지만,
응수를 잘 쓰는 피오라는 상대하기 정말 까다롭습니다.
특히
벽궁을
응수로 반응한다거나,






응수 스턴을 맞는 순간 딜교를 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각 보인다고 무조건 스킬을 박지 마시고,
간을 보시면서 상대가 방심한 타이밍에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반 운영법
지금 1티어챔들 상대로 반반가면 답없습니다.
뽀삐의 초반강점을 살려 라인전을 이기고
템차로 찍어눌러야 됩니다
팀파이트시 역할
w와 cc기로 원딜 지키기 or 이니시 열기.
상황봐서 팀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시면 됩니다.
마치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랭크 건승을 기원하며,
도움이 되셨다면 엑셀 부탁드립니다!
큰 힘이됩니다.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5명

60% (3표)

0% (0표)

40% (2표)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