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456명

94.1% (429표)

1.8% (8표)

4.2% (19표)
[I will be back..] 쿼드라 킬, 펜타 킬? 내가 바로 그 주인공.. (2012.11.24)
작년 11월말에서 12월초쯤 이 공략을 썼던 것 같은데요.
시간이 얼마 안 지난 것 같은데
어느새 시즌3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시즌3에서는 수많은 아이템이 나오고 마스터리의 변화 등 엄청난 변화가 생기는데요.
이에 대해 충분한 연구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아직 시즌3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기존 코어템의 하향 및 새로운 아이템의 등장이 있기에
이제 더 이상 제 공략을 보고 공부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ㅋㅋ
시즌3가 나오면 기존 템트리, 강인함이 붙은 공속신규템 실험, 기타 신규템 실험, 인챈트 실험, 러난의 허리케인 실험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 주관적인 느낌을 적어드리고자 합니다.
따라서 이제 리플레이도 당분간은 보내드리지 않겠습니다.
시즌3때 다시 찾아뵙기를 고대하며 시즌3때 뵙겠습니다!
지금까지 제 공략을 읽어주시고, 관심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소환사 주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25 (+106) | 2427 | 마나 | 325 (+40.0) | 1005 |
공격력 | 68 (+4) | 136 | 공격 속도 | 0.625 (+2.9%) | 0.933 |
5초당 체력회복 | 6.68 (+0.7) | 18.58 | 5초당 마나회복 | 8 (+0.7) | 19.9 |
방어력 | 33 (+4.6) | 111.2 | 마법 저항력 | 32 (+2.05) | 66.85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425.0 | 425.0 |
- 공격력 +0.95x9
- 방어 +1x9
- 레벨당 마법 저항력 +0.167x9
- 공격력 +2.25x3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공격력+15.3
- 방어+9
- 마법 저항력+27.054
총 가격 : 5,217 IP
초반 ad 딜러와의 싸움을 위해 방어를 올렸고,
그레이브 특성상 마뎀은 초반에 맞을 일이 없기에 성장 마방을 꼈습니다.
후반에 패시브로 인해 30씩 추가로 올라가고 피통도 제법 많기 때문에 원딜중에 가장 탱키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고 탱커라는 뜻은 아닙니다..;)
대세는 이제 풀ad룬입니다.
cs를 정말 안정적으로 먹을 수 있기에 추천합니다!
- OFFENCE
- 0
- DEFENCE
- 0
- UTILITY
- 0
말이 많이 나오는 것 같아서 수정을 해 봤고
저도 요즘 사용하고 있는 마스터리를 올려드릴게요
정화or회복을 드셨다면 방어쪽에서 마방 빼고 정화 강화 주세요. 혹은 마방1이나 미니언 공격 감소나 이런거..
오펜스는 탈진, 점화를 드셨다면 소환사의 진노를 찍어주세요. 특히 점화는 좋습니다.
방어쪽은 괜찮다 나는 좀 더 스킬을 난사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유틸로 8~9 찍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정신확장, 명상)
어디까지나 취향이니 취향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점멸을 기본으로 하시고
cc는 잘해야 1~2명이고, 안전하게 크고 딜을 하고 싶을 때는 회복을 들어주세요.
탈진
/ 점화
/ 정화
/ 회복
중에서 하나 택해서 들어주세요.




탈진는 적 딜탱이 매우 부담되어 부득이하게 한타에서 1:1을 하게 될 것 같을때 수비적으로 써주는 스팰이고요.
점화는 봇에서 강한 라인전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정화는 적이 애쉬나 다수의 장판궁, 단일 스턴이 있을 경우에 들어주세요.
힐이 또 너프 됐습니다. 후반 힐량은 비슷한 것 같은데 초반 힐량이 너무 치명적으로 줄어서 정화를 추천합니다.
힐이 필요하다면 서포터에게 부탁하거나 필요없다면 탈진을 들으라고 해주시면 됩니다.
점화를 들었다면 후반에 컨트롤에 매우 신경을 쓰셔야하므로 자신이 없으시면 정화를 끼고 쓰는 연습을 해보세요!
추천 : 공격적 - 점화
, 수비적 - 정화












새로운 운명 (New Destiny)
그레이브즈의 기본 공격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 탄환 두 발을 발사하면 재장전해야 합니다. 공격 속도가 재장전 시간은 약간 줄이지만, 공격 후 다음 공격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폭 감소시킵니다.
- 공격 시 4개의 탄환을 발사합니다. 대상에 적중한 첫 번째 탄환은 70~100%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이후의 탄환은 각각 23.3~33.3%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치명타 공격 시 일반 치명타 효과 대신 6발의 탄환을 발사하고 30%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구조물의 경우 피해량이 25% 감소합니다.
- 탄환은 적중한 첫 번째 유닛을 관통할 수 없습니다. 챔피언이 아닌 유닛이 탄환을 여러 개 맞으면 뒤로 밀려납니다.
- 탄환 두 발을 발사하면 재장전해야 합니다. 공격 속도가 재장전 시간은 약간 줄이지만, 공격 후 다음 공격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폭 감소시킵니다.
- 공격 시 4개의 탄환을 발사합니다. 대상에 적중한 첫 번째 탄환은 70~100%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이후의 탄환은 각각 23.3~33.3%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치명타 공격 시 일반 치명타 효과 대신 6발의 탄환을 발사하고 30%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구조물의 경우 피해량이 25% 감소합니다.
- 탄환은 적중한 첫 번째 유닛을 관통할 수 없습니다. 챔피언이 아닌 유닛이 탄환을 여러 개 맞으면 뒤로 밀려납니다.

화약 역류 (End of the Line)
마나 소모: 80
재사용 대기시간: 13/11.25/9.5/7.75/6초
재사용 대기시간: 13/11.25/9.5/7.75/6초
화약을 흩뿌리는 탄환을 발사하여 직선상의 적에게 45/65/85/105/125 (+0.8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화약 궤적은 2초 후 혹은 지형 충돌 시 폭발하며 근처의 모든 적에게 85/120/155/190/225(+0.4/0.65/0.9/1.15/1.4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화약 궤적은 2초 후 혹은 지형 충돌 시 폭발하며 근처의 모든 적에게 85/120/155/190/225(+0.4/0.65/0.9/1.15/1.4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연막탄 (Smokescreen)
마나 소모: 70/75/80/85/90
재사용 대기시간: 20/19/18/17/16초
재사용 대기시간: 20/19/18/17/16초
60/110/160/210/260 (+0.6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해당 위치에 4초 동안 지속되는 연기 구름을 만들어냅니다. 구름 속의 적들은 이동속도가15/20/25/30/35% 감소하고 시아 범위가 좁아집니다. (사정거리: 950, 범위: 250-300)

빨리 뽑기 (Quickdraw)
마나 소모: 40
재사용 대기시간: 16/15/14/13/12초
재사용 대기시간: 16/15/14/13/12초
한 방향으로 돌진하며 총탄을 하나 장전합니다. 4초 동안 그레이브즈가 진정한 용기 효과를 얻습니다. 적 챔피언을 향해 돌진하면 중첩이 2회 쌓입니다.
기본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빨리 뽑기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0.5초씩 감소하고, 미니언이 아닌 대상을 맞힐 때마다 진정한 용기 지속 시간이 초기화됩니다.
진정한 용기가 활성화되면 방어력이 4/7/10/13/16 증가합니다.(8회까지 중첩됩니다.) (사정거리: 425)
기본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빨리 뽑기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0.5초씩 감소하고, 미니언이 아닌 대상을 맞힐 때마다 진정한 용기 지속 시간이 초기화됩니다.
진정한 용기가 활성화되면 방어력이 4/7/10/13/16 증가합니다.(8회까지 중첩됩니다.) (사정거리: 425)

무고한 희생자 (Collateral Damage)
마나 소모: 100
재사용 대기시간: 100/80/60초
재사용 대기시간: 100/80/60초
그레이브즈가 뒤로 밀려나게 할 만큼 강력한 폭발성 탄환을 발사합니다. 이 탄환은 첫 번째로 맞은 챔피언에게 275/425/575 (+1.5 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탄환은 챔피언을 맞히거나 사거리 끝까지 날아간 다음 폭발하여 원뿔 형태의 범위에 200/320/440 (+1.2 AD)의 물리 피해를 줍니다. (사정거리: 1000, 범위: 800)
탄환은 챔피언을 맞히거나 사거리 끝까지 날아간 다음 폭발하여 원뿔 형태의 범위에 200/320/440 (+1.2 AD)의 물리 피해를 줍니다. (사정거리: 1000, 범위: 800)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여기서 그레이브를 처음 하시는 분들이 (좀 몇판 해 본 분들도 ;ㅅ;) 안 쓰는 스킬이
W 입니다.
이거 전투시에 꼭 하나 던져주세요.
저 속에 들어가보셨으면 알겠지만 정말 답 없습니다. 적은 날 때리는데 난 저 놈이 보이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도망갈때도 딱 자신이 있던 자리에서 약간 앞에 w를 쓰고 뒤로 e 쓰고 빠지면 초반갱은 죽어도 안 당하고
라인전이 혹시 밀려서 쫓기는 상황이어도 생존률을 훨씬 높여줍니다.
*
(생략가능, 되도록 쓰지 말자) - 평타 -
- 평타 -
- 평타



이것이 초반 기본 콤보가 되겠습니다.
이 콤보를 맞은 피 적은 베인님 같은 경우는 반피 이상 빼 놓을 수 있습니다.
초반에는 이속도 느리고 하니 평타 한 대와 q 를 한 발이라도 맞추면 딜교환 승리입니다.
적군이 좀 저돌적이면 q를 가까이에서 쏴서 3발을 다 맞춰줘서 역관광 해줍시다.
빨리뽑기를 라인전에서 정말 되도록이면 쓰지 마세요. 요즘은 정글러의 갱킹이 워낙 활발해서 잘못쓰면 플래쉬 쓰고도 죽는 경우가 생기므로 확실한 경우가 아니면 빨리 뽑기 쓰지마세요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핵심 아이템이 저렇게 된 이유
요즘은 피바라기를 가는 템트리가 좀 더 정형화된 편이기에 둘 중에 하나가 나오고 그 다음에 유령무희가 나온 그 시점을 핵심 아이템이 나왔다고 적고 싶습니다.
시간이 없어서 긴 글을 못 읽는 분들을 위해 붉은 글씨의 요약글도 준비했습니다.
효율성과 추격과 갱으로부터의 생존을 위해 신발3포를 선템으로 시작합니다.
어쨌든 cs도 잘 챙기고 잘 죽지 않는 그레이브이지만 그래도 말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도란이 너프가 됐습니다.
도란을 여러개 가면 갈수록 이제 심각하게 안 좋아질 것으로 판단이 되어 저는 도란한개와 흡낫하나로 대체를 했습니다. 첫귀환때 돈이 1650원이 넘는다면 조금 위험할 수 있더라도 빠르게 bf를 올리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단, 적군에게서 킬을 땄거나 집에 보내고 빠른 용, 압도적인 cs 이러한 상황일때 선bf가 가능합니다)
(혹은 서포터가 소라카라면 상관없습니다.)
물약을 몇 개 사서 부족한 흡혈이나 힐을 대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네 무튼.. 초반에 라인이 생각지 못하게 엄청나게 푸쉬됐을 경우에 쭉 푸쉬를 해버리고 집에 가서 도란을 늘리거나 해서 딜교환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도 좋습니다.
한 번 쫙 밀고 다시 오면 라인이 당겨지는 라인이 형성되고 갱을 온 정글러도 허탈하게 돌아가게 할 수 있습니다.
요약 : 신발3포로 시작하고 흥했다고 생각되면 bf를 올리고 아니면 도란과 흡낫 구입 혹은 신발 업글, 라인을 밀었으면 집을 가자.
도란 너프로 2개의 효율이 더 떨어졌습니다. 가도 되긴 한데 그냥 도란1개 흡낫1개로 버티고 바로 bf트리를 타주세요.
단, 도란 2개를 빨리 올리는 예외적인 경우가 있는데, 우리 서폿이 알리나 블리츠 같은거여서 2렙때 빠른 퍼블을 따내서 돈이 약 1000원정도에 빠른 귀환을 했을시에 도란 2개를 빨리 올려서 디나이가 가능합니다.
네 무튼.. 무한의 대검과 유령무희가 나올 떄쯤부터 해서 그레이브는 심하게 강해집니다 (물론 그 전에도 강합니다만..)
한타싸움에서 최대한 .. 정말 최대한 늦게 모습을 보이고 뒤에서 공격하시는건 원딜의 기본이시고요.
가끔 e 쓰고 달려들어가서 먼저 죽고 시작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ㄷㄷ
e는 추격때는 쭉 길게 쓰시고 한타때는 제자리나 혹은 뒤쪽으로 e를 시전하여서 빠른 공속을 계속 유지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후의 속삭임이 나오는 순간.. 좀 더 깝치셔도 됩니다. (이 때쯤부터 도핑 물약을 슬슬 먹어주면 좋습니다.)
적 딜러들을 순식간에 녹인 후 탱크까지 녹이게 해주는 템입니다. 저거 딱 맞추는 순간 펜타킬도 해봤고 쿼드라도 제법 해봤습니다.
경험에서 나오는 무빙샷의 중요성. 딱 라위(최후의 속삭임)까지 나오고 흡낫은 들고 있는 상태에서 (본인은 대략 반피) 돈 번 양이 비슷한 상대 쉬바나와 1:1을 이겼습니다. 상대 쉬바나는 절대 호구가 아니었고요. 무덤은 그게 됩니다. e라는 스킬이 있거든요. 공속과 생존력을 동시에 올려줍니다! 자신을 믿고 싸우세요.
요약 : 무한대검(혹은 피바라기) 유령무희 최후속삭임이 나온 시점에서는 매우 강력하니 딜탱이 붙어도 자신을 믿고 딜을 하자. 쫄지 말자. 단, 무빙샷은 필수다.
음 갑자기 얘기가 다른데로 갔는데
아무튼 적 조합이 방어가 별로 위협적이지 않다고 느끼시면 그부터 약간 더 비싸긴 하지만 더 좋은 효율을 뽑을 수 있는 피바라기를 추천합니다. (최후의 속삭임은 약간 미룹시다.)
예를 들어 적 조합이 탑-케넨, 미드-라이즈,스웨인이 아닌 다른 ap누커, 정글러-피들, 봇- 원래 방어 약함
네 이런 조합이라 치면 즉, 몸을 댈 수 있는 캐릭이 없는 조합이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ㅋ) 최후의 속삭임보다 피바라기가 더 아프게 들어가겠죠? (물론 이럴 경우에는 음전자의 망토를 꼭 빠르게 올려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마지막템이 그때그때 다른데 베이가 같은 괴랄한 스턴이 있거나 스카너, 워윅같은 제압궁이 존재할시에 수은 장식띠도 추천합니다.
수은 장식띠를 가실거면 조금 빨리 올리시면 좋을 것입니다. 궁 맞음과 동시 빨리 풀어주고 한타하실 준비를 하세요!
수은 장식띠를 활용한 개인기도 가능합니다. 워윅이나 스카너가 플래쉬궁을 쓰거나 (혹은 그냥 쓰거나) 바로 풀어주고 e로 빠져서 녹이고 시작합시다. 팀원들도 옆에 있을거니 가능할겁니다.
다른 방템으로 벤시를 가는 것도 봤는데 그러나 벤시는 비추천입니다.
왜냐하면 그레이브가 싸울 때 처음부터 두둥하고 나타나서 처 맞고 죽을 일은 없다고 봅니다.
설령 맞는다해도 벤시 하나 때문에 죽을 것이 막 살고 이러진 않을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벤시보단 수호천사를 추천합니다. 비등한 상황에서 죽었다면 다시 살아서 그 한타를 승리로 가져할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후반에 돈이 남는다면 수호천사 팔고 사용후 팔고 재구입 이것을 반복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수호천사 팔고 재구입 꼼수가 안 되는 걸로 패치가 됐네요..)
하지만 가격면에서도 그렇고 효율성도 그렇고 퀵실버가 좀 더 좋아보이긴 합니다.
난 저런거 없어도 충분히 딜 넣을 수 있다! 이런 분들은 공템을 하나 더 가주시면 되겠습니다.(그렇지만 매우 비추합니다.)
요즘 대회 보니까 bf상위템 다음템으로 수은 장식띠를 올린 것도 봤습니다. 템 올리는 순서는 정해진 것이 아닙니다. 유동적으로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요약 : 후반 방템으로 그냥 수은 장식띠 추천, cc가 강력하면 최대한 빨리 가주면 좋다.
* 템트리는 언제든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데, 질문도 많고 해서 아예 다 적어드리겠습니다.
일반적인건 제가 적은 것이고요.
라인전이 망했거나 흡혈로 장시간 딜을 하고 싶을때, 스킬 딜을 더 강하게 하고 싶을때.

















(저도 요즘 선호하는 템트리는 선 피바라기입니다. 무한의 대검보다 훨씬 싸서 템이 빨리 나옵니다.)
일반적인 템트리를 탔는데 적 누커가 잘 컸거나 cc가 강력할때










적군의 돌진기도 많고 정화, 수은 장식띠로 해결이 안 된다.









후반 들어서
는
로 교체가 가능하고, 수호천사가 쿨일 경우는 팔고 수은장식띠는 가고 쿨 차면 다시 사주는 식으로 반복해줍시다.


* 수은 장식띠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
적에 


가 있는 경우.
가 엄청난 성장을 했을 경우(성장을 못했어도 궁 맞고 다른 사람에 의해 죽어도 노예가 되니 주의하자)





정화를 안 들었는데, 적에 장시간 스턴,속박 등이 있을때. 예를 들어 





내가 잘 컸는지 자가 진단
버서커신발, 도란의 검 1개, 흡혈 낫1개가 있는 상태에서
20분~21분에 무한의 대검이 나오는 것이 가장 노말한 상태입니다. (피바라기는 15~16분쯤..)
1분이라도 빨리 뽑았다면 좋은겁니다.
그 후 유령무희가 나오는데 적절한 시간은 28~30분입니다.
20분쯤에 무한의 대검이 잘 나왔는데 저 시간동안 아직도 유령무희가 완성이 안 됐거나, 30분 겨우 넘어서 사거나 했다면 한타때 잘못된 위치선정으로 빨리 죽었거나 파밍을 게을리 했거나가 되겠습니다.
참고하세요!
봇에서 좀 흥하셨다 하면 와드를 마니 사서 박아두고 절대로 죽지 않도록 합시다.
물약 도핑은 유령무희까지 나왔을 때부터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해보입니다. 경험상.
(공속, 크리 물약만.)

좀 더 후반으로 가게 되서 돈이 남을 경우 풀도핑은 필수.
* ad 레인지의 생명은 킬 X, cs 입니다. 킬 좀 딸려도 됩니다. cs만 잘 챙기십시오. 그러면 적어도 아이템은 더 잘 나옵니다. 이것을 다시 말하면 절대로 죽지 마십시오. 안 죽는 것이 가장 기본입니다.
그러긴 위해선 라인관리가 필수인데요. 무덤스형님 특성상 q를 쓰면 쓸수록 라인을 미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저 같은 경우는 q는 좀 아껴서 쓰는 편인데요.(심지어는 너프로 q의 마나소비량이 좀 엿이 됐죠) 피교환을 하다보니 적 레인지가 피가 없어서 디나이용 혹은 킬용으로 e-q를 사용합니다. 미니언은 최대한 안 맞게 해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무리 피통, 방어가 좋고 생존기가 있는 무덤이지만 갱이 오면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 그렇다면 라인 유지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라인유지법은 간단합니다.
자신의 공격력이 bf가 나와서 140이 나온다고 해도 미니언 피가 135 이럴때 때리지 말고 그냥 처음에 도란 하나 들었다는 마음가짐으로 피50~60남았을때까지 기다렸다가 cs를 드십시오. 그리고 너무 밀려서 타워까지 밀릴 것 같으면 미니언을 계속 때립시다. (상황봐서 q를 써도 무방합니다.) 그래도 타워까지 오려고 하면 s를 누르고 미니언에게 맞아줍시다. 괜찮습니다. 그정도 맞았다고 뒤지진 않습니다. 그리고 우리 서포터가 힐을 줄겁니다. 되도록 타워까지 안 끌고 가되 그 앞에서만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세요.
(참고로 이것은 래퍼드님의 라인 유지법 글을 좀 응용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단, 적 정글러를 고려해보고 와딩 유무에 따라 라인을 일부러 막 미는 것이 좋을 때도 있습니다. 와딩이 매우 잘 되어있고, 적 정글러는 초반 갱이 약한 워윅같은 캐릭이라든지. 혹은 실력이 부족해서 갱을 안 온다든지. 지금은 갱을 절대 올 타이밍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정글러가 사망, 귀환, 와드 시야에 탑에 보였다든지..) 그러면 미친듯이 미세요! 밀면 밀수록 적 ad는 cs를 먹는데 상당히 버거워할 것입니다. 그러면서 죽지 않고 압박 플레이를 잘 할 수 있다면 말이죠. 라인을 미시면 cs는 무조건 적보다 높아야합니다. 라인을 미는데 cs를 잘 못 챙겨서 오히려 더 낮은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면 미는 의미가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집 갈때는 무조건 밀고 가세요. 갱 와서 완전 피가 걸레된 상태가 아니라면 말이죠.
요약 : 맵리딩을 하자, cs를 잘 챙기자, 죽지 말자
* 일반적인 봇 싸움법
궁을 찍은 직후 혹은 그 전에 피교환을 하다가 어느 한 쪽이 유리하다고 판단되어 싸울 수가 있습니다. 싸움을 걸었든 저쪽이 걸어왔든 될 수 있으면 적 ad 딜러를 때리세요. 예를 들어 블리츠가 적 서포터인 소나를 끌고 왔다고 가정합시다. 끌려오면 당연히 적ad는 소나를 구하기 위해 올 것입니다. 그러면 그때부터 타겟은 자동 적 ad입니다.(서폿이 개피라든지, 스팰이 없는 상황이라면 당연히 먼저 잡습니다만, 무리해서 잡을 필요없다는 말입니다.) 괜히 서폿 잡겠다고 치다가 탈진 걸리고 이래서 겨우 잡고 보니 나와 내 서포터의 피통은 120~130이더라. 근데 적 ad는 피가 400~500되더라. 더블킬 주는겁니다. 둘 다 못 잡는 한이 있어도 적 ad 딜러부터 때리세요. 기본입니다.
(아 물론 서포터를 순삭이 가능한 상황이 분명 있습니다. 그 정도 상황은 직접 본인께서 파악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주요 ad 캐리와의 싸움법
우선 누가 됐든 상관없이 상대 서포터의 cc기나 힐을 생각하시면서 싸우시길 바랍니다. 예를 들어 적 ad 딸피라서 잡아보려고 다이브했는데 소라카가 힐해서 살려주고 난 탈진 걸려서 죽고.. 안 됩니다.

요약 : 궁 맞지 말자, 정화를 들자

요약 : 저렙때 사거리 짧을때 못 크게 막되, 라인전이 비슷하게 갔다고 하면 걱정 ㄴㄴ

요약 : 6렙이후 맞다이는 피하자

요약 : 손에 불 들어오면 튀자

요약 : 그냥 무조건 조져라, 단 내가 벽에 있거나 적 서폿이 알리,블츠라면 한 번 생각 해보고 견제하자

요약 : cs만 잘 챙겼으면 승자

요약 : q 맞지 말자

요약 : 얘도 못 크게 막되 w 켰을때는 피하자

요약 : 꽁승 ㅊㅋ

요약 : 현란한 스탭으로 e 를 피하자

템이 어느정도 나왔으면 e로 진입해서 스팰쉴드를 쓰게 하고 좌우로 무빙샷을 해주면서 q를 맞는다 해도 한대만 맞고 스팰쉴드가 끝날때 q를 먹여주는 식으로 하면 상당히 힘들어할겁니다. 그런식으로 하세요!
요약 : 역시 q 맞지 말고, 내꺼 q는 꼭 맞추자

요약 : q 장전 시작하면 잠시 파밍 중단하고 피할 준비하시고, 궁 절대 맞지 마세요


요약 : 무빙샷이 필수이며, 도끼를 줍는 자리가 보이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한 역견제가 가능하다.

요약 : 게릴라 방식으로 딜교환을 앞서고, 궁 키면 빼고, 안 보이면 내 옆에 나타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항상 하자.
* 서포터에 대한 이해
일반적 EU 스타일이라면 당연히 서포터와 함께 봇을 가며 그 서포터를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새롭게 추가되는 글입니다.(대충 가나다 순으로 적을 것이며 빠진게 있으면 댓글에..ㅎ)









이상 가장 많이 하는 서폿이었고요. 비주류 그리고 최근에 새롭게 등장한 서폿입니다.







* 한타에서 나의 역할
중후반에서 한타를 승리하는 방법은 내가 얼마나 오래 살아서 딜을 하느냐가 되겠습니다. 위치를 먼저 알려주고 둘러쌓인다든지, 갑자기 스카너가 플래쉬 궁으로 끌고 간다든지 이런 상황이 연출되어 먼저 잡히면 당연히 지고요.
이러한 특수한 상황말고 일반적인 상황을 예로 들겠습니다.
무덤은 사거리 525로 짧습니다. 적 딜탱 혹은 탱커가 자신을 방해 혹은 죽이러 올 것입니다. 몇 대 때려주다가 e로 쑥 뒤로 빠져서 싸워줍니다. 그렇습니다. 나의 역할은 그냥 맨 뒤에서 내 사거리에 들어온 챔프를 때린다입니다. 그것이 만약에 적 ad 딜러나 ap 누커다!! 그러면 당연히 그 챔프를 먼저 죽이면 되고요~ (근데 되도록 누커는 피하세요. 누커의 스킬이 빠졌다면 ok.. 순삭 ㄱㄱ)
그런데 적 딜러들도 생각이 있겠죠? 가까이 안 올겁니다. 그러면 굳이 때리러 가지말고 우리팀 믿고 내 사거리 내의 적을 때려줍니다. 만약에 우리팀 전부가 그 탱크를 치고 있다면 그건 팀이 문제입니다. 그 탱크를 죽일 동안 적 딜러들에게 다 찢겨나가고 있겠죠.
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무리하지 마세요! 그러면 이길 수 있습니다.
단, 적 탱커가 딜이 거의 무시해도 될 정도의 탱커라면 그 탱커는 무시하고 다른 챔프를 때리든지 혹은 잠시 뒤로 빠졌다가 다시 참여하세요. 적군의 템을 수시로 확인하는 습관을 가집시다.
란두인, 가시갑옷, 얼어붙은 심장, 워모그, 닌자신발을 끼고 있는 탱커를 때리면 뭐 죽겠습니까? 대신 그 사람은 딜 할 것이 전혀 없으므로 무시하셔도 무방합니다. 저런 템을 낀 탱커가 깎은 피는 흡혈로 커버가 됩니다.
최대한 무시해야될 탱커들을 나열해보면 









(궁쓴알리)
(고래까와식 노틸 제외) 정도가 될 것 같은데












그렇다고 cc를 맞으란 소리는 아니고요.. 도발, 슬로우, 던지기, 스턴, 끌어오기, 에어본 등등 각각 치명적인 cc기를 가지고 있는 애들인데 그것만 잘 피하시면 됩니다. 위에 탱커들이 사용하는 스킬들이 빠졌다고 생각되면(즉, 무빙으로 잘 피했으면) 과감히 무시하고 날 때리든 말든 다른 챔프를 때리러가도 좋습니다. 빨리 잡을 수 있다면 빨리 잡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2,3마리씩 날 물고 늘어지려고 하는 것이 보이면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w를 깐 뒤 e로 쭉 빠져서 무빙샷을 해줍니다. 그래도 미친듯이 달라붙으면 플래쉬를 쓰고 도망을 가는 것이 아니라 다시 딜을 하는 것입니다. 물론 우리팀이 다 죽었다면 도망가겠지만 그냥 일반적인 상황에서 말이죠. 그러한 과정에서 적원딜이나 누커도 무리해서 들어올 경우가 있는데 가능하다면 순삭 시켜주는 것도 좋습니다. 이것은 꼭 그레이브즈가 아닌 원딜에 대한 경험이 많으셔야합니다. 많이 하시다보면 됩니다!
혹시 그래도 딜 넣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고 부담이 된다면, 팀원에게 말해서 딜탱부터 잡고 들어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특히 









와 같이 순간 폭딜이 무시무시하거나 DPS가 심각하게 뛰어나거나 템이 어느정도 나오기 전에는 녹이기 쉬운 이런 챔프라면 제거 1순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이 챔프들의 공통점을 잘 보면 나한테 달라붙기가 매우 쉽다는 점입니다. 빨리 죽여야겠죠??











ap형태인데 심각하게 강하면서 튼튼한 챔프들 


정도가 있겠네요. 저는 이런류의 챔프를 ap 딜러라고 부릅니다. 똑같이 풀템이면 지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반드시 팀원에게 혹은 서폿에게 도와달라고 부탁하세요. 탈진 하나만 걸어도 엄청나게 편안한 에이스침대급 한타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갑자기 ap
가 떠오르긴 합니다만... 이게 흥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패스...


위의 방법으로도 잘 되지 않을 때, 한타 참여를 몰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팀이 용앞 블루 지역에서 대기를 타고 있다면 저는 몰래 미드부쉬에서 대기를 탑니다.
4 대 5를 시작하라고 하고 스킬이 빠지는 것을 잘 구경해줍니다. 그러다보면 우리팀 피 없는 사람이 제법 생길겁니다. 지금 가시면 됩니다! 그게 왜 타이밍이냐면 심리상 딸피를 잡고나서 원딜을 잡으려고 하는 심리도 작용을 하고요. 혹은 그것에 집중한 나머지 원딜을 보지 못합니다. 스킬도 웬만큼 다 빠진 상태라서 잡으러 와도 쉽게 잡히지 않을겁니다.
단, 이렇게 뒤로 치고 들어갔을 때는 반드시 원딜, 누커부터 죽이세요.
요약 : 무리하지 말고 맨 뒤에서 죽지 말고 꾸준히 딜 넣자. 상당히 버거운 상대있다면 팀원에게 말해서 그 챔프부터 끊어나가는 것도 좋다. 그래도 딜 넣는게 힘들다면 바로 위에 있는 팁 활용!
* (요청에 의해) 빨리 뽑기로 가능한 벽 넘기를 몇 가지 보여드리겠습니다.이외에도 진영이 똑같이 생긴 반대쪽 지형은 역시 넘을 수 있고요. 보라팀 블루 지역은 정확히 저 자리에 서야됩니다. 각각 반대 방향도 되지만, 지형에 따라 반대로 가는 것은 약간 힘들 수도 있습니다.
엑박이 안 뜨길 바라면서 다시 올려봤습니다. 부디 아무 일 없기를 바랍니다 ㅠㅠ
죄송합니다.. 제 실력으로는 엑박 뜨는거 어떻게 하지를 못하겠네요..
엑박이 뜨니 말로라도 중요한 몇 군데 써 드릴게요.
1. 드래곤에서 9시 방향쯤에 얇은 벽
2. 작은 골렘 뒤통수 방향
3. 블루 버프에서 미드쪽 부쉬에 보면 약간 얇은 벽이 있는데 거기도 됩니다.
4. 블루팀 탑 or 퍼플팀 봇에 있는 1자형 벽 (블루 골렘 앞으로 좀 걸어가시면 보이는 그 긴 벽을 말하는겁니다. 넘어가기 쉽게 생긴 벽이 있습니다)
5. 바론 기준으로 3시 방향쯤에 얇은 벽
6. 블루팀 탑 or 퍼플팀 봇에 강가에서 언덕으로 올라가기
7. 늑대앞에 있는 얇은 벽
이정도가 되겠습니다.
* 전 언제든 열려있습니다. 가장 조회수가 많고 추천수가 많은 글인만큼 끊임없이 수정하고 질문받겠습니다. 태클도 환영입니다!
* 3/30 인증글 됐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첫 인증글이네요!
* 엑셀이 아닌 다른 것을 누르는 분이 최근에 갑자기 몇 분 생겼는데 이유는 좀 적고 가주시죠? 전 도저히 이해가 안 되요....ㅜ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456명

94.1% (429표)

1.8% (8표)

4.2% (19표)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