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91명

79.1% (72표)

3.3% (3표)

17.6% (16표)
2080+++++ 아나키스트의 탑솔 레넥턴 공략
지금은 주포지션이 정글러라 잘 안하는 케릭이지만
한 때 탑솔 주력으로 레넥턴을 키웠고
LOL하면서 노말+랭크, 레넥턴 800판정도 했다.
사람들이 많이 픽하진 않지만 라인장악력도 강하고 파밍도 쉽다.

소환사 주문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스킬 마스터 순서








스킬 빌드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능력치 Statistics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구분 | 1레벨 (레벨당 성장수치) |
18레벨 최종 수치 |
---|---|---|---|---|---|
체력 | 660 (+111) | 2547 | 마나 | 100 (+0.0) | 100 |
공격력 | 69 (+4.15) | 139.6 | 공격 속도 | 0.665 (+2.75%) | 0.976 |
5초당 체력회복 | 7.96 (+0.75) | 20.71 | 5초당 마나회복 | 0 (+0) | 0 |
방어력 | 35 (+5.2) | 123.4 | 마법 저항력 | 28 (+2.05) | 62.85 |
이동 속도 | 345.0 | 345 | 사정 거리 | 125.0 | 125.0 |
- 방어구 관통력 +1.6x6
- 공격력 +0.95x3
- 방어 +1x9
- 마법 저항력 +1.34x9
- 공격력 +2.25x3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방어구 관통력+9.6
- 공격력+9.6
- 방어+9
- 마법 저항력+12.06
총 가격 : 6,138 IP
유명하진 않지만 알사람 다아는 세팅이고
룬세팅을 데미지에 올인하는 AD딜탱에게 최고의 세팅이라 말할 수 있다.
여튼 알아두는게 좋다.
참고로



이런친구들 또한 이렇게 드는게 가장 좋다고 알려져있다.
헐 리신 E AD계수 1짜리 마뎀인데요?
리븐 보호막 AD계수 붙는데요?
다안다. 일단 써보면 안다.
- OFFENCE
- 0
- DEFENCE
- 0
- UTILITY
- 0




궁극기의 이몰뎀이 마뎀이므로 마관이 필요하고 비중도 의외로 굉장히 높다.
그리고 레넥턴에게 쿨감은 정말 좋은옵션이다.

어차피 흡혈은 Q로 한다.
마스터리는 취향껏 하면 된다. 하지만 분명한건 레넥턴은 방어21보다 공격 21이 더 좋다.

E의 쿨이 굉장히 길고 말그대로 E가 쿨이라면 돌진기가 없는거다.














분노의 지배 (Reign of Anger)
레넥톤이 매번 공격할 때마다 분노를 5씩 획득합니다. 분노가 50 이상 쌓이면 스킬에 추가 효과를 부여할 수 있지만 이렇게 사용한 스킬은 분노 50을 소모합니다. 비전투 중일 때는 분노가 매 초마다 4씩 감소합니다.
레넥톤의 체력이 50% 이하일 때는 50%의 분노를 더 획득합니다.
레넥톤의 체력이 50% 이하일 때는 50%의 분노를 더 획득합니다.

양떼 도륙 (Cull the Meek)
분노 소모: 0 (50)
재사용 대기시간: 7초
재사용 대기시간: 7초
레넥톤이 검을 휘둘러 주변의 모든 적에게 60/90/120/150/180 (+1.0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미니언 공격시 2/3/4/5/6 (+0.02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12/20/28/36/44 (0.17 추가AD)의 체력을 50/75/100/125/150 까지 회복합니다.
양떼 도륙은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5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90/135/180/225/270 (+1.4 추가AD) 증가합니다. 치료 효과가 미니언 공격시 6/9/12/15/18 (+0.06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36/54/72/90/108 (+0.45 추가AD)로, 최대 200/300/400/500/600까지 증가합니다. (범위: 450)
미니언 공격시 2/3/4/5/6 (+0.02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12/20/28/36/44 (0.17 추가AD)의 체력을 50/75/100/125/150 까지 회복합니다.
양떼 도륙은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5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90/135/180/225/270 (+1.4 추가AD) 증가합니다. 치료 효과가 미니언 공격시 6/9/12/15/18 (+0.06 추가AD), 챔피언 공격시 36/54/72/90/108 (+0.45 추가AD)로, 최대 200/300/400/500/600까지 증가합니다. (범위: 450)

무자비한 포식자 (Ruthless Predator)
분노 소모: 0 (50)
재사용 대기시간: 16/14/12/10/8초
재사용 대기시간: 16/14/12/10/8초
챔피언 공격 시 분노 10을 얻습니다.
레넥톤의 다음 공격이 두 번 명중하여 적에게 10/40/70/100/130 (+1.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0.7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각 공격은 명중 시 발생 효과가 적용됩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레넥톤이 적의 보호막을 파괴하고, 세 번 공격하여 적에게 15/60/105/150/195 (+2.2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대상을 1.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사정거리: +50)
레넥톤의 다음 공격이 두 번 명중하여 적에게 10/40/70/100/130 (+1.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0.7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각 공격은 명중 시 발생 효과가 적용됩니다.
분노 50 추가 효과: 레넥톤이 적의 보호막을 파괴하고, 세 번 공격하여 적에게 15/60/105/150/195 (+2.25A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대상을 1.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사정거리: +50)

자르고 토막내기 (Slice and Dice)
분노 소모: 0 (50)
재사용 대기시간: 16/14.5/13/11.5/10초
재사용 대기시간: 16/14.5/13/11.5/10초
자르기: 레넥톤이 돌격하여 40/70/100/130/160 (+0.9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적을 맞히면 4초 이내에 토막내기를 쓸 수 있습니다.
토막내기: 레넥톤이 돌격하여 30/60/90/120/150 (+0.9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자르기와 토막내기는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토막내기 -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70/115/160/205/250 (+1.35 추가AD)로 증가합니다. 피격당한 적은 4초 동안 방어력이 25/27.5/30/32.5/35% 감소합니다. (사정거리: 550)
토막내기: 레넥톤이 돌격하여 30/60/90/120/150 (+0.9 추가AD)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자르기와 토막내기는 각각 챔피언 공격시 대상당 10의 분노를 얻고, 챔피언 외 대상 공격 시 대상당 2의 분노를 얻어 최대 30의 분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토막내기 - 분노 50 추가 효과: 피해가 70/115/160/205/250 (+1.35 추가AD)로 증가합니다. 피격당한 적은 4초 동안 방어력이 25/27.5/30/32.5/35% 감소합니다. (사정거리: 550)

강신 (Dominus)
재사용 대기시간: 120/100/80초
레넥톤이 15초 동안 어둠의 기운으로 자신을 감싸며 300/500/700의 체력과 20의 분노를 얻습니다. 스킬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레넥톤은 근처의 적들에게 60/120/180 (+0.1AP)(+0.1 추가 AD)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초당 5의 분노를 획득합니다.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W데미지가 가장 좋으므로 W마스터를 하겠다는 생각을 하는사람이 있겠지만
W데미지 증가량이 제일 낮다.
어차피 상대방 팰 때 QWE 쿨다돌린다.
그리고 라인유지에 있어서 Q의 데미지가 가장 중요하다. 회복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여튼 R>Q>E>W 다. E선마도 해봤는데 Q선마가 위의 이유때문에 더 좋다.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최종아이템같은건 의미가 전혀 없으므로 타는 아이템을 하나하나 설명하겠다.
저렇게 템 뜰일은 거의없다. 그리고 저건 정말 코옵상대로나 저렇게 타는거다.
아래 아이템은 상대방과 정글러등의 실력이 당신과 동실력이라고 가정한다음 쓰는 것이다.



신발이 없으면 E를 초반에 안찍으면 레넥이 아주 쉽게 죽으므로 항상 사려준다.
만약 상대 라이너가 공격적으로 나온다면 몇대 맞아주고 포션빨면서 정글러를 부르는게 가장 이상적이다.
걍 당연한말이지만 저렙땐 계산하에 일방적으로 맞아주는게 더 좋다.
안그러고 상대방이 때렸다고 W로 찍어주고 Q로 돌리면 라인 다밀고 최소한도 플레쉬잃기가 딱좋다.

다른얘들 상대론




이렇게 들고가준다.

최소한의 데미지를 위해 두개들어준다. MiG 건웅선수조차도 아주 예전에 레넥턴 픽했을 때
바로 워모그를 뛰었는데 한 30분 지나서야 데미지가 필요하다 생각하고 도란 두개산적이 있다.
그냥 어차피 사야될거 일찍 사서 라인유지력과 라인장악을 강화하는게 좋다.



당연한 말이지만 AP를 상대할 땐 
귀환한다음 이런식으로 맞춘뒤









가격대 성능비가 매우 떨어진다.
여담이지만 차라리
이거간다음에 
이런식으로 가는게 더 좋다.



물론 레넥턴에겐 방패는 그닥이다. 공템이 더 좋다.대세도 공템이다.
하지만 수준낮은 겜에서는 상관없다. 하지만 나라면 차라리 워모그를 가겠다.

다른빌드를 많이 탄다. 무엇보다도 워모그는 하위템도 구리고 미치도록 비싸다.


W가 평타강화겸 온히트 세방짜리므로 블클스택 쌓기 매우 좋고
블써처럼 스택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일이 없다.
계수가 매우 좋은 레넥턴에게

많이 죽을것같다면 블클이 더 좋다. 물론 라인유지에 있어선
도란다음에 바로 블써를 탔을 시 블써>>>>>블클이다.

무난하게 지나간 라인이라면 이거들면 왠만하면 이긴다.

필요가없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레넥은 Q스킬에 흡혈이있다.





솔직히 말해서 제대로된 게임에선 나오기 힘들다.




막 여러빌드 많이 실험해보던 시절이 있엇다. 그리고 이걸 거의 코어로 갔었는데
지금생각하면 한숨만 나온다. 차라리 블클이나 돈더모아서 블써를가준다.



기본적으로 라인전의 기본은 맨처음엔 당긴다음 갈구고 파밍이다.
하지만 솔랭이나 노말, 쪼말같은 겜에서는 와드가 박히는 이후엔 유리하다면 한없이 견제하는 것이다.
보통 E -> W 평타 Q 평타 -> E 이런식으로 치고빠진다.
솔직히 말해서 방어적으로 운영하면 레넥턴을 말려죽일 수 있는 케릭이 거의 없기때문에
안전하게 파밍에 취중하고 싶다면 분노채워서 Q로 힐하면서 라인리셋시키고
어떤 상대를 만나더라도 지혜롭게 대처한다면 라인전에서는 힘들지가 않다.

하지만 일단 피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니달리의 데미지가 많이박히기 때문에 피관리를 잘해야한다.
유리한 상황에서도 무리해서 피교환을 하려다간 테이크다운에 모가지가 날아간다.
상대방이 심하게 짤짤이를 하는 타입이라면

자꾸 짜증나게 하면 궁을 쿨마다 돌려서 집으로 돌려보내는것도 괜찮은 운영방법이다.

룬세팅을 왕룬까지 고정마방으로 박고가면 어렵지않게 라인전을 할 수 있다.


리신은 강력한 탑솔이지만 레넥에겐 그다지 큰 힘을 발휘하긴 힘들다.
리신은 약한상대에게 한도끝도없이 강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플레이하도록한다. 공격적으로가다 정글러와서 따이면
게임끝날때까지 아무것도못하기 힘들다.

다 거기서 거기다. 라인을 당기면서 정글러를 불러 빠르게 따주는게 좋고 빡빡이가 파밍욕심을 크게 내면 킬찬스가 온다.

오공 케릭 자체가 워낙 한타에 좋은 케릭이라 한타때 존재감이 쩐다는걸 알아두자.

만약 레넥이 말리더라도 레넥이 푸시력이 좋은 케릭이라 뼛속까지 털리긴 힘들다.

들이대도 EQ만 피하면 문제가 없지만
분노쌓았다고 먼저 들이대면 EQ를 맞을 확률이 올라간다.
자르반이 피교환이 더 유리하므로 깝치면 안된다.

잘 안올라오니 자세한 설명은 패스

타워로 뺑뺑이돌리면 된다. 당연한말이지만 미니언근처에서 서성이면 라인이 푸시되기 마련이고
상대방이 클로즈를 안들고
이런걸 들고왔다면 한방에 훅 보낼 수도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레넥이 요릭 견제를 잘 견딜뿐더러 견제하면 할수록 라인이 당겨지는 경향이 있어서
갱킹에도 취약하고 Q로 피채우기도 쉽다.




물론 저렙땐 레넥이 바른다. 만약 운좋게 라인이 당겨졌다면 정글러를 부르자.



정글러가 갱이 매우 강력한 편이 아니라면 플레쉬쓸 각오로 3레벨정도부터 공격적으로 나가도 된다.


초반에 라인을 당겨서 말리게 하는게 좋다.




AP면 상대방이 무리를 하면 죽일 수도 있다. 걍 무난하게 파밍하면 된다.

기타 : 걍 불리하면 열심히 파밍하고 유리하면 위험하지 않은 선에서 견제해준다.
참고로



이거 들면 피교환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레넥은 스킬만으로 딜해야될 때도 있고 평타를 섞어야 할 때가 있다.
완전히 진영이 잡힌 상태라면 스킬만으로 딜하고 빠르게 빠지는게 좋고
진영이 망가져서 1:1로 깔 수 있는 예외적인 상황이라면 평타를 섞어최대한 피를 많이 빼주는게 좋다.
물론 라인에서 쇼부를 볼 땐 이렇게 평타를 섞는 것이 좋다.
LOL을 하면 할 수록, 보면 볼수록 느끼는 거지만
탑라인은 안정적으로 하는게 최고다.
레넥 지존강하다고 상대방 초반부터 열심히 때려주고 견제하고 디나이하면 할 수록
위험한건 자신이다.
이런 플레이는 정글러가 눈리신일 때 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안정적으로, 상대가 무리할때만 킬을 노리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러분들이 가장 좋아하는 인증

리그 인벤 가족들의 평가
투표 참여자 : 91명

79.1% (72표)

3.3% (3표)

17.6% (16표)
코멘트
코멘트(0)